$\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의 과학적 모형 유형 분석
Analysis of Scientific Models in Science Textbooks for the 7th Grade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6 no.3, 2012년, pp.363 - 370  

김애정 (조선대학교 대학원 자연교육학과) ,  박현주 (조선대학교 화학교육과) ,  김찬종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희백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유준희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 ,  최승언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2007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 11종을 대상으로, '물질 영역'에 속하는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분자의 운동', '상태변화와 에너지'라는 세 단원에 제시된 모형의 유형 및 특성을 조사하고 과학적 모형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연구를 통해 개발되어진 과학적 모형 분석틀은 표상 양식과 표상의 속성으로 나누어져있으며, 표상 양식은 활동 모형, 비유적 모형, 상징적 모형, 이론적 모형으로 분류하고, 표상의 속성은 정적 모형과 동적모형으로 분류하였다. 개발되어진 과학적 모형 분석틀을 가지고 교과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형의 유형과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표상 양식에서는 활동 모형과 비유적 모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표상의 속성에서는 동적 모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물질 영역에서는 입자 개념을 다루며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거시적인 현상들을 분자의 배열이나 운동과 같은 미시적 관점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현 교과서들에 나타난 과학적 모형 사용의 제한점과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게 할 뿐 아니라, 앞으로 집필되어질 교과서와 수업을 구성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lassify scientific models in the seventh grade science textbooks of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e three chapters of 'three states of material', 'motion of molecule', and 'change of state and energy'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two types of the scientif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주제들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분자의 움직임을 가시화하는 유용한 도구 중 하나인 모형을 이용한다. 따라서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모형들의 표상 양식과 속성을 분석하고, 각 모형이 해당하는 개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제시되었는지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내용 중 물질 영역에 제시된 모형들의 범주를 구분하고, 각각의 전체 빈도수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물질 영역의 교과서 집필이나 수업을 계획함에 있어서 다양한 모형의 유형을 고려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물질영역에 적합한 분석틀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에 제시되는 과학적 모형을 조사하여 유형별로 정의하고 분석함으로써 교과서 개발 및 과학교수학습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중학교 1학년 과학 중 물질 영역의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분자의 운동’, ‘상태변화와 에너지’ 단원은 물질의 입자적 개념이 처음 도입되는 단계로,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거시적인 현상들을 입자의 배열이나 운동과 같은 미시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설 설정

  • 셋째, 상징적, 이론적 모형은 학생들에게 두 변인의 관계를 학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모형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내용이 포함된 이론적 모형은 학생들에게 사고 확장의 기회를 제한할 것이라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연구에서 활용되는 모형의 역할은? 모형은 ‘과학의 주요 산출품의 하나’ 임과 동시에 ‘과학 방법론에서 주요한 요소’ 이므로, ‘과학 교육의 주요한 학습(교수)도구’이다.1 과학 연구에서 활용되는 모형은 구체적인 현상과 추상적인 개념을 연결짓는 다리와도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모형을 학교의 수업에 이용하면 학생들이 과학에서 다루는 현상과 이론들을 연계지어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모형은 과학 수업의 중요한 요소이다.
표상 양식은 어떤 모형으로 분류 가능한가? 2007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 11종을 대상으로, '물질 영역'에 속하는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분자의 운동', '상태변화와 에너지'라는 세 단원에 제시된 모형의 유형 및 특성을 조사하고 과학적 모형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연구를 통해 개발되어진 과학적 모형 분석틀은 표상 양식과 표상의 속성으로 나누어져있으며, 표상 양식은 활동 모형, 비유적 모형, 상징적 모형, 이론적 모형으로 분류하고, 표상의 속성은 정적 모형과 동적모형으로 분류하였다. 개발되어진 과학적 모형 분석틀을 가지고 교과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형의 유형과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과학적 현상이나 과정을 설명하는데 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한 이유는? 과학적 현상들은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직접적으로 경험하기 어렵거나, 교실에서의 통제된 실험을 수행하기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런 현상이나 과정을 설명하는데 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며, 또한 모형을 사용하면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Gilbert, J. K. Visualization in science education; Springer: Dordrecht, The Netherlands, 2005. 

  2. Kress, G.; Jewitt, C.; Ogborn, J.; Tsatsarelis, C. Multimodal teaching and learning: The rhetorics of the science classroom; Continuum: London, UK, 2001. 

  3. Lemke, J. Multiplying meaning: Visual and verbal semiotics in scientific text. In Reading science: Critical and functional perspectives on discourse of science; Martin, J. R.; Veel, R., Eds.; Routledge: New York, USA, 1998. 

  4. Harrison, A. G.; Treagust, D. F. Science Education 1996, 80(5), 509. 

  5. Harrison, A. G.; Treagust, D. F.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0, 22(9), 937. 

  6. Gibson, H. L.; Rea-Ramirez, M. A. Keeping the Inquiry in Curriculum Designed To Help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ellular Respir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ED), 2002, 465. 

