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및 경기지역 식육판매업소의 위생관리 실태분석 - HACCP 지정업소와 미지정업소 비교를 중심으로 -
Survey of Hygienic Condition and Management of Meat Markets in Seoul and Gyeong-Gi Area, Korea - HACCP-certified and Non Certified -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30 no.2, 2010년, pp.336 - 344  

이주연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백진경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  황혜선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  이주은 (연세대학교 식품영양과학연구소) ,  신원선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욱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백현동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  홍완수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지역 식육판매업소를 대상으로 HACCP 지정업소 15곳과 HACCP 미지정업소 141곳에 대하여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와 공정한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기준서를 개발하여 2008년 12월~2009년 8월까지 실시하였다. 체크리스트는 업체 일반사항과 위생 관리로 구분하였으며 평가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56곳 식육판매업소의 작업장 면적은 평균 $71.05^2$이었고 전체 직원은 평균 1.76명의 정규직원과 평균 1.31명의 비정규직 직원을 고용하였다. 거래업체 중 원료공급 업체는 평균 1.56개였으며, 그 중 도매업체가 평균 60.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도축장이 평균 26.4%로 나타내어, 공급원료의 형태는 지육 보다는 대부분 정육인 포장육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2.71개로 조사된 제품납품업체에는 일반소비자가 평균 75.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일반식품 접객업소가 평균 8.7%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업소의 지역적 분포는 서울이 85.3%, 경기도가 14.7%이었으며 건물 소유 형태로는 자가 건물이 10.3%, 임대가 89.7%였다. 둘째, 식육판매업 위생관리실태조사의 5개 영역 중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한 영역은 제조시설관리 영역(1.00점/2.0점, 50.0%)이었고, 다음으로 보관 및 운반관리(1.93점/2.0점, 96.5%), 작업장관리(0.76점/2.0점, 38.0%), 개인위생관리(0.75점/2.0점, 37.5%), 검사관리(0.22점/2.0점, 11.0%)의 순으로, 검사관리 영역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HACCP 지정업소의 평균점수가 5개 영역 모두와 전체 항목에서 미지정업소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p<0.01, p<0.001). 이상의 결과로 식육판매업의 HACCP 지정업소가 미지정업소보다 위생관리를 잘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식육판매업의 HACCP 미지정업소에서는 위생관리상태의 개선이 필요하며 축산물 유통의 안전성을 위해서 좀 더 지속적인 위생지도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지고, 최종적으로는 HACCP의 적용을 통해 위생안전관리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idering the increasing trends of the consumption of livestock products in Korea, proper hygienic management and policies for ensuring their safety to protect public health and strengthen consumer confidence are demanded.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manage the livestock distribution proces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산물의 유통단계 중 최종 소비자와의 접점이 되는 식육판매업소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위생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필요 위생관리 항목을 규명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식육판매업소들 중 HACCP을 적용 혹은 미적용하는 업체들에 대한 위생관리 실태를 조사ㆍ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타당한 평가와 평가의 공정성을 위하여 체크리스트와 체트리스트의 기준서를 개발하였다. 위생실태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는 농림수산식품부 축산물 HACCP 선행요건(NVRQS, 2006),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HACCP 선행요건(KFDA, 2008), 평가도구에 관련된 선행연구(Jeon, 2005; Lee, 2006), 농림수산식품부 축산물 위생감시지침(NVRQS, 2009), Food Safety and Inspection Service(USDA, 1990) 등을 기초로 하여 개발하였고, 국내 축산물HACCP 선행요건은 위생관리를 위한 상세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 타당한 평가 도구로 체크리스트의 기준서를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축산물의 안전관리가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축산물은 농산물 중에서도 부패가 용이하여 안전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최근 국내·외에서 발생한 구제역, 조류 인플루엔자, 신종플루 등의 가축유래 질병으로 인하여 축산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경각심이 더욱 고조되었다(Lee, 2007).
우리나라 1인당 육류 소비량의 추세는 어떠한가? , 2005). 농림수산식품부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1인당 육류 소비량은 1997년 쇠고기 7.9 kg, 돼지고기 15.3 kg, 닭고기 6.1 kg로 총 29 kg에서 2007년도에는 쇠고기 7.6kg, 돼지고기 19.2 kg, 닭고기 8.6 kg, 총 35 kg으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MIFAFF, 2009).
도축장 이외의 다른 업종의 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 적용은 어떠한가? 이러한 배경 하에 식품 안전성을 보증할 수 있는 최선의 위생관리 기법으로 인정받고 있는 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HACCP)가 식육위생관리상 중요한 도축장에는 2003년 7월 1일부터 의무 적용되었다. 그러나 도축장 이외의 다른 업종의 HACCP 적용은 업체의 선택에 따라 자율적으로 적용하도록 되어있다. 2010년 3월 15일 현재 우리나라의 축산물 작업장 중 HACCP 지정업체수는 총 2,623개이며, 이 중 가축사육업 및 종축업이 1,211개, 배합사료공장이 82개, 그 외 축산물 작업장이 1,330개소에 이르고 있다. 또한 축산물 작업장 중에서는 가공업체가 303개, 식육포장처리업체가 739개, 식육판매업소가 213개, 보관 및 운반 업체가 각각 2와 12개소이다(KOLPHAS, 2010; Lee, 2009).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축산물에 작업장에 대한 HACCP 적용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축산물의 위생관리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FSIS (2009) Intensification of Hygiene Inspection for livestock products (news). Food Safety Information Service(in Korean). 

