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발된 흰쥐의 다낭성 난소 및 수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eolbuchukeo-tang on the Estradiol Valerate-induced Polycystic Ovaries and the Conception of Rats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25 no.2, 2012년, pp.43 - 65  

배상진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김형준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  이동녕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yeolbuchukeotang( HCT) on the Estradiol Valerate(EV) induced Polycystic Ovaries and the Implantation of rats. Methods: PCO was induced by single intramuscular(IM) injection with EV in female rats. Normal group(n=8) were injected wi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양의학에서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 사용하는 약물은 무엇이 있는가? 서양의학에서는 항안드로겐제, 경구피임약, 클로미펜,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 등의 약물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대증치료이며, 각각의 방법에 따라 부작용 등의 문제가 있다6).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다낭성 난소 증후군(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은 무배란이나 무월경, 희발월경 등의 증상과 함께 불임증, 다모증 등을 일으키며, 초음파상 다낭성 난소소견과 고안드로겐혈증이 나타나는 내분비 질환이다1). 정확한 유병율은 알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생식 연령 여성의 10%에서 발생한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식생활과 생활환경 등의 변화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2).
PCOS의 발생원인은 무엇인가? PCOS의 발생 원인으로 부신피질과 난소에서 효소계의 기능장애, 시상하부 기능부전, 성장호르몬의 이상,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분비체계 이상, 부신의 안드로겐 생산 이상, 난소자체의 안드로겐 합성 이상, 인슐린 저항성 등 여러 가설이 있으나,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기능적 이상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것은, PCOS가 인슐린 저항성과 대사이상으로 인해 발병된다는 것으로,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서 대사증후군이 46%, 포도당 내성 이상이 16~35%, Ⅱ형 당뇨병이 2.5~7.7%정도로 정상 여성들에 비해 모두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1,13,15). 인슐린의 혈중 농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임상 증상이 더욱 심해지는데, 인슐린은 난소의 인슐린 수용체를 직접 자극하여 LH의 활동성을 강화하는 작용을 하기도 하고, 간접적으로는 혈청 LH pulse amplitude를 증가시켜 안드로겐 합성을 증가시키기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6)

  1.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부인과학. 서울:고려의학. 2007:63, 362. 

  2. Nestler JE. Polycystic ovary syndrome: a disorder for the generalist. Fertil Steri 1998;70:811-2. 

  3. Stein IF, Levental ML. Amenorrhea associated with bilateral polycystic ovaries. Am J Obstet Gynecol. 1935; 29:181-91. 

  4. Lara HE, et al. An increased intraovarian synthesis of nerve growth factor and its low affinity receptor is a principal component of steroid-induced polycystic ovary in the rat. Endocrinology. 2000; 141:1059-72. 

  5. S Hisano, et al. Reciprocal synaptic relations between CRF-immunoreactive and TRH-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paraventricular nucleus of the rat hypothalamus. Brain Res. 1993;620 :343-6. 

  6. Krysiak R, et al. Update on the management of PCOS. Pharmacological Reports. 2006;58(5):614-25. 

  7. 김동일, 윤종원, 이태균. 다낭성 난소증후군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7;10(1):73-91. 

  8. 吳桂芳, 李祥云. 中醫學治療多囊卵巢 綜合症硏究槪況. 河南中醫. 1994;14(2):123-5. 

  9. 王淸任. 醫林改錯. 北京:中國中醫藥出版社. 1995:24-8. 

  10. J R Brawer, M Munoz, R Farookhi. Development of the PCO in the estradiol valerate- treated rat. Biology of Reproduction. 1986;35:647-55. 

  11. Elisabet Stener-Victorin, et al. Rats with steroid-induced PCO develop HTN and increased 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Reproductive Biology and Endocrinology. 2005;3:44. 

  12. Adam H. et al. Ultrasound assessment of the polycystic ovary: international consensus definitions. Human Reproduction Update. 2003;9:505-14. 

  13. 김 탁.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최신 지견. 대한산부인과학회 연수강좌. 2002;31:38-44. 

