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자성소재 연구를 위한 중성자산란 입문
Introduction to Neutron Scattering for Magnetic Materials Research 원문보기

韓國磁氣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v.22 no.3, 2012년, pp.103 - 108  

정재홍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복합다체계물성연구센터(CSCMR)) ,  이상현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복합다체계물성연구센터(CSCMR)) ,  박제근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복합다체계물성연구센터(CSCMR))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A}$의 파장과 수 meV에서 수백 meV의 에너지를 가지는 중성자는 물질의 구조와 동역학을 연구하는데 적절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런 중성자 산란은 지난 60여년 동안 발전되어 이제는 응집물질물리학을 비롯한 다양한 재료과학 분야에서 대표적이고 핵심적인 실험방법으로 자리잡았다. 본고에서는 이런 중성자 산란을 이용한 구조 및 동역학 연구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고 간단한 예를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ving a de Broglie wavelength of a few ${\AA}$ with its corresponding energies in the range of a few to a few hundreds meV, neutrons are ideally suited for the studies of structure and dynamics in condensed matter research. Neutron scattering has been developed over the past 60 years or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물질의 구조를 연구하는 전통적 방법에는 X-선 산란, 중성자 산란 등이 있고, 동역학 연구에는 라만 분광법, 중성자 산란 분광법 등이 있다. 본고에서는 자성소재 연구에서 중요한 중성자 산란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고 이를 이용한 연구의 구체적인 예를 들고자 한다. 보다 다양한 중성자 산란의 소개와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용원자로 하나로에 설치된 장치에 대한 설명은 한국물리학회에서 발행하는 물리학과 첨단기술에 실린 글들을 읽어 보기를 권한다[1].

가설 설정

  • 이 시늉내기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의 하나로(HANARO)에 있는 고분해능 분말회절장치(High Resolution Powder Diffractometer)의 파장(λ = 1.834 Å)과 장치변수(U, V, W)를 사용하였고, 시료로는 망간원자(Mn4+)가 격자상수가 3Å인 가상의 단순입방구조(simple cubic)를 가지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집물질물리학의 목적은 무엇인가? 물질의 고체상태를 연구하는 응집물질물리학이란 넓은 의미에서 고체상태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상전이를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런 물질의 상전이는 수없이 많은 모습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격자(lattice), 전하(charge), 스핀(spin), 궤도(orbital)의 네 가지 자유도에 기반하여 이해할 수 있다.
물질의 구조를 연구하는 전통적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이런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물질의 격자 구조뿐 아니라 자성 구조 및 미시적 동역학에 대해서도 다각도로 접근하여야 한다. 물질의 구조를 연구하는 전통적 방법에는 X-선 산란, 중성자 산란 등이 있고, 동역학 연구에는 라만 분광법, 중성자 산란 분광법 등이 있다. 본고에서는 자성소재 연구에서 중요한 중성자 산란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고 이를 이용한 연구의 구체적인 예를 들고자 한다.
자성재료의 연구가 스핀과 궤도의 구조와 동역학을 이해하는 것임을 보여주는 예시는? 이중 스핀과 궤도는 자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자성재료의 연구는 이런 스핀과 궤도의 구조와 동역학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를 들면, 물질 내 전자의 스핀이 어떻게 배열되는가에 따라 상자성, 강자성, 반강자성이 일어나고, 다른 자유도와 결합하면 스핀-격자 상호작용, 스핀-궤도상호작용 등 복잡한 현상이 일어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물리학과첨단기술 18, 5월호 (2009). 

  2. T. Mason, Physics Today 59, 44 (2006). 

  3. T. Kamiyama, private communications (2003). 

  4. J. D. Jorgensen, M. A. Beno, D. G. Hinks, L. Soderholm, K. J. Volin, R. L. Hitterman, J. D. Grace, and Ivan K. Schuller, Phys. Rev. B 36, 3608 (1987). 

  5. J. D. Jorgensen, B. W. Veal, W. K. Kwok, G. W. Crabtree, A. Umezawa, L. J. Nowicki, and A. P. Paulikas, Phys. Rev. B 36, 5731 (1987). 

  6. J. Park, S. Lee, M. Kang, K.-H. Jang, C. Lee, S. V. Streltsov, V. V. Mazurenko, M. V. Valentyuk, J. E. Medvedeva, T. Kamiyama, and J.-G. Park, Phys. Rev. B 82, 054428 (2010). 

  7. S. Lee, A. Pirogov, M. Kang, K.-H. Jang, M. Yonemura, T. Kamiyama, S.-W. Chenog, F. Gozzo, N. Shin, H. Kimura, Y. Noda, and J.-G. Park, Nature 451, 805 (2008). 

  8. F. Boue, R. Cywinski, A. Furrer, H. Glattli, S. Kilcoyne, R. L. McGreevy, D. McMorrow, D. Myles, H. Ott, M. Rubhausen, and G. Weill, Neutron Scattering and Complementary Experimental Techniques. The ESS Project, Volume II, Chapter 5. ESS Council, Druckerei Plump (2002). 

  9. B. Brockhouse and A. T. Stewart, Phys. Rev. 100, 756 (1955). 

  10. R. M. Kicklow, G. Gilat, H. G. Smith, L. J. Raubenheimer, and M. K. Wilkinson, Phys. Rev. 164, 922 (1967). 

  11. T. J. Sato, S.-H. Lee, T. Katsufuji, M. Masaki, S. Park, J. R. D. Copley, and H. Takagi, Phys. Rev. 68, 014432 (2003). 

  12. J. Jeong, E. A. Goremychkin, T. Guidi, K. Nakajima, G. S. Jeon, S.-A. Kim, S. Furukawa, Y. B. Kim, S. Lee, V. Kiryukhin, S.-W. Cheong, and J.-G. Park, Phys. Rev. Lett. 108, 077202 (2012).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