  2. Hong, C. H. and Cho, D. H. (2008)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requisite items applicable to the HACCP in livestock processing plants. J. Fd. Hyg. Safety . 23, 19-25. 

  3. Jeon. S. K., Park, J. Y., and Kim, Y. J. (2005) Study on the customers' awareness on safety of livestock Products and livestock processed foods. J. Prac. Edu. 18, 115-128. 

  4. KFDA (2008) Prerequisite programs for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of food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in Korean). 

  5. KFDA (2009) Trends of food poisoning in Korea.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vailable: http://e-stat.kfda.go.kr (in Korean). 

  6. Kim, O. K. (2000) Health control of livestock products. Kor. J. Vet. Publ. Health . 24, 251-261. 

  7. KOLPHAS (2009) Introduction of HACCP. Korea Livestock Products HACCP Accreditation Service. Available: http://www. ihaccp.or.kr/renew/user/haccp/haccp_11.asp (in Korean). 

  8. Lee, B. O. (2007)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HACCP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in Korea. Kor. J. Agri. Manag. Policy. 34, 456-472. 

  9. Lee, H. S. (2009) 2009's safety management policy on livestock . J. Fd. Hyg. Safety . 4, 9-14. 

  10. Lee, J. H., Lee, B. O., and Sin, O. K. (2005) A study on evaluation of the meat safety. Kor. J. Agri. Manag.Policy . 32, 728-745. 

  11. Lee, J. Y. (2006) Development of the sanitation evaluation tool through researching of management practice at military foodservice. MS thesis. Yousei Univ., Seoul, Korea. 

  12. Lyu, K. (2004) Personal hygiene management of cooking employee for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The Korea industry Health Association . 199, 36-39. 

  13. MIFAFF (2009) Statistics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9.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Gwacheon, Korea (in Korean). 

  14. Nam, B. R., Nam, J. O., Park, J. M., Lee, R. M., Gu, H. J., Kim, M. H., Chang, U. J., Suh, H. J., and Kim, J. M. (2007a) Survey of the status of country-of-origin lables and hygiene on the meat markets of 4 regions in Kore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122-126. 

  15. Nam, J. O., Nam, B. R., Park, J. M., Lee, R. M., Gu, H. J., Suh, H. J., Chang, U. J., and Kim, J. M. (2007b) Monitoring country-of-origin labels and indication contents for meat on electronic on-line trading.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117-121. 

  16. Nel, S., Lues, J. F. R., Buys, E. M., and Venter, P. (2004) The personal and general hygiene practices in the deboning room of a high through put red meat abattoir. Food Control 15, 571-578. 

  17. NVRQS (2006) Prerequisite programs for Livestock product HACCP.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Anyang, Korea (in Korean). 

  18. NVRQS (2009) Guideline for hygiene inspection of livestock product.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Anyang, Korea (in Korean). 

  19. Oh, Y. S. and Lee, S, H. (2001) Hygienic quality of beef and distribution of pathogens during cut-meat processing. J. Fd. Hyg. Safety 16, 96-102. 

  20. Park, J. M., Gu, H. J., Jeong, J. Y., Chang. U. J., Suh, H. J., Kang, D. H., Kim, C. J., and Kim, J. M. (2007) Monitoring country-of-origin labels and sanitation on the meat markets in Seoul, Kore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122-126. 

  21. USDA (1990) HACCP 9-generic HACCP model for meat and poultry products with secondary inhibitors, not shelf stable. http://www.fsis.usda.gov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