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쌀과 쌀코지를 갖고 당화하여 생성된 쌀당화액(rice mash)을 이용하여 영양과 기능성이 보강될 수 있는 새로운 죽 조리법을 제안하고자 딸기 0~45% 첨가량별로 딸기죽을 제조하여 품질특성 및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당화 딸기죽의 수분, 조회분, 조지방 및 조섬유는 딸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딸기 첨가량이 증가되는 당화딸기죽의 pH는 6.58~4.19 범위로 감소되고(p<0.05), 산도는 0.03~0.38 범위로 증가하였다(p<0.05). 딸기 0~45% 첨가량별 당화 딸기죽의 당도는 $10.80{\sim}11.40^{\circ}Brix$이었고 점도는 2636.7~1923.3 cP로서 첨가량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딸기 0~30% 첨가구는 45% 첨가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딸기 첨가량별 딸기죽의 L값은 75.69~42.40, b값은 9.09~5.77 범위로 유의적 감소를 보인 반면, a값은 0.17~14.02로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p<0.05). 딸기 15~45% 첨가 당화 딸기죽의 유리당 구성은 glucose, fructose, maltose, sucrose로 딸기 첨가량에 따라 총 함량은 증가하였고(p<0.05), 다만 딸기 0% 첨가구에서는 fructose, sucr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딸기 0~35% 첨가구는 딸기 0% 첨가구보다 색, 향, 입안에서 느낌 등 모든 관능적 특성이 좋았고, 특히 딸기 30% 첨가구는 딸기 45% 첨가구보다 색, 전반적인 기호도 특성에서 유의적으로 좋았다(p<0.05). 당화 딸기죽의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함량, DPPH 전자공여능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딸기 첨가량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딸기가 자체 함유한 항산화성 성분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딸기를 첨가한 당화 딸기죽은 맛과 영양, 기능성이 향상되므로 새로운 죽제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nduct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accharified strawberry gruel with different ratios of strawberry rice mash. Different samples of saccharified strawberry gruel with different ratios of strawberry puree were prepared, and the proximate composition, sw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Kim 등(20)의 방법은 쌀코지(rice koji) 효소제에 의한 쌀 전분을 단당류 또는 이당류로 분해하는 당화과정을 거치는 전통 식혜암죽의 원리를 응용하여 다양한 죽 제품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도 쌀코지(rice koji)로부터 쌀당화액(rice mash)을 조제하여 맛과 향이 좋아 남녀노소 구분 없이 좋아하는 딸기를 이용하여 영양과 기능성이 향상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딸기 첨가를 0~45% 수준으로 달리하여 제조한 당화 딸기죽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능을 조사한 바 이에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쌀과 쌀코지를 갖고 당화하여 생성된 쌀당화액(rice mash)을 이용하여 영양과 기능성이 보강될 수 있는 새로운 죽 조리법을 제안하고자 딸기 0~45% 첨가량별로 딸기죽을 제조하여 품질특성 및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당화 딸기죽의 수분, 조회분, 조지방 및 조섬유는 딸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가설 설정

  • 3)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딸기를 이용한 가공 식품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딸기의 항산화성과 관련이 깊은 것은 페놀성 화합물(8)은 ellagic acid, EA-glycoside, ellagitannins, gallotannins, anthocyanins, flavonols, flavanols coumaryol glycosides 등이 존재한다(9). 현재까지 딸기를 이용한 가공 식품으로는 잼, 젤리, 아이스크림, 냉동딸기, 시럽, 주스 및 우유 등 그 종류가 다양하나 떡을 제외한 전통식품에 적용된 예는 많지 않다. 최근 들어 바쁜 현대인의 아침식사 대용으로 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쌀당화액 이용실험에서 딸기 첨가량이 증가되는 당화 딸기죽의 pH농도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당화 딸기죽의 수분, 조회분, 조지방 및 조섬유는 딸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딸기 첨가량이 증가되는 당화 딸기죽의 pH는 6.58~4.19 범위로 감소되고(p<0.05), 산도는 0.
최근 들어 바쁜 현대인의 아침식사 대용으로 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최근 들어 바쁜 현대인의 아침식사 대용으로 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죽이 곡물에 다량의 물을 부어 오랜 시간 가열함으로써 전분을 호화시킨 유동식(10,11)으로 위에 부담이 적고 소화하기 쉽기 때문이다. 죽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취식이 편리하고 재료의 다양성이 뛰어나며 계절에 맞는 재료를 곧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뛰어난 음식으로서 대용주식, 별미식 및 약용식 등의 구실을 해 왔고(12) 문헌상으로는 약 200여종이 등장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Lee JM, Kim SK, Lee GD. 2003. Monitoring on alcoho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679-683. 

  2. Cho JI, Ha SD, Kim KS. 2004. Inhibitory effects of temperature, pH and potassium sorbate against natural microflora in strawberry past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55-360. 

