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병(溫病) 혈증(血證)의 낙맥병기(絡脈病機)에 대한 고찰 -주객교(主客交)와 건혈(乾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lateral Vessel Pathology(絡脈病機) of Blood Disease(血證) in Onbyeong(溫病) with focus on Ju-Gaek-Gyo(主客交, guest-host minglement) and Dry Blood(乾血)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5 no.1, 2012년, pp.89 - 115  

김동휘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기초한의과학과) ,  정창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장우창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류정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백유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Blood disease is common these days due to modern man's excessiveness in Yang heat (陽熱) and vulnerability of the Eum blood(陰血). This exposes them to warmheat/ dampness-heat diseases, where pathogenic heat easily penetrates the blood dimension(血分) creating stagnated blood(瘀血). Consequentl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韓醫學의 역사의 변화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지금까지 韓醫學의 역사를 살펴보면, 어느 시대에는 陽氣를 중시했다가 어느 시대에는 陰精을 중시해왔다1). 이러한 변화에는 각 시대마다의 기후, 사회, 경제, 문화 등의 여러 요인이 작용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현대인의 상황을 살펴보면, 지구 온난화로 인해 평균기온이 오르고 겨울이 짧아졌으며, 호르몬제, 항생제, 방부제, 농약, 화학비료 등에 오염된 飮食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고, 인스턴트 飮食과 肉類와 당분을 과다하게 섭취하며, 藥物의 오남용이 심각하고, 여름과 겨울에 과도하게 냉난방을 하며, 밤늦게까지 잠을 자지 않는 경우가 많다2).
사람의 몸 속의 환경에 따라 疾病의 성질은 어떻게 바뀌는가? 지구를 보면 환경에 따라 植生하는 식물이 다양하며 환경이 변하면 이에 맞춰 식물군의 변화가 일어난다. 이와 똑같이 疾病의 성질은 그 疾病에 걸리는 사람 몸속의 환경에 따라 좌우되는데, 陽氣가 약하면 傷寒類의 疾病에 걸리기 쉽고 陰氣가 약하면 溫病類의 疾病에 걸리기 쉽다. 지금까지 韓醫學의 역사를 살펴보면, 어느 시대에는 陽氣를 중시했다가 어느 시대에는 陰精을 중시해왔다1).
우리나라 현대인의 상황은 어떠한가? 이러한 변화에는 각 시대마다의 기후, 사회, 경제, 문화 등의 여러 요인이 작용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현대인의 상황을 살펴보면, 지구 온난화로 인해 평균기온이 오르고 겨울이 짧아졌으며, 호르몬제, 항생제, 방부제, 농약, 화학비료 등에 오염된 飮食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고, 인스턴트 飮食과 肉類와 당분을 과다하게 섭취하며, 藥物의 오남용이 심각하고, 여름과 겨울에 과도하게 냉난방을 하며, 밤늦게까지 잠을 자지 않는 경우가 많다2). 이러한 요인들은 결과적으로 精을 약화시켜 陰虛로 인한 熱性 질병들이 多發하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陰血이 약하기 때문에 熱性 질병을 앓는 과정에서 邪熱이 쉽게 血分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丁彰炫. 內外.陰陽의 관점에서 본 韓醫學의 歷史.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8. 21(4). p.9. 

  2. 方正均. 向後 疾病 樣態의 變化에 대한 연구. 2005. 18(4). pp.71-78. 

  3. 白裕相.?? 金?要略.驚悸吐?下血胸滿瘀血病脈證治의 瘀血證에 대한 小考.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1. 24(6). p.38. 

  4. 白裕相. 營衛陰陽論의 변천에 대한 小考 - 黃帝內經과 溫病學說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1. 24(1). p.44. 

  5. 柳姃我. 水穀의 人體內 代謝科程 설명모델.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8. 21(1). p.73. 

  6. 朴贊國. 懸吐國譯黃帝內經素問注釋. 경기도 파주. 집문당. 2005. p.91, 436. 

  7. 洪元植.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1985. p.39, 57, 74, 200. pp.252-253. 

