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육판매업소 종사자의 축산물 HACCP 제도 요구도 분석 - 서울 및 경기지역의 HACCP 지정업소와 미지정업소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Demands for HACCP System at Meat Retailors - Based on HACCP-certified and Non-certifi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 -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32 no.3, 2012년, pp.330 - 338  

이주연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석희진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백진경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  황혜선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  박대섭 (영산대학교 호텔관광대학) ,  백현동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  홍완수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식육판매업소의 종사자 271명을 대상으로 HACCP 지정업소 119명과 HACCP 미지정업소 152명에게 축산물 HACCP 제도 요구도에 관한 설문을 의뢰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사항과 HACCP 및 축산물안전관리 요구도로 구분하였으며, 평가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70.8%는 남성이었고, 연령은 30대가 35.1%,40대가 31.4%로 나타났다. 종사경력은 3년 미만이 28.0%였으며, 10년 초과는 26.6%로 나타났다. 직위는 사원이52.0%로 가장 많았고, 소득은 100-150만원 이하가 32.8%,150-250만원 이하가 31.7%를 차지하였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64.9%로 많은 분포를 나타냈으며, 계약상태는 정규직이 62.4%로 많았고, 근무시간은 60시간 초과가 48.4%를 차지하였다.HACCP 및 축산물 안전관리 요구도의 요인분석 결과HACCP 및 축산물 안전관리 요구도 속성들은 HACCP 지원, HACCP 홍보 및 교육, 축산물 안전관리의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전체업소에서 HACCP 지원요인이 3.91점으로 HACCP 홍보 및 교육요인의 3.83점과 축산물 안전관리요인의 3.72점보다 요구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HACCP 지정여부에 따른 HACCP 요구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HACCP 지정업소(4.11점)가 HACCP 미지정업소(3.57점)보다 높게 조사되었으며, 항목분석 결과, HACCP지정업소는 '정부의 대국민 축산물 HACCP 홍보'(4.35점,p<0.001) 항목이, HACCP 미지정업소는 'HACCP 지정을 위한 정부의 투자지원'(3.79점, p<0.05) 항목이 요구도 문항 중 가장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요구도 요인별로 살펴보면 HACCP 지원 요구도 요인의 경우,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항목은 'HACCP지정을 위한 정부의 투자지원'으로 HACCP 지정업소(4.18점)가, HACCP 미지정업소(3.79점) 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은 요구도를 보였으며(p<0.01), HACCP 홍보 및 교육 요구도 요인의 경우, 요구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정부의 대국민 축산물 HACCP 홍보' 항목으로 HACCP 지정업소(4.35점)가 HACCP 미지정업소(3.75점)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나(p<0.01) 이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축산물 안전관리 요구도 요인의 경우, 요구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축산물 유해 잔류물질의 검사의 강화'로HACCP 지정업소(4.14점)가 HACCP 미지정업소(3.53점)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 관심도가 높았다(p<0.001).한편, 축산물 HACCP 및 축산물 안전관리에 대한 관심은 연령이 적고 법적 근로시간을 준수하는 학력이 높은 중간관리자 집단에서 높게 나타난 바, 축산물 HACCP을 위한 교육매체 개발이나 교육대상자 교육 시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 간주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안전한 식품 소비를 위해서는 여러 전문가들이(Choe et al., 2004; Kim et al., 2002; Namet al., 2007) 식품안전 및 위생과 관련한 정부의 시책 강화와 식품가공업자 및 유통업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한 바와 같이, HACCP 지원에 대한 정부의 관심을 고취시키고 식육판매업소 종사자들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적극적인 HACCP 홍보 및 교육을 실시하면, 이들의 축산물 HACCP 및 축산물 안전관리 행동과 위생이 향상됨과 동시에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 될 때까지 식육의 안전성이 훨씬 확보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CCP is a preventative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whose application is highly encouraged worldwide. In this study, the workers' demands for the application of HACCP system at the meat retail shops were surveyed. According to a factor analysis on the demands of the application of HACCP system,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 축산물 유통단계의 최종 판매자인 식육판매업소 종사자를 대상으로 축산물 안전관리정책 및 HACCP 제도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HACCP 관리 제도의 확대 및 정착을 유도하고 소비자의 축산물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구축함과 동시에 정부의 축산물 안전정책 및 HACCP 제도 정착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축산물에 적극적인 HACCP 적용과 같은 국가적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한가? 축산물에 적극적인 HACCP 적용과 같은 국가적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를 수행하는 업체의 현황 및 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합리적이며 효율적인 제도와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최근 국가의 규제는 최소화하고, 업체의 자율적 관리를 지향하는 국제적 트렌드를 고려할 때(Lee, 2009), 우리나라의 경우도 축산식품의 안전관리를 위한 정책이나 규제를 정립할 때, 업체의 현실적 상황과 요구도를 선행적으로 조사하여 이를 반영해야 할 것이다.
서울 및 경기지역 식육판매업소의 종사자들의 설문과 안전 식품 소비와 관련된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이 연구로 어떤 점이 확보될 수 있는가? , 2002; Namet al., 2007) 식품안전 및 위생과 관련한 정부의 시책 강화와 식품가공업자 및 유통업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한 바와 같이, HACCP 지원에 대한 정부의 관심을 고취시키고 식육판매업소 종사자들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적극적인 HACCP 홍보 및 교육을 실시하면, 이들의 축산물 HACCP 및 축산물 안전관리 행동과 위생이 향상됨과 동시에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 될 때까지 식육의 안전성이 훨씬 확보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경영자의 HACCP 적용에 관한 인식이 좋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과반수의 응답자는 무엇이라고 응답 하였는가? 7%가 HACCP을 실시할 계획이 없는 이유로 ‘경제적 부담’을 제시하였고, Park(2004)의 HACCP 미지정식품업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는 ‘경영자의 HACCP 적용에 관한 인식이 좋지 않은 이유’에 대해 응답자의 58.3%가 추가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여 HACCP 제도 적용의 확대를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지원 필요성을 강조하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최근에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2007)는 ‘축산물위생 안전성 강화대책’을 발표하여 축산물 HACCP 컨설팅 지원대상 업종을 현행 3개 업종에서 7개 업종으로 대폭 확대하고, 업체의 자비부담비율을 현행 50%에서 30% 수준으로 축소하는 등의 지원책을 강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dak, G. K., Meakins, S. M., Yip, H., Lopman, B. A., and O'Brien, S. J. (2005) Disease risks from foods, England and Wales, 1996-2000. Emerg. Infect. Dis. 11, 365-372. 

