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질의 입자성 개념에서 증강현실을 활용한 다중 표상 학습 전략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ultiple Representation-Based Learning Strategies Using Augmented Reality on the Concept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4, 2020년, pp.375 - 383  

이재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박가영 (서울대학교) ,  노태희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다중 표상 학습 전략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남녀 공학 중학교 2학년 학생 136명을 처치 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학생들은 네 차시 동안 물질의 특성과 관련한 입자 개념을 학습하였다. 이때 처치 집단의 학생들에게는 증강현실이 제공하는 표상들 사이의 연계와 통합을 촉진할 수 있는 다중 표상 학습 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개념 이해도,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 검사에 대한 처치 집단의 점수는 학생들의 사전 성취 수준과 무관하게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개념 이해도 검사의 하위 개념 중 입자의 보존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분포 및 운동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업 성취도 측면에서는 사전 성취 수준과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때 하위권 학생들의 성취도는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상위권 학생들에게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교수학습에서 증강현실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multiple representation-based learning strategies using augmented reality in terms of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chievement, and enjoyment of science lessons. 136 8th-grade students in a coed middle school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rea...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후 학생들은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제시된 실험 사진 위에 증강되어 나타나는 입자를 관찰하며, 물과 포도당 입자의 개수, 분포, 움직이는 방향, 상대적인 빠르기 등을 활동지에 제시된 표에 기록하였다. 또한, 포도당이 용해되기 전 물속에 가라앉아 있는 상황과 완전히 용해되고 난 후의 상황을 입자 그림으로 묘사하는 활동을 하였다. 이후 학생들은 거시적 수준의 현상과 증강현실을 통해 관찰한 미시적 입자 수준의 현상 사이의 관계를 서로 연결 짓는 활동을 하였다.
  • 또한, 다중 표상 학습에서 외적 표상 간의 연계와 통합을 촉진하는 방안으로 이루어지는 글쓰기 활동은 학생들이 재미있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인지적 측면과 아울러 정의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Kang, 2006). 이 연구에서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활동을 하였을 뿐 아니라 거시적 수준의 표상과 미시적 수준의 표상을 서로 연결지어 통합적으로 탐색하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활동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학생들의 과학 성취 수준과 관계없이 수업에 대한 즐거움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준것으로 볼 수 있다.
  • 예를 들어, 증강현실의 물리적 마커가 그 자체로는 유의미한 정보를 전달하지 않고 가상객체를 불러오는 역할만을 담당하는 경우에는 현실 세계와 가상객체의 자연스러운 혼합이라는 증강현실의 매체적 장점(Kye, Kim, & Ryu, 2007)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중 표상 학습 이론을 적용하여 증강현실의 물리적 마커가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실험 상황에 관한 거시적 표상을 제공하고, 가상객체가 물질의 입자성에 관한 미시적 표상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수준의 표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동시에 여러 가지 표상을 볼 때 느낄 수 있는 인지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가상객체에만 집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마커에 대한 무주의 맹시(inattentional blindness; Simons & Chabris, 1999)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학생들이 물리적 마커와 가상객체 모두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먼저 물리적 마커를 관찰하고 이후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물리적 마커와 가상객체를 함께 관찰하도록 하였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중 표상 학습에 관한 선행 연구(Kang, 2006; Kang, Kim, & Noh, 2008)를 참고하여 학생들이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각 표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특징을 파악한 후, 표상 사이의 연계 오류를 감소시키고 표상들 사이의 올바른 연계와 통합 과정을 촉진하는 활동을 도입하였다.
  • 특히 중학교 2학년 과학의 ‘물질의 상태’ 단원에서는 용해도, 녹는점, 끓는점, 밀도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실험을 통해 거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하고, 이를 입자 그림을 통해 미시적 입자 관점에서 해석하는 활동을 하고 있으므로 증강현실을 활용한 다중 표상 학습을 적용하기에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물질의 특성 단원을 중심으로 물질의 입자성 개념에서 증강현실을 활용한 다중 표상 학습을 실시하고, 입자성에 대한 개념 이해도, 학업성취도 및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의 측면에서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의 매체적 특징에 주목하였다.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에 컴퓨터 그래픽을 통해 구현된 3차원의 가상객체를 실시간으로 증강하여 표현하는 멀티미디어 기술이다(Jang & Kye, 2007).
  • 처치 집단에서는 학생들이 연구 상황 및 증강현실을 활용한 수업에 익숙해지도록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방법에 관한 오리엔테이션을 포함한 연습 수업 1차시를 순물질과 혼합물 개념에 대해 실시 하였다. 이후 용해도, 녹는점과 끓는점 개념에 대해 각각 2차시씩 총 4차시 동안 증강현실 활용한 다중 표상 학습 전략이 적용된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질의 입자성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물질의 입자성은 화학 반응과 기체 법칙 등 과학 교과의 중요한 개념을 설명하고, 거시적 수준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원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기초 개념이다(Merritt & Krajcik, 2013; Rappoport & Ashkenazi, 2008). 물질의 입자성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시적 대상에 대한 추상적 사고 등 형식적 조작 수준의 높은 사고력이 필요하므로(Park, Park, & Kang, 2013), 학생들은 물질의 입자성 개념과 관련하여 다양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Adadan, Irving, & Trundle, 2009; ; Yoon & Lee, 2014; Yoon & Woo, 2007). 이에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물질의 입자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먼저 실험과 관찰을 통해 눈으로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거시적 수준의 개념을 학습하고, 입자 그림이나 애니메이션 등을 통해 이와 관련된 미시적 수준의 현상을 학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MOE, 2015).
증강현실이란 무엇인가? 이에 이 연구에서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의 매체적 특징에 주목하였다.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에 컴퓨터 그래픽을 통해 구현된 3차원의 가상객체를 실시간으로 증강하여 표현하는 멀티미디어 기술이다(Jang & Kye, 2007). 가상객체는 현실 세계와 연관된 정보를 무엇이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으므로 교육 분야의 활용에도 잠재력이 크다.
증강현실을 활용한 다중 표상 학습 전략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한 결과는? 이때 처치 집단의 학생들에게는 증강현실이 제공하는 표상들 사이의 연계와 통합을 촉진할 수 있는 다중 표상 학습 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개념 이해도,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 검사에 대한 처치 집단의 점수는 학생들의 사전 성취 수준과 무관하게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개념 이해도 검사의 하위 개념 중 입자의 보존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분포 및 운동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업 성취도 측면에서는 사전 성취 수준과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때 하위권 학생들의 성취도는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상위권 학생들에게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교수학습에서 증강현실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dadan, E., Irving, K., & Trundle, K. C. (2009). Impacts of multirepresentational instruction on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s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13), 1743-1775. 