  3. Barrett DM, Somogyi L, Ramaswamy H. 2005. Sreawberries and raspberries. In Processing Fruits-Science and Technology. 2nd ed. Barrett DM, ed. CRC Press, Inc., Boca Raton, FL, USA. p 531-561. 

  4. Wamg SY, Zheng W. 2001. Effect of plant growth temperature on antioxidant capacity in strawberry. J Agric Food Chem 49: 4977-4982. 

  5. Wang SY, Lin HS. 2000. Antioxidant activity in fruits and leaves of blackberry, raspberry and strawberry varies with cultivar and developmental stage. J Agric Food Chem 48: 140-146. 

  6. Asami DK, Hong YJ, Barrett DM, Mitchell AE. 2003. Comparison of the total phenolic and ascorbic acid content of freeze-dried and air-dried marionberry, strawberry and corn grown using conventional, organic and sustainable agricultural practices. J Agric Food Chem 51: 1237-1241. 

  7. Ayala-Zavala JF, Wang SY, Wang CY, Gonzalez-Aguilar GA. 2004.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s on antioxidant capacity and aroma compounds in strawberry fruit. Lebensm-Wiss u-Technol 37: 687-695. 

  8. Kim CH. 2007. Study on functional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ssukbrown sauce on treatments of Artemisia princeps sp. Ph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p 57. 

  9. Seeram NP, Lee R, Scheuller HS, Heber D. 2006. Ide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strawberries by liquid chromatography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scopy. Food Chem 97: 1-11. 

  10. Lee SH, Jang MS. 199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 atjook as influenced by various levels of pinenut. Korean J Soc Food Sci 2: 99-103. 

  11. Lee JE, Suh MH, Lee HG, Yang CB. 2002. Characteristics of job's tear gruel by various mixing ratio, particle size and soaking time of job's tear and rice flou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193-199. 

  12. Lee GC, Kim SJ, Koh BK. 2003. Effect of roasting condi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flour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rakj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05-913. 

  13. June JH, Yoon JY, Kim HS. 1998.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jook'. Korean J Dietary Culture 13: 497-507. 

  14. Kim JM, Suh DS, Kim YS, Kim KO. 2004.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ice gruels and cake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ginkgo nut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10-415. 

  15. Hwang SH, Chung HS, Youn K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pened pumpkin powder and gruel in relation to drying method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180-185. 

  16. Kim JS, Sohn JW, Yum CA. 1996.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and black sesame gruels with different mixing ratio and decortication. Korean J Soc Food Sci 12: 547-556. 

  17. Park BH, Cho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ok prepared with lotus root powder. J Korean Home Econ Assoc 47: 77-95. 

  18. Hwang IG, Kim JS, Yoo SM, Kim JY, Yang JW.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ccharified minor cereal prepared with different grain kojis.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661-669 

  19. Seo BH. 2006. A study preparing grue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tomato gruel. M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p 20-33. 

  20. Kim JS, Kim JY, Yang JW.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ccharified cherry tomato gruel prepared with rice mash.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758-762. 

  21. Yoon SJ, Hawer WD. 2008. A study on calrorie and proxima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gru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79-885. 

  22. Lee CH, Han O. 1995. Changes in the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white gruel by the addition of sucrose, sodium chloride and minor food materials. Korean J Soc Food Sci 11: 548-552. 

  2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35. 

  24. Kim JW, Sung KH. 2010.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wi fruit-gruel with added kiwi concentra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313-320. 

  25. Dewa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26. Choi YM, Kim MH, Shin JJ, Park JM, Lee JS.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27. Van den Berg R, Haenen GR, Van den Berg H, Bast A. 1999. Applicability of an improve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r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measurements of mixtures. Food Chem 66: 511-517. 

  28. Kim JW, Sung KH. 2010.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wi fruit-gruel with added kiwi concentra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313-320. 

  29. Lee TS, Chi YS. 1989. Studies on the change in chemical composition of strawberry during maturing. J Korean Agric Chem Soc 32: 232-239. 

  30. Kim SC, Kim HS, Kang YJ. 1999. Changes of components in the rice-porridge fermented by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17-1021. 

  31. Chang JO, Ryu HJ. 1998. The physical properties of rice and color rice-added cak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8: 51-56. 

  32. Park SJ, Seong DH, Park DS, Kim SS, Gou JY, Ahn JH, Yoon WB, Lee HY. 2009. Chemical composition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96-400. 

  33. Tian S, Nakamura K, Cui T, Kayahara H. 2005.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rice. J Chromatogr A 1063: 121-128. 

  34. Oh SJ, Kim SK, Bake YJ, Cho KH. 1997.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the K-casein fragments hydrolyzed by chymotrypsin, pepsin and trys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316-13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