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식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6, 2012년, pp.807 - 815  

이정숙 (고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식생활 적응을 위해 식생활 및 영양지도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의 수집을 위해 부산시 영도구에 거주하는 이주여성을 134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0년 10월 10일부터 11월 30일까지 다문화가정을 방문하여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신국가는 중국이 58.8%(조선족 4.4%)로 가장 많았으며, 베트남(14.7%), 필리핀(8.8%), 일본(7.4%) 순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39.7%(54명)로 가장 많았고, '40대(25.0%)', '20대(23.5%)', '50대 이상(11.8%)'순이었다. 거주기간은 '7~10년'이 가장 많았고(18.4%) '10~15년(15.5%)', '3~5년(13.2%)', '15년 이상(11.1%)' 순이었다. 조사대상자의 52.9%가 '고등학교 졸업'이었으며, 주로 전업주부(77.9%, 106명)이었다. 가구당 월소득은 '101~200만원'이 33.8%, '201~300만원' 22.1%, '100만원 이하' 13.2%이었으며, 자신이 속한 가정의 월 소득을 모르는 주부도 26.4%(3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BMI는 21.94이었으나 연령이 많아질수록 BMI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20대'가 4.50으로 가장 높았으나 '30대' 4.24, '40대' 4.07, '50대 이상' 3.29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를 보였다. 거주연한으로 볼 때는 '1년 이하 거주'가 가장 높은 선호도(4.75)를 보였고 '5~7년 거주'에서 가장 낮은 선호도(3.70)를 보였다. 한국음식을 배우려는 학습의지는 나이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거주기간이 '1년 미만'과 '15년 이상'된 주부가 가장 높은 학습의지를 보인 반면, '5~7년'된 주부의 학습의지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에 따른 선호도나 학습의지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한국음식에 관한 정보는 주로 가족(26.5%)과 TV, 인터넷(26.5%)에서 얻으며 복지관이나 보건소(13.2%), 남편(10.3%), 요리책(10.3%) 등에서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가 한국음식을 먹는 빈도는 '20대'는 '일주일에 3~4회 먹는다'가 50.0%', '매일 먹는다'가 43.8%로 응답하였으나, '30대'의 66.7%, '40대'의 88.2%, '50대'의 50.0%가 '매일 먹는다'고 응답하여 나이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001). 조사대상자가 고향음식을 먹는 빈도는 '매일 먹는다(30.9%)', '일주일에 1~2회 먹는다(29.4%)'는 응답이 많았고 '전혀 먹지 않는다'는 응답자도 16.2%이었다. 한국으로 이주한 후 식품섭취량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한 비율은 곡류 36.7%, 육류는 40%, 어류는 50.8%, 우유 유제품 47.4%, 야채류 48.3%, 과일류 44.8%, 유지류 29.1%, 음료 32.8%에 달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이 만드는 방법을 '배우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음식은 육개장(32.8%), 닭찜(32.8%), 갈비찜(31.4%), 물김치(31.4%), 오이소박이(29.9%), 생선조림(28.5%), 식혜(28.5%), 열무김치(27.0%), 낙지볶음(27.0%), 콩조림(25.5%), 장조림(25.5%), 깍두기(25.5%), 빈대떡(25.5%), 북어국(25.5%), 추어탕(25.5%), 삼계탕(24.1%) 순이었다. 자신이 한국음식을 배우려는 의지가 강할수록, 한국음식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부부갈등이 적을수록 식생활 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 식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배우자와 가족구성원 모두의 이해와 협조가 필요하며, 영양교육과 식생활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모델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dietary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0 to November 30, 2010 using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subjects were m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활동이 없는 결혼이주여성도 조사대상에 포함되도록 지역의 다문화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한국음식 선호도, 식생활 적응정도, 한국음식 학습의지, 식품섭취빈도, 한국음식 조리법에 대한 인식도, 부부갈등 등을 조사함으로써 이들에게 필요한 사회적 서비스인 식생활 및 영양지도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2010 Annual report on live birth and death statistics. http://www.index.go.kr. 

  2. Lee YB, Lee YK. 2009. A study on marital satisfaction of women marriage immigrant by self-differentiation. Korean J Family Social Work 26: 63-86. 

  3. Kim ON. 2006.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marital conflicts of immigrant women. J Family and Culture 18: 63-106. 

  4. Kim SK, Lee CJ. 2010. The effect of linguistic 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adjustment among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Korean J Family Welfare 15: 5-20 

  5. Lee AR. 2010. The case study on understanding and adjustment about the family living culture in marriage emigration females-focused on mothers in a day-care center in Seoul. Korean J Family Resource Management 14: 299-321. 

  6. Nan LV, Katherine LC. 2004. Dietary pattern change and acculturation of Chinese Americans in Pennsylvania. J Am Diet Assoc 104: 771-778. 

  7. Park HM, Moon ST. 2008.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female immigrants in rural area for social adjustment education. J Agricultural Educ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40: 69-91. 

  8. Park YS, Chung YS. 2005. Korean traditional food perception and cultural aspect of Korean Mongolian housewives. Korean J Food Culture 20: 35-43. 

  9. Kim SH, Kim WY, Lyu JE, Chung HW, Whang JY. 2009. Dietary intakes and eating behavior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to Korea through marriage and Korean spouses and correlations of their die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 22-30. 

  10. Park YI. 2009. A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 wives adapting to Korean cuisine and dietary pattern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13-75. 

  11. Kim JE, Kim JM, Seo SH. 2011.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a multicultur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immig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professionals. Korean J Nutr 44: 312-325. 

  12. Jang BS. 2009. A study on dietary life of female immigrants.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 16-37. 

  13. Kim JM, Lee NH. 2009.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Daegu area. J Korean Diet assoc 15: 405-418. 

  14. Lee YO. 2011. Status of diet life and nutritional education of immigrants women internationally married in the multicultural family. MS Thesis. Kunsan National University, Kunsan, Korea. p 126-130. 

  15. Han GJ, Lim YS, Kim HR. 2007. Resident survey evaluating the degree of value placed on traditional Korean foods in the Kyunggi and Kangwon areas of Ko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3: 124-139. 

  16. Jang DJ, Kim SN, Kim SH, Lee KK, Lee JH. 2005. Survey of consumer perception for derivation of superior factors in various Korean traditional food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 780-812. 

  17. Lee JS, Kim SJ. 2010. A comparative study on 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 classified by age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15: 351-360.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200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 p 442-448. 

  19. Kang IJ. 2010. A survey on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life of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Kyoungsan, Korea. p 4-39. 

  20. Oh KS. 2010. Marital conflict in relation with dietary adaptation and acculturation stres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p 12-55. 

  21. Mohan V. 2004. Why are Indians more prone to diabetes? J Assoc Physicians India 52: 468-474. 

  22. Han YH. 2010.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ur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p 28-58. 

  23. Yoon HS. 2005. Conflicts and adjustments of foreign wives married to Korean men: Filipina wives in rural Korea. Korean J Local History & Culture 8: 299-3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