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분함량과 온도에 따른 즉석팽화 쌀 스낵의 물리적 특성
Effect of Moisture Content and Temperature on Physical Properties of Instant Puffed Rice Snack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6, 2012년, pp.846 - 852  

김철 (중국 연변대학 농학원 식품과학부) ,  유제혁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류기형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멥쌀, 찹쌀, 찐멥쌀의 수분함량(9, 12, 15, 18%)과 즉석팽화기의 팽화온도(200, 210, $220^{\circ}C$)를 달리하여 제조한 즉석팽화스낵의 체적밀도, 색도,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 미세구조 등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즉석팽화스낵 제조 시 수분함량과 팽화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체적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에서 수분함량이 감소할수록, 팽화온도가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a,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는 수분함량과 팽화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멥쌀, 찹쌀, 찐멥쌀 간에는 체적밀도, 파괴력,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에서 차이를 나타내었고 색도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미세구조는 수분함량이 9%에서 15%로 증가함에 따라 기공의 크기가 작고 균일하게 분포되었으며 찹쌀 즉석팽화스낵의 기공이 가장 작고 균일하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instant puffed rice snacks with non-glutinous, glutinous, and steamed non-glutinous rice were evaluated at different moisture content and puffing temperatures. Raw materials were tempered to 9%, 12%, 15%, and 18% moisture content and puffed at $200^{\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멥쌀, 찹쌀, 찐멥쌀의 수분함량과 즉석팽화기의 팽화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즉석팽화스낵의 체적밀도, 색도,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 미세구조 등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낵이란 어떤 식품을 말하는가? 스낵(snack)이란 넓은 의미에서는 가벼운 식사, 도시락, 간식 등을 뜻하고 좁은 의미에서 스낵은 과자의 일부분으로 비교적 비중이 가볍고 가격이 싸고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것을 말하며 곡류, 감자, 고구마, 콩, 전분, 견과류 및 육류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튀김, 볶음, 압출성형, 팽화와 같은 공정을 거쳐 알코올성 또는 비알코올성 음료와 같이 먹는, 가볍게 즐기기 위한 식품을 말한다. 우리나라 스낵은 처음부터 소맥분계가 주류를 이루고 그 다음 옥수수계통, 감자계통, 쌀계통 등으로 원료를 다양화했지만 아직도 소맥분계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1)
밀가루와 비교했을 때 쌀가루가 갖는 장점은? 최근 쌀가루는 밀가루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주목을 받고 있는데, 쌀가루는 밀가루에 비해 알레르기 유발율이 현저히 낮고 소화가 잘되며 필수아미노산 등 영양적인 측면에서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2,3). 이에 따라 최근 국내에서도 밀가루를 대체한 쌀과자 및 쌀빵, 쌀국수, 압출성형 쌀스낵 등의 제품들이 다수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4,5)
호화도와 팽화율에 영향을 받는 수분용해지수는 동일한 수분함량과 팽화온도에서 제조한 멥쌀, 찹쌀, 찐멥쌀 즉석팽화스낵에서 어떤 순서로 나타나는가? 수분함량과 팽화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멥쌀, 찹쌀, 찐멥쌀 즉석팽화스낵의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는 Table 5, 6과 같다. 동일한 수분함량과 팽화온도에서 제조한 원료에 따른 수분용해지수는 찹쌀>찐멥쌀>멥쌀 순으로 나타났고 수분흡착지수는 수분함량 9, 12, 15%에서 찹쌀>찐멥쌀>멥쌀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분함량 18%에서는 멥쌀>찐멥쌀 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시험구 중에서 수분 함량 15%, 팽화온도 220oC에서 제조한 찹쌀 즉석팽화스낵의 수분용해지수는 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ong JC, Park HJ. 1997. New food processing. Ulimmoonhwasa, Seoul, Korea. p 470-471. 

  2. Payne FA, Taraba JL, Saputra D. 1989. A review of puffing processes for expansion of biological products. J Food Eng 10: 183-197. 

  3. Kang SH, Ryu GH. 2001. Improvement in the Yukwa manufacturing by extrusion process with $CO_2$ gas injection. Food Sci Biotechnol 10: 1-6. 

  4. Kum JS, Lee HY, Shin MG, Yoo MR, Kim KH. 1994. Properties of modified rice starch by physical modific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428-435. 

  5. Park MK, Lee KH, Kang SA. 2006. Effect of particle size of rice flour on popping rice br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419-427. 

  6. Jang EY, Jin TY, Eun JB. 2006. Properties of puffed mulberry-rice snack, ppeongtuigi by pellet with mulberry leaf and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56-761. 

  7. Kim JH, Ryu GH. 2001. Effects of extrusion process parameters on puffing of extruded pell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55-59. 

  8. AACC. 1983. Approved method of the AACC.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Method 56-20. 

  9. Harper JM. 1981. Extrusion of foods. CRC Press Inc., Boca Raton, FL, USA. Vol 2, p 7-19. 

  10. Chinnaswamy R, Hanna MA. 1988. Relationship between amylose content and extrusion-expansion properties of corn starches. Cereal Chem 65: 138-143. 

  11. Sim YJ, Jung BM, Rhee KC.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extruded formulated products prepared from blends of rice flour, corn flour and fish muscle by single-screw extrus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5-49. 

  12. Cheon SH, Eun JB. 2011. The physical properties of puffed snacks (ppeongtuigi ) added with sweet potato flours. J Appl Biol Chem 54: 147-152. 

  13. Ha JO, Lee SC, Bac HD, Park OP. 2004. Food chemistry. Dooyangsa, Seoul, Korea. p 218-344. 

  14. Lee SH, Kim CK. 1994. Optimization for extrusion cooking conditions of rice extrudat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Nutr 7: 137-143. 

  15. Jeong HS, Min YK, Toledo RT. 2002. Effects of low temperature extrusion method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ell structure of pregelatinized rice flour extrudate. Food Eng Prog 6: 145-151 

  16. Tie J, Kim MH, Ryu HJ, Lee KH, Han MS, Cho SS, Lee HK, Ryu GH.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ake (Injulmi) made with traditional process and instant Injulmi machine and different steeping time. Food Eng Prog 12: 97-106. 

  17. Mason WR, Hoseney RC. 1986. Factors affecting the viscosity of extrusion-cooked wheat starch. Cereal Chem 63: 436-441. 

  18. Lee KC, Kim YS, Ryu GH. 2011. Saccha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extruded corn starch at different process parameters. Food Eng Prog 15: 155-1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