  2. Celaya, C., Zabala, S. M., Perez, P., Medina, G., Manas, J., Fouz, J., Alonso, R., Anton, A., and Agundo, N. (2007) The HACCP system implementation in small businesses of Madrid's community. Food Control 18, 1314-1321. 

  3. Choe, J. S., Chun, H. K., Hwang, D. Y., and Nam, H. J. (2005)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degree of concerns about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6-74. 

  4. Choe, S. C., Yeon, G. Y., and Lee, B. O. (2004) Consumers' food preferences and safety concerns. Kor. J. Agri. Manag. Policy 31, 52-71. 

  5. Choi, H. J., Hong, I. S., Choi, Y. H., Lee, Y. H., Kim, C. G., Lee, D. J., and Lee, J. H. (2007) A study on the sorts and dosage of preservatives used in processed meat and milk products. Korean J. Vet. Serv. 30, 437-443. 

  6. Choi, M. O., Park, U. Y., and Kim, J. Y. (2001) A study on the sanitary perception of the food suppliers for the business and industry foodservice in Busan Area. J. Korean Diet Assoc. 7, 19-27. 

  7. FAO (1997).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and guidelines for its application Annex to CAC/RCP 1-1969, Rev. 3. Available from: http://www.fao.org/DOCREP/ 005/Y1579E/y1579e03.htm Accessed May. 30, 2011. 

  8. Jeon, S. K., Park, J. Y., and Kim, Y. J. (2005) Study on the customers' awareness on safety of livestock products and livestock processed foods. J. Prac. Edu. 18, 115-128. 

