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품종별 고추(꽃고추, 홍고추 및 홍피망)의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Study of Three Varieties of Red Peppers in Terms of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5, 2016년, pp.765 - 770  

변의백 (한국원자력연구원) ,  박우용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안동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유영춘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박철환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박원종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장범수 (한국원자력연구원) ,  변의홍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성낙윤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꽃고추(Capsicum annuum var. abbreviatum)는 Capsicum annuum 속의 변이종으로 열매 성숙과정에 따라 고추의 색이 초록색, 보라색,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 및 검은색으로 변하여 오색고추라고도 명명한다. 현재 꽃고추는 화려한 색 때문에 관상용으로 다량 재배되고 있지만, 꽃고추의 생리활성 및 생리활성 물질 분석에 관한 연구들은 전무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관상용으로만 재배되는 꽃고추의 기능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꽃고추와 국내에서 식용으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소비되는 2종(Capsicum annuum, 홍고추; Capsicum annuum var. angulosum, 홍피망)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비교해 보았다. 천연물 항산화력의 지표물질인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꽃고추가 국내에서 식용으로 널리 알려진 고추 2종보다 더욱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꽃고추가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평가에서도 다른 2종보다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는 현재 관상용으로만 재배되는 꽃고추가 천연 항산화 소재로 개발될 가능성이 충분함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extracts of three varieties of red peppers in terms of thei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ies. In this study, two edible red peppers (Capsicum annuum var. angulosum and Capsicum annuum L.) and one flowering grass red pepper (Capsicum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꽃고추는 화려한 색 때문에 관상용으로 다량 재배되고 있지만, 꽃고추의 생리활성 및 생리활성 물질 분석에 관한 연구들은 전무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관상용으로만 재배되는 꽃고추의 기능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꽃고추와 국내에서 식용으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소비되는 2종(Capsicum annuum, 홍고추; Capsicum annuum var. angulosum, 홍피망)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비교해 보았다. 천연물 항산화력의 지표물질인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꽃고추가 국내에서 식용으로 널리 알려진 고추 2종보다 더욱 높게 측정되었다.
  • 현재 꽃고추는 화려한 색 때문에 관상용으로 다량 재배되고 있지만, 꽃고추의 기능성 및 기능성 물질 분석에 관한 연구들은 전무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관상용으로만 재배되는 꽃고추의 기능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꽃고추와 국내에서 식용으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소비되는 2종(Capsicum annuum, 홍고추; Capsicum annuum var. angulosum, 홍피망)의 고추를 수집하여, 각각 품종별 추출물에 대한 추출 수율, 폴리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비교해 보았다.
  • 품종별 고추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해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품종별 고추 추출물을 0.
  • 품종별 고추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이전에 고추 품종별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 수율에 관하여 평가해 보았다(Table 1). 고추 품종별 추출 수율은 홍피망에서 25.

가설 설정

  • 2)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c) 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꽃고추의 이명이 오색고추인 이유는? 꽃고추(Capsicum annuum var. abbreviatum)는 Capsicum annuum 속의 변이종이며(13), 열매 성숙과정에 따라 고추의 색이 초록색, 보라색,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 및 검은색으로 변하여 오색고추로도 불린다. 현재 꽃고추는 화려한 색 때문에 관상용으로 다량 재배되고 있지만, 꽃고추의 기능성 및 기능성 물질 분석에 관한 연구들은 전무후무하다.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고추의 품종 5가지는?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늦봄부터 여름에 걸쳐 재배되며, 김치의 주재료로써 오래전부터 식재료로 사용됐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고추의 품종은 20~30여종이 있으며, 그중 Capsicum annuum, Capsicum frutescens, Capsicum chinense, Capsicum baccatum, Capsicum pubescens 등이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다. 고추는 비타민과 무기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carotenoid, quercetin, luteolin 및 capsaicinoids와 같은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7,8).
활성산소종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 항산화제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매우 높아 생체 내에서 여러 물질과 쉽게 결합하여 산화 생성물을 합성하며, 이렇게 생성된 산화물질들은 세포와 조직에 비가역적 손상을 일으켜 세포독성 및 암세포의 형성을 촉진한다(1). 따라서 이러한 생체 내 활성산소 발생을 억제하고 유병률을 낮추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항산화제를 복용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강력한 항산화력을 지닌 butylated hydroxyanisole(BHA) 및 butylated hydroxytoluene(BTT)과 같은 합성 항산화제가 있긴 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 섭취 시 부작용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식품에서 유래된 안전한 천연 항산화제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JN, Kim SW, Yoo YK, Lee GT, Lee KK. 2006. Antiwrinkle effect of Morinda citrifolia (noni)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2: 227-231. 

