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분말을 첨가한 죽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효과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uel Containing Saccharina japonica Powder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0 no.6, 2017년, pp.707 - 713  

이연지 (군산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원석 (신라대학교 바이오산업학부 제약공학전공) ,  이배진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  전유진 (제주대학교 수산생명의학전공) ,  김용태 (군산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ccharina japonica is a type of seaweed rich in dietary fiber, iodine, calcium, and selenium.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uel made with S. japonica powder, and identified the best ratio of powder to gruel to maximize its health effects. The gruel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3; Kim and Kwak,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조 다당류가 풍부하고 면역력 증강 및 항산화 효과 등이 우수한 기능성 천연소재인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죽을 개발하고 이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건강기능성 죽 개발 및 다시마의 수요증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다시마죽을 제조하여 그 품질특성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다시마분말을 각각 0, 3, 5, 7 및 10% 첨가한 다시마죽의 pH 값은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의보감에 기록된 다시마의 효능은? 일반적으로 다시마는 천연 정미성분인 아미노산(glutamic acid, aspartic acid)과 칼륨,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등 신체의 생리대사에 관여하는 무기질이 풍부한 알칼리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동의 보감에서는 ‘곤포’라 하여 신체의 저항성을 높여주고, 노폐물의 배설을 촉진하며, 고혈압, 동맥경화, 갑상선종, 신장염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노화를 예방하는 건강장수식품으로 기록되어 있다(Baek, 2007; Kim et al., 2011).
해조류의 이용 용도는? 특히,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해양생물자원의 채취 및 양식이 용이해져 다양한 해양생물로부터 기능성소재 연구 및 건강 기능성식품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해양생물 자원 중에서도 해조류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750여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그 중 30여종을 식용으로 소비하거나, 식품 첨가물이나 사료 등의 원료로 이용하고 있다. 더구나 해조류는 다양한 기능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 소재개발을 위한 유용한 자원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Lee et al.
국내 다시마의 생산 현황은? 다시마(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는 아시아 해안에서 많이 분포하는 갈조식물군 중 다시마과에 속하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남해안에 많이 서식하고 있다. 국내의 다시마 생산량은 1980년에 940톤에서 2016년에는 414,695톤을 생산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7). 일반적으로 다시마는 천연 정미성분인 아미노산(glutamic acid, aspartic acid)과 칼륨,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등 신체의 생리대사에 관여하는 무기질이 풍부한 알칼리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In: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5th ed. Arlington, VA, U.S.A., 777-788. 

  2. Baek JM. 2007. Present state and prospect in seaweed farming industry. I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32th Annual Meeting of the Seaweed and Food. Baek JM, eds.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15-22.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http://dx.doi.org/10.1038/1811199a0. 

  4. Cho YJ and Bang MA. 2004. Effects of dietary sea tangle on blood glucose, lipid and glutathione enzym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Culture 19, 419-428. 

  5. Choi HM, Sim CH, Shin TS, Bing DJ and Chun S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bugak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 Nutr 24, 434-441. http://dx.doi.org/10.9799/ksfan.2011.24.3.434. 

  6. Choi JS, Shin SH, Ha YM, Kim YC, Kim TB, Park SM, Choi IS, Song HJ and Choi YJ. 2008. Minera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collected from gijang and wando in Korea. J Life Sci 18, 474-481. http://dx.doi.org/10.5352/JLS.2008.18.4.474. 

  7. Gheldof N and Engeseth NJ. 2002. Antioxidants capacity of honeys from various flora 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nd inhibition of vitro lipoprotein oxidation in human serum samples. J Agric Food Chem 50, 3050-3055. 

  8. Jeong E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hizikia hydrolysate and effect of its lipid metabolism in rats. Ph.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Korea. 

  9. June JH, Yoon JY and Kim HS. 199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dojook'. Korean J Dietary Culture 13, 509-518. 

  10. Kang YM, Lee BJ and Kim JS. 2010.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of fermented sea tangle juice. Korean J Fish Aquat Sci 43, 1-5. http://dx.doi.org/10.5657/kfas.2010.43.1.001. 

  11. Kim BM, Jun JY, Park YB and Jeong IH.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eaw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097-1101. http://dx.doi.org/10.3746/jkfn.2006.35.8.1097. 