  2. Ainsworth, S. (2008). The educational value of multiple-representations when learning complex scientific concepts. In J. K. Gilbert, M. Reimer, & M. Nakhleh (Eds.), Visualization: Theory and practice in science education. (pp. 191-208). Springer, Dordrecht, The Netherlands. 

  3. Akcayir, M., & Akcayir, G. (2017). Advantage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augmented reality for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Educational Research Review, 20, 1-11. 

  4. Ardac, D., & Akaygun, S. (2005). Using static and dynamic visuals to represent chemical change at molecular leve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11), 1269-1298. 

  5. Bacca, J., Baldiris, S., Fabregat, R., & Graf, S. (2014). Augmented reality trends in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and application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7(4), 133-149. 

  6. Cha, J., Kim, K., & Noh, T. (2004).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static graphic and animation in CAI by visual learning preference.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7(5), 1-8. 

  7. Dunleavy, M., Dede, C., & Mitchell, R. (2009). Affordances and limitations of immersive participatory augmented reality simul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8(1), 7-22. 

  8. Duschl, R., Maeng, S., & Sezen, A. (2011). Learning progressions and teaching sequences: A review and analysi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7(2), 123-182. 

  9.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TOSRA) Handbook. Melbourn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10. Gavish, N., Gutierrez, T., Webel, S., Rodriguez, J., Peveri, M., Bockholt, U., & Tecchia, F. (2015). Evaluating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raining for industrial maintenance and assembly tasks.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23(6), 778-798. 

  11. Ibanez, M. B., Di Serio, A., Villaran, D., & Kloos, C. D. (2014). Experimen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augmented reality: Impact on flow student experience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Computers & Education, 71, 1-13. 

  12. Jang, S.-H., & Kye, B.-K. (2007). Educational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콘텐츠의 교육적 적용]. The Korea Contents Society, 5(2), 79-85. 

  13. Kang, H. (2006). The effects and uses of drawing and writing to promote transformation of external representation in middle school chemistry instructio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4. Kang, H., Kim, B., & Noh, T. (2005). Drawing and writing as methods to assist students in connecting and integrating external representations in learning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5(4), 533-540. 

  15. Kang, H., Kim, Y., & Noh, T. (2008). The effects of the prescribed instructional strategy for reducing students' connecting errors in learning chemistry concepts with multiple external represen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6), 675-684. 

  16. Kang, H., Shin, S., & Noh, T. (2008). Exploring the causes of students' connecting errors induced in learning Boyle's Law and Charles's Law with multiple external represen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2(5), 550-560. 

  17. Kim, J. S., & Lee, T. S. (2018).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science education STEAM program based on augment realit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 199-218. 

  18. Kwak, Y., Kim, C. J., Lee, Y. R., & Jeong, D. S. (2006). Investigation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3), 260-268. 

  19. Kye, B., Kim, J., & Ryu, J. (2007). Educational understanding of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의 교육적 이해]. 2007 KERIS Issue Report. RM 2007-30. 