  2. Ku KM, Kang YH. 2010. Antioxidant and quinone reductase inductive activities of various organs of pepper. J Appl Biol Chem 53: 31-36. 

  3.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4. Naczk M, Shahidi F. 2003. Phenolic compounds in plant foods: chemistry and health benefits. Nutraceuticals and Food 8: 200-218. 

  5. Isemura M, Saeki K, Kimura T, Hayakawa S, Minami T, Sazuka M. 2000. Tea catechins and related polyphenols as anti-cancer agents. Biofactors 13: 81-85. 

  6. Yoon JM, Ji JJ, Lim SC, Lee KH, Kim HT, Jung HS, Lee JS. 2010. Changes in selected components and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peppers depending on cultiv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31-736. 

  7. Lee Y, Howard LR, Villalon B. 1995.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esh pepper (Capsicum annuum) cultivars. J Food Sci 60: 473-476. 

  8. Song W, Derito CM, Liu MK, He X, Dong M, Liu RH. 2010. Cellular antioxidant activity of common vegetables. J Agric Food Chem 58: 6621-6629. 

  9. Kim JY, Kim EH, Kim SU, Kwon TK, Choi KS. 2010. Capsaicin sensitizes malignant glioma cells to TRAIL-mediated apoptosis via DR5 upregulation and survivin downregulation. Carcinogenesis 31: 367-375. 

  10. Surh YJ, Han SS, Keum YS, Seo HJ, Lee SS. 2000. Inhibitory effects of curcumin and capsaicin on phorbol ester-induced activation of eukaryotic transcription factors, NF- ${\kappa}B$ and AP-1. Biofactors 12: 107-112. 

  11. Yoon HJ, Lee S, Hwang IK. 2012. Effects of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var.) on antioxidant activity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750-758. 

  12. Chen L, Hwang JE, Gu KM, Kim JH, Choi BR, Song KS, Park YM, Kang YH. 2012.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effects of five Korean varieties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extracts from various parts including placenta, stalk, and pericarp. Food Sci Biotechnol 21: 715-721. 

  13. Huo M, Gao R, Jiang L, Cui X, Duan L, Deng X, Guan S, Wei J, Soromou LW, Feng H, Chi G. 2013. Suppression of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by gossypol in RAW 264.7 cells and mouse models. Int Immunopharmacol 15: 442-449. 

  14. Appel HM, Govenor HL, D'Ascenzo M, Siska E, Schultz JC. 2001. Limitations of Folin assays of foliar phenolics in ecological studies. J Chem Ecol 27: 761-778. 

  15. Davis WB. 1947. Determination of flavanones in citrus fruits. Anal Chem 19: 476-478. 

  16.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ic Food Chem 50: 3713-3717. 

  17.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8.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19. Perron NR, Brumaghim JL. 2009. A review of the antioxidant mechanisms of polyphenol compounds related to iron binding. Cell Biochem Biophys 53: 75-100. 

  20. Dragsted LO. 2003. Antioxidant actions of polyphenols in humans. Int J Vitam Nutr Res 73: 112-119. 

  21. Kwon JE. 2011. Determination of biological activity on methanol extracts of Capsicum annuum L. from different varieties.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2. Vijaya K, Ananthan S, Nalini R. 1995. Antibacterial effect of theaflavin, polyphenon 60 (Camellia sinensis) and Euphorbia hirta on Shigella spp. - a cell culture study. J Ethnopharmacol 49: 115-118. 

  23. Kuhnau J. 1976. The flavonoids: a class of semi-essential food components: their role in human nutrition. World Rev Nutr Diet 24: 117-191. 

  24. Navarro JM, Flores P, Garrido C, Martinez V. 2006. Changes in the contents of antioxidant compounds in pepper fruits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as affected by salinity. Food Chem 96: 66-73. 

  25.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6. Kim JS, Ahn JY, Ha TY, Rhee HC, Kim SA. 2011. Comparison of phytochemic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different color stages and varieties of paprika harvest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564-569. 

  27. Kim YS, Lee SJ, Hwang JW, Kim EH, Park PJ, Jeon BT. 2011.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Helianthus tuberosus L. leaves on t-BHP induced oxidative stress in Chang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25-1531. 

  28. Kim JY, Keum DH, Park JH, Kang WW, Han CS, Lee YK. 1996. Evaluation of quality of red pepper with variations in drying method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 Products 3: 137-143. 

  29. Cantin CM, Moreno MA, Gogorcena Y. 2009.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capacity, phenolic compounds, and vitamin C content of different peach and nectarine [Prunus persica (L.) Batsch] breeding progenies. J Agric Food Chem 57: 4586-4592. 

  30. Dlamini NR, Taylor JRN, Rooney LW. 2007. The effect of sorghum type and processing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African sorghum-based foods. Food Chem 105: 1412-14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