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apsicum annuum Ethanol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6, 2012년, pp.727 - 732  

김헌중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홍충의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남미현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하영민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이광원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추(Capsicum annuum)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 측정을 통하여 기능성식품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과육보다는 씨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풋고추 과육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에서 $SC_{50}$값은 홍고추 씨 $1,935{\pm}162\;{\mu}g\;DM/mL$, ABTS radical 소거활성에서는 $SC_{50}$값이 풋고추 씨 $3,354{\pm}76\;{\mu}g\;DM/mL$로 과육에 비해 높았다. 최종당화산물(AGEs) 생성 억제활성은 풋고추와 홍고추 씨, 풋고추와 홍고추 과육 순으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풋고추 과육, 홍고추 씨, 홍고추 과육, 풋고추 씨 순이었다. Tyrosinase 억제활성은 홍고추와 풋고추 씨, 홍고추와 풋고추 과육 순이었다. 종합해보면 기능성식품 소재로서 홍고추 씨 및 풋고추 씨가 과육보다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s and antiglycation from the extracts of various Capsicum annum (known as pepper) ethanolic extract (CAE). We tested the extracts of Capsicum annum seeds and pericarps using 70% ethanol. The CAE showed antioxidant activities in a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추(Capsicum annuum)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 측정을 통하여 기능성식품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과육보다는 씨에서 높게 나타났다.
  • 고추의 경우 capsanthin, ascorbic acid, capsorubin, cryptocapsin 뿐만 아니라, quercetin, luteolin, capsaicinoids와 같은 phenolic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높은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6,7).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고추의 과육과 씨 부분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능력을 확인하여 기능성식품의 소재로 적합한지 확인하는데 있다.

가설 설정

  • Radar charts demonstrating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samples of Capsicum annuum1). 1)Scale expressed as the ratio when each value is compared with correspondingly maximum. A, red flesh; B, red seed; C, green flesh; D, green seed.
  • 3)Inhibitor is 5 mM aminoguanidin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증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그리하여 음식의 섭취는 단순한 욕구 충족을 넘어 생체의 항상성 유지 및 생리 조절 작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능을 하게 되었다. 체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증가에 의해서 생성되는 각종 산화생성물들은 DNA를 손상시키거나 암을 유발하며, 인간의 노화와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또한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자극이 반복되면서 ROS를 발생시키고, 다양한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촉진되어 여러 가지 신호전달 체계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노화가 일어나게 된다(2).
간 기능 저하 등 만성적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은 무엇인가? 또한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자극이 반복되면서 ROS를 발생시키고, 다양한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촉진되어 여러 가지 신호전달 체계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노화가 일어나게 된다(2). 특히 산화스트레스는 간 기능 저하 등 만성적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이를 억제하거나 치유하기 위해 식품으로부터 유래하는 생리활성 물질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들은 활성산소종의 제거, 자외선 차단, 항산화제 첨가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항 성인병 효과를 갖는 새로운 기능성식품의 소재 개발에 대한 관심은 유럽, 일본 등 선진국에서 크게 일어나고 있다(3).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데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들은 활성산소종의 제거, 자외선 차단, 항산화제 첨가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항 성인병 효과를 갖는 새로운 기능성식품의 소재 개발에 대한 관심은 유럽, 일본 등 선진국에서 크게 일어나고 있다(3).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법은 항산화제를 직접 유지에 첨가하는 것이다.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BHA(butylated hydroxy anisole), BHT(butylated hydroxyl toluene) 등의 합성 항산화제들은 항산화 효과는 뛰어나나 일정 수준 이상 섭취 시 안전성과 유해성 여부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4) 천연 항산화제들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olff SP, Jiang ZY, Hunt JV. 1991. Protein glyc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diabetes mellitus and ageing. Free Radic Biol Med 10: 339-352. 

  2. Lee JN, Kim SW, Yoo YK, Lee GT, Lee KK. 2006. Antiwrinkle effect of Morinda citrifolia (Noni)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2: 227-231. 

  3. Roberfroid MB. 2000. Concepts and strategy of functional food science: the European perspective. Am J Clin Nutr 71: 1660s-1664s. 

  4.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5. Giese J. 1996. Antioxidants: tools for preventing lipid oxidation. Food Technol-Chicago 50: 73-81. 

  6. Howard LR, Smith RT, Wagner AB, Villalon B, Burns EE. 1994. Provitamin-a and ascorbic-acid content of fresh pepper cultivars (Capsicum annuum) and processed jalapenos. J Food Sci 59: 362-365. 