  14. 김정훈. 다낭성난소증후군 치료의 최신지견.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5;48(8):1852. 

  15. Baillargeon JP. Use of insulin sensitizers in polycystic ovarian syndrome. Current Opinion in Investigational Drugs. 2005;6:1012-22. 

  16. Gerard S. Conway, et al. Effects of Luteinizing Hormone, Insulin, Insulin-like Growth Factor-I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Small Binding Protein 1 in the Polycystic Ovary Syndrome. Clinical Endocrinology. 1990;33:596-603. 

  17. Zawadzki JK, Dunaif A. Diagnostic criteria for polycystic ovary syndrome: towards a rational approach. In: Dunaif A, Givens JR, Haseltine FP, Merriam GR, editors. Polycystic Ovary Syndrome. 3rd ed. Bost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1992;377-84. 

  18. The Rotterdam ESHRE/ASRM Sponsored PCOS Consensus Workshop Group. Revised 2003 consensus on diagnostic criteria and long-term health risks related to polycystic ovary syndrome. Fertil Steril. 2004;81:19-25. 

  19. S. Hahn, et al. Clin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women with PCOS in North Rhine-Westphalia. Hormone and Metabolic Research. 2005;37:438-44. 

  20. Richard S. Legro, et al.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risk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in PCOS: a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in 254 affected women.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1999;84:165-9. 

  21. Ann E. Taylor, et al. Determinants of abnormal gonadotropin secretion in clinical defined women woth PCOS.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1997;82:2248-56. 

  22. Gharani N, et al. Association of the steroid synthesis gene $CYP11{\alpha}$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and hyperandrogenism. Hum Mol Genet. 1997;6:397-402. 

  23. Waterworth DM, et al. Linkage and association of insulin gene VNTR regulatory polymorphism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Lancet 1997;349 :986-90. 

  24. 이지영, 등. 한국인 여성에서 다낭성난소증후군의 발생 위험도와 CYP17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5;48(5):1306. 

  25. 정철회, 등. Dehydroepiandrosterone로 유도된 흰쥐의 다낭성난소에서 cDNA array를 이용한 유전자발현분석.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04;47(10):1931. 

  26. 강길전. 여성생식의학. 서울:대관출판사. 1998:219-30. 

  27. 윤소영, 강명자. 다낭성 난소증후군 환자의 한방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13(2):437-51. 

  28. Elisabet Stener-Victorin, et al. Effects of eletro-acupuncture on nerve growth factor and ovarian morphology in rats with experimentally induced PCO. Biology of Reproduction. 2000;63(5) :1497-503. 

  29. E. Stener-Victorin, et al.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in rats with experimentally induced polycystic ovaries. Neuropeptides. 2001;35(5&6) :227-31. 

  30. Elisabet Stener-Victorin. Acupuncture in reproductive medicine: Overview and summary of recent studies.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2002; 1238:149-56. 

  31. 권세라, 등. 삼음교 자궁혈 전침 자극이 백서의 다낭성 난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2):76-86. 

  32. L. Manni, S. et al. Effects of exrecise on ovarian morphology and expression of nerve growth factor and ${\alpha}1-and$ $\beta$ 2-adrenergic receptors in rats with steroid-induced polycystic ovaries. Journal of Neuroendocrinology. 2005; 17:846-58. 

  33. 양동선, 등. 향부자가 estradiol valerate로 유발된 백서의 다낭성 난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0;23(4):35-46. 

  34. 구희준, 조성희. ?角刺가 estradiol valerate로 유발된 白鼠의 다낭성 난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0;23(2):71-84. 

  35. Sok Cheon Pak, et al.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in a steroidinduced polycystic ovary murine model. Arch Pharm Res. 2009;32(3):347-52. 

  36. 양승정, 등. 蒼附導痰湯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발된 백서의 다낭성 난소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2):1-11. 

  37. 유영기, 등. 腎氣丸合蒼附導痰湯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발된 흰쥐의 다낭성 난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1):84-98. 

  38. 남은정, 등. 定經湯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발된 흰쥐의 다낭성 난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1):99-113. 

