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경종옥탕가미방으로 호전된 다낭성난소증후군에 의한 희발월경 환자 증례 보고
Case Report of Patients of Oligomenorrhea due to Polycystic Ovarian Syndrome Improved by Jokyeongjongok-tang-gami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33 no.3, 2020년, pp.175 - 186  

김민욱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의학교실) ,  김보리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감은영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과피부의학교실) ,  양승정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조성희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Jokyeongjongok-tang-gami in case of oligomenorrhea patients classified with gan-ulgiche and eumheo due to polycystic ovary syndrome. Methods: Three patients suffering from oligomenorrhea due to polycystic ovary syndrome were treated wi...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調經種玉湯의 효능이 다낭성난소증후군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저자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으로 인한 희발월경 환자에게 調經種玉湯加味方을 투여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란 가임기 여성에서 약 4~8% 정도의 유병률을 보이는 가장 흔한 내분비 질환 중 하나로 고안드로겐증과 만성 무배란을 특징으로 한다. 원인과 발생기전은 여전히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며 진단을 위한 세 가지 중요한 특징은 고안드로겐혈증, 만성무배란, 초음파상 관찰되는 다낭성 난소형태이며 이를 유발할 만한 다른 질환이 없는 경우에 성립한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진단을 위한 세 가지 중요한 특징은 무엇인가?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란 가임기 여성에서 약 4~8% 정도의 유병률을 보이는 가장 흔한 내분비 질환 중 하나로 고안드로겐증과 만성 무배란을 특징으로 한다. 원인과 발생기전은 여전히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며 진단을 위한 세 가지 중요한 특징은 고안드로겐혈증, 만성무배란, 초음파상 관찰되는 다낭성 난소형태이며 이를 유발할 만한 다른 질환이 없는 경우에 성립한다. 만성 무배란은 희발월경이나 무월경 상태로 분명히 드러나며 희발월경은 1년에 8회 미만의 월경 또는 35일보다 긴 주기로 정의하고, 무월경은 임신이 아니면서 3개월 이상 생리가 없는 것으로 정의한다.
무배란은 난소 증후군 환자에게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만성 무배란은 희발월경이나 무월경 상태로 분명히 드러나며 희발월경은 1년에 8회 미만의 월경 또는 35일보다 긴 주기로 정의하고, 무월경은 임신이 아니면서 3개월 이상 생리가 없는 것으로 정의한다. 무배란은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약 20~50%의 환자에서 무월경으로 나타나며 불규칙한 월경주기는 약 70%에서 나타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Gynecology. 5th rev. ed. Seoul:Korea Medical Book Publishing Company. 2015:362-71, 488-500. 

  2. Yoon JG, et al. Electroacupuncture for Treatment of Polycystic Ovarian Syndrome: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Korean Obstet Gynecol. 2018;31(4):39-53. 

  3. Um HY, et al. A survey of oral contraceptive utilization patterns and adverse event in Korean women aged 20 to 49 year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5;41(1):1-11. 

  4. Park SH, et al.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patients in a Korean medicine hospital. J Korean Obstet Gynecol. 2019;32(1):37-47. 

  5.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3rd volume). 1st rev. ed. Seoul:Euiseongdang. 2016:19-20. 

  6. Heo J. Donguibogam. 1st rev. ed. Seoul:Namsandang. 1991:603-5. 

  7. Yang JM, et al. Effects of Jokyeongjongok-tang on the Maturation of Follicles and NGF Expression in Rats with Estradiol Valerate-induced Polycystic Ovaries, J Korean Obstet Gynecol. 2011;24(2):52-67. 

  8. Hwang JY, Lee BS. Polycystic Ovary Syndrome and Insulin Resistance.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006;49(6):1179-87. 

  9. Barbieri RL, Smith S, Ryan KJ. The role of hyperinsulinemia in the pathogenesis of ovarian hyperandrogenism. Fertil Steril. 1988;50(2):197-212. 

  10. Legro RS, Zhang H. Letrozole versus Clomiphene for Infertility in the Polycystic Ovary Syndrome. N EnglJ Med. 2014;371(15):119-29. 

  11. Committee on Compilation of Textbook of Korean Society for Herbology. Herbology. 2nd rev. ed. Seoul: Yeongrimsa. 2004:633-4, 630-1, 447-8, 635-6, 389-90, 345-6, 379-80, 375-7, 171-2, 451-2, 235-6, 396-7, 460-1, 581-2, 655-6. 

  12. Yoon YG. Science of Korean medicine and Commentary of prescription. 3rd rev. ed. Seoul:Euiseongdang. 2007:263-4. 

  13. Yoo YK, et al. Effects of Shingihwanhapchangbudodam-tang on the Estradiol alerate-induced Polycystic Ovary in Rats. J Korean Obstet Gynecol. 2007;20(1):84-98. 

  14. Kim HJ, et al. Effects of Changbuyeukgun-tang on the Estradiol Valerate - induced Polycystic Ovaries in Rats. J Korean Obstet Gynecol. 2008;21(2):1-16. 

  15. Yun MH, et al. Effects of Gaeullijin-tang on the Progression of the Estradiol Valerate-induced Polycystic Ovaries in Rats. J Korean Obstet Gynecol. 2010;23(2):1-19. 

  16. Yeo EJ, et al. Effects of Pinelliae Rhizoma(PR) on Ovarian Tissue in Polycystic Ovary Syndrome(PCOS) Rats. J Korean Obstet Gynecol. 2012;25(2):66-77. 

  17. Yang DS, et al. Effects of Cyperi Rhizoma (CR) on the Polycystic Ovaries Induced by Estradiol Valerate in Rats. J Korean Obstet Gynecol. 2010;23(4):35-46. 

  18. Hwangbo SM, et al. 6 cases of polycystic ovarian disease patients recovering ovulatory menstrual cycle with the Korean medical treatment : a case report. J Korean Obstet Gynecol. 2019;32(1):108-26. 

  19. Kwon SR, et al.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Sam mgyo(SP-6). hagung (CA-111) on Polycystic Ovary in Rats, J Korean Obstet Gynecol. 2003;16(2):76-86. 

  20. Committee on Compilation of Textbook of Korean Society for Acupuncture points. Acupuncture points. 4th rev. ed. Paju:Cheongdam Publishing Company. 2020:214-6, 207-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