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병조변(溫病條辨)』에 나타난 양조(凉燥) 개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oncept of Cold Dryness in 『Wenbingtiaobian(溫病條辨)』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31 no.1, 2018년, pp.1 - 14  

은석민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paper reviews the possibility of confusing wind-cold and cold dryness that can be found in the critical discussion revolving Wu Jutong's concept of cold dryness. With this, the paper aims to refresh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cold dryness as put together by Wu Jutong. M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楊上善은 “肺惡寒”과 “腎惡燥”라는 개념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으며, 그 이치를 燥와 寒의 상관성을 통해 풀면서 『素問』 본래의 내용을 합리화시키고자 하였다.
  • 즉 吳鞠通이 「補秋燥勝氣論」 에서 凉燥의 개념을 새롭게 논하였다고는 해도, 그의 논의에 대한 강한 비판이 존재하는 것은 그가 말한 凉燥의 개념이 과연 燥邪 자체의 독립적인 본연의 속성을 지니는 것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비록 吳鞠通을 비판하는 입장에서는 兪根初 등의 예를 凉燥 개념의 올바른 전형으로 제시하고는 있지만, 이 고찰 부분에서는 의학이론에서 凉燥 개념이 논의된 부분들을 거시적으로 살펴보면서 吳鞠通의 凉燥 개념이 지니는 이론적 의의를 다시 생각해 보고자 한다.
  • 이 같은 문제를 통해 吳鞠通의 凉燥 개념을 새롭게 고찰하는 것은 이후 凉燥 개념의 연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이 연구에서는 吳鞠通이 『溫病條辨』에서 말한 凉燥 개념과 그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차례로 살펴본 다음, 吳鞠通의 凉燥 개념에 일정한 타당성이 있다면 그것이 어떤 이론적 근거를 지닐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고찰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이 같은 고찰이 燥病에 대한 논의에 다소나마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이 연구에서는 吳鞠通의 凉燥 개념이 어떤 추가적인 이론적 근거를 지닐 수 있는지를 더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역대 의가들의 논의를 보면 寒邪에 의해 腎燥의 증이 나타남을 논한 예들이 존재하며, 여기에서 腎燥의 증은 『內經』에서 말한 “腎苦燥”의 개념으로 설명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燥의 개념은 ? 凉燥 개념은 六氣 중 하나인 燥를 그 寒溫 속성 내지 證의 발현양상에 따라 나눔에 있어 溫燥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燥의 개념은 역대 의학이론에서 六氣 중 다른 것들에 비해 비교적 그 관련 논의가 많지 않았던 가운데 病因 또는 證의 개념이 중첩되면서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燥의 속성을 寒한 것으로 보는 개념이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게 된 것은 淸代에 吳鞠通이 『溫病條辨』에서 燥의 속성을 寒과 같은 부류의 것으로 언급한이후로 여겨지고 있다.1) 吳鞠通은 본래 『溫病條辨』 의 「秋燥」 부분에서 喩嘉言의 秋燥論 등을 따라 燥를 溫한 속성의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후 「補秋燥勝氣論」이라는 편을 새로 부가하면서 燥가 寒과 같은 속성을 지니는 것이라는 이른바 凉燥의 개념을 제시했던 것이다.
凉燥 개념은 어떻게 제시되는가 ? 凉燥 개념은 六氣 중 하나인 燥를 그 寒溫 속성 내지 證의 발현양상에 따라 나눔에 있어 溫燥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燥의 개념은 역대 의학이론에서 六氣 중 다른 것들에 비해 비교적 그 관련 논의가 많지 않았던 가운데 病因 또는 證의 개념이 중첩되면서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燥의 속성을 寒한 것으로 보는 개념이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게 된 것은 淸代에 吳鞠通이 『溫病條辨』에서 燥의 속성을 寒과 같은 부류의 것으로 언급한이후로 여겨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