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 발효에 의한 GABA 함유 토마토 페이스트의 생산
Production of GABA-rich Tomato Paste by Lactobacillus sp.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1, 2012년, pp.26 - 31  

조석철 (서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동현 (동국대학교 화학생물공학과) ,  박장서 (동국대학교 화학생물공학과) ,  고종호 (한국폴리텍바이오대학 바이오식품분석과) ,  변유량 ((주)바이오벤) ,  국무창 (안양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mma}$-Aminobutyric acid(GABA)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으로서, 신경전달물질, 뇌기능 촉진뿐 아니라, 혈압 저하 작용, 이뇨 작용, 항우울증 작용, 항산화 작용 등의 효과뿐만 아니라, 성장 호르몬의 분비 조절에도 관여하며, 통증 완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토마토의 베타카로틴과 리코펜은 암 예방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 C 함유량은 다른 야채보다 월등히 높고 노화를 막으며, 골다공증 및 노인성 치매를 예방하는데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여러 종류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글루탐산의 함유량은 매우 높다. 한국 전통식품 유래 균들인 식물성 유산균 중에서 토마토 발효에 적합한 GABA 생산 유산균을 선별하고, 이를 활용하여 GABA 함유 토마토 발효물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였다. 토마토 페이스트에 50%(wet-base) 수준으로 가수를 한 후, GABA 생산 유산균을 각각 $1.5{\times}10^7\;CFU/m{\ell}$ 수준으로 조정하여 접종하여, 배양한 결과, Lb. brevis B1-31, Lb. brevis B3-20, Lb. brevis B3-39 등 3종의 유산균이 우수한 생육을 보였다. 이들 3주를 이용하여 GABA 생산량을 검토한 결과, Lb. brevis B3-20을 이용하여 배양한 군에서 최대의 GABA 생산을 보였다. 토마토 페이스와 물의 비율을 2:8(wet-base)로 하여 배양한 경우, 최대 54.7 mM 수준의 GABA가 생산되었으며, 질소원으로 yeast extract를 0.5%(w/w) 수준으로 첨가한 후, MSG를 3%(w/w) 수준으로 첨가한 배양에서 143.38 mM의 GABA가 생산되었다. GABA 함유 토마토 페이스트의 활성산소 제거능력을 검토한 결과, 활성 산소 제거능이 증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3%(w/w) MSG를 첨가하여 발효한 토마토 페이스가 가장 낮은 농도에서 50% 수준의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GABA 함유 토마토 페이스트 발효물은 원물 토마토의 ascorbic acid, lycopene, carotenoid 등과 같은 기능성 성분뿐만 아니라, 유산균 발효에 의한 GABA 등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 그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토마토 음료, 토마토 케첩 등과 같은 다양한 가공식품의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purpose of production of GABA-rich tomato past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GABA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Kimchi and optimize the culture conditions. As a result of fermentation, Lactobacillus brevis B3-20 among lactic acid bact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용된 토마토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glutamic acid와 GABA의 함유량을 검토한 결과, 매우 적은 양의 glutamic acid와 GABA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저한 GABA 전환을 확인하기 위하여 1%(w/w) 수준의 MSG(mono sodium glutamate)를 첨가한 군과 미첨가 군을 나누어 선별된 Lb. brevis B1-31, Lb.
  • 본 연구를 통하여 선행 연구를 통해 확보된 한국 전통식품 유래 균들인 식물성 유산균 중에서 토마토 발효에 적합한 GABA 생산 유산균을 선별하고, 이를 활용하여 GABA 함유 토마토 발효물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γ-Aminobutyric acid 기능은 무엇인가? γ-Aminobutyric acid(GABA)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으로서, 사람에 있어서는 신경계, 혈액에 함유되어 있으나, 대부분은 뇌의 골수에 존재하여 aectyl choline이라 불리는 신경전달 물질을 증가시키고, 뇌기능을 촉진시키는 등의 생리작용뿐 아니라, 혈압 저하 작용, 이뇨작용, 항산화 작용, 성장 호르몬의 분비 조절에도 관여하며, 통증 완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ng 등 1992; Krogsgaard-Larsen P 1989; Leventhal 등 2003; Park 등 2002; Shelp 등 1999).
γ-Aminobutyric acid란 무엇인가? γ-Aminobutyric acid(GABA)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으로서, 사람에 있어서는 신경계, 혈액에 함유되어 있으나, 대부분은 뇌의 골수에 존재하여 aectyl choline이라 불리는 신경전달 물질을 증가시키고, 뇌기능을 촉진시키는 등의 생리작용뿐 아니라, 혈압 저하 작용, 이뇨작용, 항산화 작용, 성장 호르몬의 분비 조절에도 관여하며, 통증 완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ng 등 1992; Krogsgaard-Larsen P 1989; Leventhal 등 2003; Park 등 2002; Shelp 등 1999).
γ-Aminobutyric acid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GABA는 glutamic acid decarboxylase(GAD)에 의해 glutamate가 비가역적으로 탈탄산화되어 생성되는데, GAD와 GABA는 미생물에서부터 고등생물까지 널리 발견되고 있다. 고등생물의 중추신경계에서 GABA는 억제성 neurotransmitter로 잘 알려져 있는데, GAD에 의해 흥분성 neurotransmitter인 glutamate와 GABA의 농도가 조절되고 있다(Ueno H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ang JS, Lee BS, Kim YG. 1992. Changes in ${\gamma}$ -aminobutyric acid(GABA) and the main constituents by a treatment conditions and of anaerobically treated green tea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315-319 