  8. 洪元植. 精校黃帝內經靈樞.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1985. p.69, 115, 286, 287. pp.79-85. 

  9. 吳鞠通 著, 丁彰炫 譯. 國譯 溫病條辨. 경기도 파주시. 집문당. 2004. p.582, 672. pp.398-399. 

  10. 趙紹琴, 胡定邦, 劉景源 編著, 이용범, 신영일, 방정균, 정창현 譯. 國譯 溫病縱橫. 경기도 파주시. 집문당. 2004. p.273, 274. pp.29-32, 286-287. 

  11. 李劉坤. 臨床溫病學特講. 서울. 대성의학사. 2001. p.102, 104, 358, 387, 388. pp.199-202. 

  12. 허준 지음, 동의문헌연구실 옮김, 진주표 주석, 권영규?김광중 외 감수. 新對譯東醫寶鑑. 서울. 법인문화사. 2009. p.336, 474, 1358, pp.1902- 1903. 

  13. 東洋醫學大辭典編纂委員會 編著. 東洋醫學大辭典. 서울. 慶熙大學校 出版局. 1999. 2권 p.38, 203. 4권 p.113. 9권 p.556. 

  14. 이천 編著, 진주표 譯解. 新對譯編註醫學入門. 서울. 법인문화사. 2009. p.611, 612, 659, 661, 754, 756, 1250, 1401, 1921. 

  15. 江蘇新醫學院 編, 김창민 외 譯. 中藥大辭典. 서울. 정담. 2004. p.1318, 3622, 3624. 

  16. 鄒澍 지음, 임진석 옮김. 本經疏證. 서울. 대성의학사. 2001. p.348, 350. 

  17. 白上龍 譯注. 國譯補注 溫熱經緯 (下卷). 서울. 木과 土. 2001. p.118, 120. 

  18. 朴贊國 編譯. 臟象學. 서울. 成輔社. 2002. p.64. 

  19. 崔三燮, 朴贊國 編著. 溫病學. 서울. 成輔社. 1989. p.305. 

  20. 전국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 경락경혈학교재편찬위원해. 大學經絡經穴學總論. 강원도 원주시. 의방출판사. 2009. p.59. 

  21. 배병철 篇. 標準臨床方劑學. 서울. 成輔社. 1995. p.330, 344, 471. 

  22. 陳柱杓 註釋, 東醫文獻硏究室 再編輯. 金元四大家醫學全書(上). 서울. 法仁文化社. 2007. p.1057. 

  23. 商務印書館 編. 中國醫學大系 47. 臺北. 商務印書館. 1990. p.779-3, 779-15, 779-49, 779-50, 779-51. 

  24. 唐容川. 血證論.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6. p.31, 243. pp.113-118, 

  25. 郭秀梅, 岡田硏吉 編集, 崔仲平 審訂. 日本醫家金?要略注解輯要. 北京. 學苑出版社. 1999. p.78, 109, 112. 

  26. 李順保 編. 溫病學全書. 北京. 學苑出版社. 2002. p.390, 391, 399. 

  27. 鄭洪新, 李敬林 主編. 周學海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p.292, 309. 

  28. 黃英志 主編. 葉天士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9. p.105, 213, 247. pp.341-342. 

  29. 盛增秀 主編. 王孟英醫學全書. 中國中醫藥出版社. 北京. 1999. p.79, 120. 

  30. 張錫純. 醫學衷中參書錄. 石家莊. 河北科學技術出版社. 2002. p.23, 25, 321, 390. 

  31. 黃宮繡. 本草求眞. 臺北. 宏業書局. 1981. p.91, 94, 140. 

  32. 馬繼興 主編. 神農本草經輯注.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5. p.284, 327, 338. pp.443-444. 

  33. 吳以嶺 主編. 絡病學. 北京. 中國科學技術出版社. 2004. p.72, 120, 644. 

  34. 朴贊國. 아토피의 진단과 치료(3, 5, 6). 2008.12.5. 2008.12.19. 2008.12.29. http://www.mjmedi.com/news/articleView.html?idxno15207 

  35. 朴贊國. 溫病學 臨床特講 자료집.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