  20. Lee, H. J. (2011). Conceptual change by peer instruction of 6th grade students in science field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21. Lee, J. S., Sim, H. A., Kim, K. Y., & Lee, K. S. (2010). Effects of reality based science learning program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level's science learning program applied the Keller's ARCS model.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5(1), 99-121. 

  22. Lee, J., Lee, B., & Noh, T. (2018). A comparison of middle school students' macroscopic and microscopic conceptions related to the properties of substance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62(3), 243-252. 

  23. Lee, S. Y., & Kim, K. S. (2012).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learning objects of geometry based on augmented real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6(4), 451-462. 

  24. Lim, E.-M. (2012). Revising the value of education technology for the digital generation [디지털 세대를 위한 교육 테크놀로지의 가치 재조명]. Paper presented at the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Conference. (pp. 59-77). Seoul. 

  25. Lu, S. J., & Liu, Y. C. (2015). Integrat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o enhance children's learning in marine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21(4), 525-541. 

  26. Matthews, M. R. (2002). Constructivism and science education: A further apprais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1(2), 121-134. 

  27. Merritt, J. & Krajcik, J. (2013). Learning progression developed to support students in building a particle model of matter. In G. Tsaparlis & H. Sevian (Eds.), Concepts of matter in science education. (pp. 11-45). Springer, Dordrecht, The Netherlands. 

  28.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Ministry of Education: Seoul, 2015. 

  29. Munoz-Cristobal, J. A., Jorrin-Abellan, I. M., Asensio-Perez, J. I., Martinez-Mones, A., Prieto, L. P., & Dimitriadis, Y. (2014). Supporting teacher orchestration in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s: A study in primary education. IEEE Transactions on Learning Technologies, 8(1), 83-97. 

  30. Nam, J. H., Lee, D. W., & Nam, Y. H. (2012). The impact of multimodal representation-based lesson on embeddedness of multimodal represent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6(4), 500-508. 

  31. Noh, T., & Scharmann, L. C. (1997). Instructional influence of a molecular-level pictorial presentation of matter on students' conceptions and problem-solving abil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2), 199-217. 

  32. Noh, T., Kang, H. S., & Lee, B. (2006). The influences of the forms of verbal external representations and students' verbal learning style in learning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using drawing.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0(6), 477-485. 

  33. Noh, T., Lee, J., Yang, C., Kang, S., & Kang, H. (2016). Investigation of learning progression for dissolution and solution concep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2), 295-302. 

  34. Noh, T., Lim, H., Cha, J., Noh, S-G., & Kwon, E.-J. (1997). The instructional influences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Applying the LT model to middle school physical science cours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7(2), 139-148. 

  35. Park, J. H. (2012). The effects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on shared mental models and team activity in digital text book.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36. Park, J., Park, Y., & Kang, S. (2013). Analysis of the level of cognitive demands about concepts of the changes of state and kinetic theory on 'Science 1' textbooks in junior high school(III).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7(5), 640-655. 

  37. Phon, D. N. E., Ali, M. B., & Halim, N. D. A. (2014).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in education: A review. In 201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and Learning in Computing and Engineering (pp. 78-83). IEEE Computer Society. 

  38. Rappoport, L. T., & Ashkenazi, G. (2008). Connecting levels of representation: Emergent versus submergent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2), 1585-1603. 

  39. Ryu, H., & Park, H. (2017).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objects on the unit of 'our body' on augmented reality.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6(4), 367-378. 

  40. Sayed, N. E., Zayed, H. H., & Sharawy, M. I. (2011). ARSC: Augmented reality student card an augmented reality solution for the education field. Computers & Education, 56(4), 1045-1061. 

  41. Shin, S., Kim, H., Noh, T., & Lee, J. (2020). High school students' verbal and physical interactions appeared in collaborative science concept learning using augmented real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40(2), 191-201. 

  42. Simons, D. J., & Chabris, C. F. (1999). Gorillas in our midst: Sustained inattentional blindness for dynamic events. Perception, 28, 1059-1074. 

  43. Van Meter, P., & Garner, J. (2005). The promise and practice of learner-generated drawing: Literature review and synthesi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7(4), 285-325. 

  44. Van Someren, M. W., Reimann, P., Boshuizen, H. P. A., & De Jong, T. (1998). Learning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Oxford, UK: Elsevier. 

  45. Wu, H. K. (2003). Linking the microscopic view of chemistry to real-life experiences: Intertextuality in a high-school science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7(6), 868-891. 

  46. Yoon, H., & Lee, Y. (2014). Analysis of coher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representation of particulate concept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8(6), 580-589. 

  47. Yoon, H., & Woo, A. (2007). Misconception regarding gas properties: Comparative studies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at Ewha Woman University, 11(2), 567-582. 

  48. Yun, J., Kang, S., Ahn, I., & Noh, T. (2017). Analyses of verbal interaction among students in small group science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61(3), 104-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