  2. Cho YR, Ji YC, Hae CC. 2007. Producton of ${\gamma}$ -aminobutyric acid(GABA) by Lactobacillus buchneri isolated from Kimchi and its neuroprotective effect on neuronal cells. J Microbiol Biotechnol 17:104-109 

  3. Cross ML. 2004. Immune-signaling by orally-delivered probiotic bacteria: Effects on common mucosal immunoresponses and protection at distal mucosal sites. Int J Immunopathol Pharmacol 17:127-134 

  4. Han SB, Kim YH. 2006. Production method of ${\gamma}$ -aminobutyric acid-enforced fermentative products by lactic acid bacteria, ${\gamma}$ -aminobutyric acid-enforced fermentative products producedby the method and their utilization. Korea Patent 10-0547018 

  5. Hao R, Schmit JC. 1993. Cloning of the gene for glutamate decarboxylase and its expression during condiation in Neurospora crassa. Biochem J 15:887-890 

  6. Ibolya MP, Vasanits A. 1999. St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o-phthaldialdehyde/3-mercaptopropionic acid and o-phthaldialdehyde/N-acetyl-L-cysteine reagents and their amino acid derivatives measur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835:73-91 

  7. Jeun JH, Kim HD, Lee HS, Ryu BH.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us sp. produced ${\gamma}$ -aminobutyric acid(GABA) form traditional slat fermented anchovy. Korean J Food Nutr 1:72-79 

  8. Komatsuzaki N, Shima, J, Kawamoto S, Momose H, Timura T. 2005. Produc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GABA) by Lactobacillus paracasei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Food Microbiol 22:497-504 

  9. Kono I, Himeno K. 2000. Changes in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 during beni-koji making. Biosci Biotechnol Biochem 64:617-619 

  10. Krogsgaard-Larsen P. 1989. GABA receptors. In Receptor phamacolog function. Williams M, Glennon RA, Timmermans PMWM, eds. Dekker, Inc., New York, pp. 349-383. 

  11. Lee HB, Yang CB, YU TJ. 1972.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fruit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6-43 

  12. Leventhal AG, Wang YC, Pu ML, Zhou YF, Ma Y. 2003. GABA and its agonists improved visual cortical function in senescent monkeys. Science 300:812-815 

  13. Maras B, Sweeney G, Barra D, Bossa F, Jhon RA. 1992. The amino acid sequence of glutamate decarboxylase from Escherichia coli. Eur J Biochem 206:93-98 

  14. Park JH, Han SH, Shin MK, Park KH, Lim KC. 2002. Effect of hypertention falling of functional GABA green t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37-40 

  15. Park KB, Oh SH. 2006. Cloning, sequencing and expression of a novel glutamate decarboxylase gene from a newly isolated lactic acid bacterium, Lactobacillus brevis OPK-3. Bioresoure Tech (available online) 98:312-319 

  16. Park KB, Oh SH.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buchneri Strains with high ${\gamma}$ -aminobutyric acid producing capacity from naturally aged cheese. Food Sci Biotechnol 15:86-90 

  17. Pratta G, Zorzoli R, Boggio SB, Picardi LA, Valle EM. 2004. Glutamine and glutamate levels and related metabolizing enzymes in tomato fruits with different shelf-life. Scientia Horticulturae 100:341-347 

  18. Saikusa T, Horino T, Moki Y. 1994. Accumul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GABA) in the germ during water soaking. Biosci Biotech Biochem 58:2291-2292 

  19. Shelp BJ, Bown AW, McLean MD. 1999. Metabolism and functions of gamma-aminobutyric acid. Trends Plant Sci 4:446-452 

  20. Takashi H, Mikiya T, Masaki O, Teppei T, Morihiko S. 2000.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fractions of Spirulina platensis protean extract. Farmaco 56:497-500 

  21. Tcherkas YV, Kartsova LA, Krasnova IN. 2001. Analysis of amino acids in human serum by isocratic reversed 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J Chromatogr A 913:303-308 

  22. Tsushida T, Murai T. 1987. Conversion of glutamic acid to ${\gamma}$ -aminobutyric acid in tea reaves under anaerobic conditions. Agric Biol Chem 51:2856-2871 

  23. Ueno H. 2000. Enzymatic and structural aspects on glutamate decarboxylase. J Mol Catal B Enzym 10:67-69 

  24. Ueno Y, Hayakawa K, Takahashi S, Oda K. 1997.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lutamate decarboxylase from Lactobacillus brevis IFO 12005. Biosci Biotech Biochem 61:1168-1171 

  25. Yang SY, Lu FX, Lu ZX, Bie XM, Jiao Y, Sun LJ, Yu B. 2008. Product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by 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Y2 under submerged fermentation. Amino Acids 34:473-478 

  26. Yokoyama S, Hiramatsu J, Hayakawa, K. 2002. Production of ${\gamma}$ -amminobutyric acid from alcohol distillery lees by Lactobacillus brevis IFO 12005. J Biosci Bioeng 93:95-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