  7. Park, J.; Cho, H.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86, 6(2), 35. 

  8. Arnaudin, M. W.; Mintzes, J. J. Science Education 1985, 69(5), 721. 

  9. Chi, M. T. H.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2005, 14(2), 161. 

  10. Collins, A.; Stewart, J.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1989, 51(3), 143. 

  11. Kim, M.; Kim, H.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2007, 35(3), 407. 

  12. Kim, H.; Kim, S.; Lee, S.; Kim, H.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2001, 29(1), 57. 

  13. Clement. J.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0, 22(9), 1041. 

  14. Ainsworth, S. The educational value of multiple-representations when learning complex scientific concepts. In Visualization: Theory and practice in science education; J. K. Gilbert, M. Reiner, and M. Nakhled, Eds.; Springer: Dordrecht, The Netherlands, 2008; p 191. 

  15. Buckely, B. C.; Boulter, C. J. Investigating the role of representations and expressed models in building mental models. In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J. K. Gilbert, C. J. Boulter, E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The Netherlands, 2000; p 119. 

  16. Gobert, J. D.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0, 22(9), 937. 

  17. Rapp, D. N.; Kurby, C. A. The 'ins' and 'outs' of learning: Internal representations and external visualization. In Visualization: Theory and practice in science education; J. K. Gilbert, M. Reiner, M. Nakhleh, Eds.; Springer: Dordrecht, The Netherlands, 2008; p 295. 

  18. Lee, Y. Analysis of Pictorial Material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The Graduate School; Seongunkwan University: 2008. 

  19. Lee, H. Students' recognition of Illustrations in Science Textbook : Focusing on Dynamics Unit of the Next Generation Textbook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2010. 

  20. Cho, Y.; Kwon, C.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5, 24(5), 546. 

  21. Yoon, H.; Yoon, W.; Woo, A.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2011, 15(3), 757. 

  22. Gobert, J. D.; Clement, J. J.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99, 26(1), 39. 

  23. Raia, F. Student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2005, 53(3), 297. 

  24. Abraham, M. R.; Williamson, V. M.; Westbrook, S. 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94, 31(2), 147. 

  25. Nakhleh, M. B.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92, 69(3), 191. 

  26. Haidar, A. H., Abraham, M. 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91, 28(10), 919. 

  27. Walker, B. J.; Wilson, P. T. Using gnided imagery to teach science concept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umber (ED), 1991, 331022. 

  28. Byun, S.; Kim, K.; Choi, S.; Noh, T.; Cha,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7, 27(7), 631. 

  29. Ardac, D.; Akaygun, 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4, 41(4), 317. 

  30. Lee, K. The 7th Summary of Curriculum, In-service teacher program, 1998. 

  31. Choi, W. The 7th Summary of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Mathematic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unkuk University, 2004. 

  32. Blystone, R., Dettling, B.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The Process of Knowing. In Visual literacy in science textbooks; Rowe, M. B.; Ed.;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Washington, DC; 1990; Vol. 6, p 19. 

  33. Harre, R. The philosophies of science, 2nd ed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1985, p 230. 

  34. Bailey, D. K. Methods of social research, 4th ed.; The Free Press: New York, 1994. 

  35. Oh, P.; Jeon, W.; Yoo, J. Korean Earth Science 2007, 28(4), 450. 

  36. Kim, M.; Kim, H. J.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9, 29(4), 423. 

  37. Choi, J.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Scientific Models of Chemistry Education and Analysis of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Teachers about Example Model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0. 

  38. Gabel, D. L.; Sherwood, R. D. Science Education 1980, 64(5), 709. 

  39. Lin, H.; Shiau, B.; Lawrenz, F.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996, 26(4), 495. 

  40. Cho, H.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92, 12(1), 61. 

  41. Lee, M. Analysis of Scientific Models and Necessity of Multiple Models in the Astronomy Domain of the 3rd-10th Grade Science Textbooks;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8. 

  42. Harrison, A. G.; Treagust, D. F.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93, 30(10), 1291. 

  43. Treagust, D. F.; Duit, R.; Joslin, P.; Lindauer I.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92, 14(4), 413. 

  44. Baker, V. R. GSA Bulletin 1999, (5), 633. 

  45. Reynolds, S. J.; Johnson, J. K.; Pibuvrn, M. D.; Leedy, D. E.; Coyan, J. A.; Busch, M. M. Visualization in undergraduate geology courses. In J. K. Gilbert (Eds.), Visualization in science education, 2005, 253-266.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46. Choi, K. A Study on the Actual Situation of Science Education and Physics Demonstration in High School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4. 

  47. Duit, R. Science Education 1991, 75(6), 649. 

  48. Thiele, R. B.; Treagust, D. F. The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1991, 37(2), 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