  39. 김희주, 김윤상, 임은미. 蒼附六君湯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발된 흰쥐의 다낭성 난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2):1-16. 

  40. 이연경, 등. 歸脾湯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발된 흰쥐의 다낭성 난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3):60-74. 

  41. 윤문희, 등. 開鬱二陳湯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도된 흰쥐의 다낭성 난소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0;23(2):1-19. 

  42. 김종대, 등. 五積散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발된 다낭성 난소 모델에서 난포의 성숙 및 NGF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24(1):27-41. 

  43. 전국한의과대학 병리학 교실 編. 동의병리학 서울:一中社. 1999:152-65, 272-4, 424-6. 

  44. 宋炳基. 韓方婦人科學. 서울:행림출판사. 1995:17-9. 

  45. 한의부인과학교재편찬위원회. 韓醫婦人科學(上). 서울:도서출판 정담. 2002:61, 101, 190-1. 

  46. Gary E. Ackerman, et al. Aromatization of Androstenedione by Human Adipose Tissue Stromal Cells in Monolayer Culture.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1981; 53(2):412. 

  47. L.W. Swanson, et al. Organization of Ovine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Immuno -reactive Cells and Fibers in the Rat Brain: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Neuro Endocrinology. 1983;36(3):165-86. 

  48. 한혜숙, 등. 血府逐瘀湯加味方의 炎症病理因子와 酸化力損傷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1):99-116. 

  49. 임현정, 등. 血府逐瘀湯加味方의 抗血栓作用에 대한 實驗的硏究. 대한 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1):117-33. 

  50. 문나영, 김동철, 백승희. 혈부축어탕이 자궁근종세포의 증식억제와 Apoptosis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2):186-98. 

  51. 洪喜鐸, 金?烈, 李泰均. 血府逐瘀湯이 免疫機能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6;9(1):177-89. 

  52. 박종형, 등. 血府逐瘀湯이 血栓生成關與因子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0;21(5):819-27. 

  53. 최유경, 등. 血府逐瘀湯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6(3):162-75. 

  54. 崔順子. 血府逐瘀湯이 STZ 糖尿病Rat의 高脂血證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4. 

  55. 梁秀光. 血府逐瘀湯이 STZ 유도 糖尿病상태의 肝機能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4. 

  56. 李眞華, 등. 血府逐瘀湯이 癌轉移抑制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종양의학회지. 1999;5(1):61-75. 

  57. 馬敏珠. 血府逐瘀湯治療子宮內膜異位症. 上海中醫藥雜誌. 1993;2:16-7. 

  58. 陳子富. 宋向元治瘀經驗發揮. 北京中醫學院學報. 1986;3:149-17. 

  59. Anderson E, Lee GY, O'Brien K. PCO condition in dehydroepiandrosterone -treated rat model: Hyperandrogenism and the resumption of meiosis are major initial events associated with cystogenesis of antral follicles. Reproductive Biology. 1998;249(1) :44-53. 

  60. Louise Manneras, et al. A new rat model exhibiting both ovarian and metabolic characteristic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Endocrinology. 2007; 148(8):3781-91. 

  61. Farookhi R, Hemmings R, Brawer JR. Unilateral ovariectomy restores ovulatory cyclicity in rats with a polycystic ovarian condition. Biol Reprod. 1985; 32(3):530-40. 

  62. 김정훈. PCOS 치료의 최신지견. Korean Journal of Ob & Gy. 2005;48(8):1853. 

  63. 구병삼. 임상 부인과 내분비학 제2판. 서울:고려의학. 2001:87 

  64. Levi MR. The nerve growth factor 35 years later. Science. 1987;237 :1154-62. 

  65. G.A. Dissen, et al. Intraovarian excess of nerve growth factor increases androgen secretion and disrupts estrous cyclicity in the rat. Endocrinology. 2000;141(3):1073-81. 

  66. H.E. Lara, et al. An increased intraovarian synthesis of nerve growth factor and its low affinity receptor is a principal component of steroid-induced polycystic ovary in the rat. Endocrinology. 2000; 141:1059-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