  12. Kim JM, Suh DS, Kim YS and Kim KO. 2004.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ice gruels and cake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ginkgo nut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10-415. 

  13. Kim JS and Kwak E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uel with added yam. Korean J Food Culture 26, 184-189. 

  14. Kim JS, Kim JY and Chang YE. 2012a.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accharified cherry tomato gruel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cherry tomato puree. Korean J Food Cook Sci 28, 773-779. http://dx.doi.org/10.9724/kfcs.2012.28.6.773. 

  15. Kim JW, Kwon YR and Youn KS. 2012b.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spray-dried and freeze-dried powder prepared with powdered seaweed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716-721. http://dx.doi.org/10.9721/KJFST.2012.44.6.716. 

  16. Kim KH and Cho HS. 2008.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ook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skate(Raja kenojei) flou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207-213. 

  17. Kim YS, Kang CO, Kim MH, Cha WS and Shin HJ. 2011. Contents of water extract for Laminaria japonica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KSBB Journal 26, 112-118. http://dx.doi.org/10.7841/ksbbj.2011.26.2.112. 

  18. Kwon YR and Youn KS. 2012.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granule tea prepared with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an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powder as affected by extraction method. Korean J Food Preserv 19, 525-531. http://dx.doi.org/10.11002/kjfp.2012.19.4.525. 

  19. Lee BJ. 2013.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using fermented marine organism. Food Indust Nutrition 18, 8-12. 

  20. Lee JM, Kim JA. 2004. The change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zikia fusiformis with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Culture 19, 200-208. 

  21. Lee MK, Choi SH, Lim HS and Ahn J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ok prepared with green laver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6, 552-558. 

  22. Lee MW and Lee IS.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brown rice and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32, 178-187. http://dx.doi.org/10.9724/kfcs.2016.32.2.178. 

  23. Lee YJ, Lim SY, Kim WS and Kim YT. 2016. Process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barley gruel containing Hizikia fusiformis. Korean J Fish Aquat Sci 49, 310-316. http://dx.doi.org/10.5657/KFAS.2016.0310. 

  24. Liu Z, Ma LP, Zhou B, Yang L and Liu ZL. 2000. Antioxidative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s on free radical initiated and photosensitized per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Chem Phys Lipids 106, 53-63. http://dx.doi.org/10.1016/S0009-3084(00)00133-X. 

  25. Park BH and Cho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ok prepared with lotus root powder. Family Enviro Res 47, 79-85. 

  26. Park BH, Cho HS, Jeon ER and Kim SD.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ok prepar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5, 55-61. 

  27. Park BH, Ko GM and Jeon ER.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ok prepared with hericium erinaceum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30, 227-232. http://dx.doi.org/10.7318/kjfc/2015.30.2.227. 

  28. Park JL, Kim JM and Kim JG. 2003. A study on the optimum ratio of the ingredients in preparation of black sesame gruels. Korean J Food Cook Sci 19, 685-693. 

  29.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https://doi.org/10.1016/S0891-5849(98)00315-3. 

  30. Ryu JK, Jo YH, Chang SJ and Lee BJ. 2016. Memory-improving effects of fermented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in normal mice. Korean J Fish Aquat Sci 49, 131-136. http://dx.doi.org/10.5657/KFAS.2016.0131. 

  31. Shetty K, Curtis OF, Levin RE, Witkowsky R and Ang V. 1995. Prevention of vitrification a $\ss$ ociated with in vitro shoot culture of oregano. (Origanum vulgare) by pseudomonas spp. J Plant Physiol 147, 447-451. https://doi.org/10.1016/S0176-1617(11)82181-4. 

  32. Statistics Korea. 2017. Fishery Production Survey. Retrieved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W0004&vw_cdMT_ZTITLE&list_idF37&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path on Feb 18, 2017. 

  33. Tedesco I, Russo M, Russo P, Iacomino G, Russo GL, Carraturo A, Faruolo C, Moio L and Palumbo R. 2000. Antioxidant effect of red wine polyphenols on red blood cells. J Nutr Biochem 11, 114-119. http://dx.doi.org/10.1016/S0955-2863(99)00080-7. 

  34. Zhang X, Lee FZ, Kum JS and Eun JB. 2002. The effect of processing condition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pine nut gr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25-2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