  7. Lee Y, Howard LR, Villalon B. 1995.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esh pepper (Capsicum annuum) cultivars. J Food Sci 60: 473-476. 

  8. Appel HM, Govenor HL, D'Ascenzo M, Siska E, Schultz JC. 2001. Limitations of Folin assays of foliar phenolics in ecological studies. J Chem Ecol 27: 761-778. 

  9. Maksimovic Z, Malencic D, Kovacevic N. 2005.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ydis stigma extracts. Bioresour Technol 96: 873-877. 

  10. Wang KJ, Zhang YJ, Yang CR. 2005.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from rhizomes of Polygonum paleaceum. J Ethnopharmacol 96: 483-487. 

  11.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2.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3. Stephan ZF, Yurachek EC. 1993. Rapid fluorometric assay of LDL receptor activity by DiI-labeled LDL. J Lipid Res 34: 325-330. 

  14. McPherson JD, Shilton BH, Walton DJ. 1988. Role of fructose in glycation and cross-linking of proteins. Biochemistry-US 27: 1901-1907. 

  15. Puls W, Keup U, Krause HP, Thomas G, Hoffmeister F. 1977. Glucosidase inhibition. A new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diabetes, obesity, and hyperlipoproteinaemia. Naturwissenschaften 64: 536-537. 

  16. Wong G, Pawelek J. 1973. Control of phenotypic expression of cultured melanoma cells by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s. Nat New Biol 241: 213-215. 

  17. Li QBA, He N, Wang ZY, Yang CX, Lu YH, Sun DH, Wang YP, Shao WY. 200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olyphenolic compounds in Longan pericarp. Sep Purif Technol 70: 219-224. 

  18. Ribeiro SMR, Barbosa LCA, Queiroz JH, Knodler M, Schieber A. 2008.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Brazilian mango (Mangifera indica L.) varieties. Food Chem 110: 620-626. 

  19. Dragsted LO. 2003. Antioxidant actions of polyphenols in humans. Int J Vitam Nutr Res 73: 112-119. 

  20. Sasaki H, Matsumoto M, Tanaka T, Maeda M, Nakai M, Hamada S, Ooshima T. 2004. Antibacterial activity of polyphenol components in oolong tea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Caries Res 38: 2-8. 

  21. Hamauzu D, Za Y. 2003. Phenolic compounds, ascorbic acid, carotenoi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green, red and yellow bell peppers. J Food Agric Environ 1: 22-27. 

  22. Tseng TH, Kao ES, Chu CY, Chou FP, Lin Wu HW, Wang CJ. 1997. Protective effects of dried flower extracts of Hibiscus sabdariffa L. against oxidative stress in rat primary hepatocytes. Food Chem Toxicol 35: 1159-1164. 

  23. Rice-Evans CA, Miller NJ, Bolwell PG, Bramley PM, Pridham JB. 1995. The relative antioxidant activities of plantderived polyphenolic flavonoids. Free Radic Res 22: 375-383. 

  24. Heim KE, Tagliaferro AR, Bobilya DJ. 2002. Flavonoid antioxidants: chemistry, metabolism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J Nutr Biochem 13: 572-584. 

  25. Guo CJ, Yang JJ, Wei JY, Li YF, Xu J, Jiang YG. 2003. Antioxidant activities of peel, pulp and seed fractions of common fruits as determined by FRAP assay. Nutr Res 23: 1719-1726. 

  26. Gogorcena Y, Cantin CM, Moreno MA. 2009.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capacity, phenolic compounds, and vitamin C content of different peach and nectarine [Prunus persica (L.) Batsch] breeding progenies. J Agric Food Chem 57: 4586-4592. 

  27. Sato T, Iwaki M, Shimogaito N, Wu X, Yamagishi S, Takeuchi M. 2006. TAGE (toxic AGEs) theory in diabetic complications. Curr Mol Med 6: 351-358. 

  28. Ahmed N. 2005.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role in pathology of diabetic complications. Diabetes Res Clin Pract 67: 3-21. 

  29. Kubo I, Kinst-Hori I. 1999. Flavonols from saffron flowe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inhibition mechanism. J Agric Food Chem 47: 4121-4125. 

  30. Kim JA, Lee JM, Shin DB, Lee NH. 2004.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phloro-tannins in Ecklonia cava. Food Sci Biotechnol 13: 476-4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