  9. Jonge, J., Trijp, H., Goddard, L., and Frewer, L. (2008) Consumer confidence in the safety of food in Canada and the Netherlands: The validation of a generic framwork. J. Food Quality Preference 19, 439-451. 

  10. Kim, H. C. and Kim, M. R. (2009) Consumers' awareness of the risk elements associated with foods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 regarding food safe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116-129. 

  11. Kim, Y. G. (2005) Consumption of meet and human healt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The 2005 Spring conference. Korea. pp. 21-34. (in Korean). 

  12. Kim, Y. S., Kang, K. S., and Lee, Y. S. (2002) A awareness survey of HACCP implementation in the Korean slaughterhouses. J. Fd. Hyg. Safety 17, 45-54. 

  13. Koo, J. M. (2009) Study on the hygienic performance and HACCP recognition for workers in Busan. MS thesis. Kosin Univ., Pusan, Korea. 

  14. Lee, H. K. (2002) Research for assessement of understanding HACCP and Utilization Approach. Consumers Union of Korea. Available from: http://cuk.or.kr. Accessed May. 30, 2011. 

  15. Lee, J. Y. (2009) Global trends in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HACCP. Safe Food 4, 25-32. 

  16. Lee, J. Y. and Kim, K. D.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nd concern for food safety among urban housewives. Korean J. Food Preserv. 16, 999-1007. 

  17. MGL (2010) The Labor Standard Law.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Seoul, Korea (in Korean).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W/lsSc.do?menuId0&p1&subMenu 1&searchNameLicLs%2C0&query%EA%B7%BC%EB% A1%9C%EA%B8%B0%EC%A4%80%EB%B2%95#liBgc olor2 Accessed May. 30, 2011. 

  18.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7) Livestock sanitary safety reinforcement plan. National Archives of Korea. Gwacheon, Korea (in Korean). Available from: http: //contents.archives.go.kr/next/content/listSubjectDescription. do?id008173&pageFlag. Accessed May. 30, 2011. 

  19.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9) 2009' Policy guidelines of livestock product safety management policy. National Archives of Korea. Gwacheon, Korea (in Korean). Available from: http://www2.korea.kr/expd oc/ viewDocument.req;JSESSIONID_KOREAgs8gPy2NnfTM tLZG856d68tytFzhTNbhdht0N84P22yGlGcJNVJ7!149418 6274?id22879&call_fromextlink. Accessed May. 30, 2011.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1998.2001.2005.2007. 2008.2009.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song, Korea (in Korean). Available from: http://knhanes. cdc.go.kr/ Accessed May. 30, 2011. 

  21. Nam, B. R., Nam, J. O., Park, J. M., Lee, R. M., Gu, H. J., Kim, M. H., Chang, U. J., Suh, H. J., and Kim, J. M. (2007) Survey of the status of country-of-origin labels and hygiene on the meat markets of 4 regions in Kore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122-126. 

  22. Nam, H. J. and Kim, Y. S. (2006) A survey on perceived food safety in urban residents. Korean J. Food Nutr. 19, 126-142. 

  23. Obadina, A. O., Oyewole, O. B., Sanni, L. O., Tomlins, K. I., and Westby, A. (2010) Improvement of the hygienic quality of wet 'fufu' produced in South West Nigeria. Food Control 21, 639-643. 

  24. Park, G. J., Cheon, S. J., Park, G. H., Hong, J. H., and Kim, J. W. (2003)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y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J. Fd. Hyg. Safety 18, 139-145. 

  25. Park, S. W. (2004) Attitude of employees in HACCP nonimplementation food companies in Daegu. MS thesis. Kyung Pook National Univ., Dae gu, Gyeong Sang Buk-Do, Korea. 

  26. Son, H. E. (2006) A survey on attitudes of toward food hygiene, safety awareness of HACCP of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Yeung Nam Univ., Gyeong San, Gyeong Sang Buk-Do, Korea. 

  27. Yun, J. S. (2005) A survey on attitudes of toward food hygiene, safety awareness of HACCP of university students. MS thesis. Yeung Nam Univ., Gyeong San, Gyeong Sang Buk- Do,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