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곡류와 두류를 혼합한 잡곡밥의 기호도 및 인식 조사
A Survey on the Preferences and Recognition of Multigrain Rice by Adding Grains and Legum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6, 2012년, pp.853 - 860  

장혜림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희진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유진 ((주)비제이로하스) ,  김건우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생약자원학전공) ,  윤경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잡곡의 이용 증대와 잡곡밥의 혼합비율 최적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곡류와 두류를 혼합한 잡곡밥의 기호도 및 인식을 조사하였다. 2011년 5월 9일부터 5월 29일까지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통계 분석이 가능한 464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을 조사한 결과, 성별은 남성 58.8%, 여성 41.2%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10대가 37.1%로 가장 많았고, 직업은 학생이, 지역은 경상도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잡곡밥 선호여부로는 조사대상자의 약 78%가 잡곡밥을 좋아한다고 응답했으며, 10대와 20대보다 50대와 60대 이상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잡곡밥의 섭취빈도는 '매일'이 약 34%로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대부분의 가정에서 잡곡밥이 매일 소비되고 있음을 나타내주었으며, 흑미, 현미, 보리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아 실제로 잡곡밥에 흑미, 현미, 보리를 주로 혼합하여 섭취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얻어진 정보로 인해 선호하는 잡곡의 혼합비율을 30% 이하로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며, 잡곡밥에 첨가되는 잡곡수로 '3~4가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잡곡의 개선사항을 조사한 결과, '가격인하'의 응답률이 43.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류의 다양화' 또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상의 결과, 잡곡밥에 대해 소비자들이 건강에 좋다는 인식으로 긍정적인 견해를 보이고는 있으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잡곡의 가격이 부담스러운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잡곡밥에 대한 대중적인 보급과 이용가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건강지향적인 잡곡밥의 섭취를 위해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각 연령층의 특성과 기호에 맞는 잡곡의 선정 및 혼합비율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 and recognition of cooked rice mixed with multigrains. The data for the analysis was collected from 464 people who were residing in Seoul, Gyeongsang and Jeolla area, and analyzed by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 showed that 77.8% of the respondents like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일부지역에 한정되어 조사되어 다양한 연령층과 지역을 대상으로 잡곡밥에 대한 기호도 및 인식에 관한 조사뿐만 아니라 잡곡밥 섭취 시 그 혼합 비율이 최적화되어 있지 않아 건강기능성 및 기호성이 높은 혼합비율의 정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과 지역을 대상으로 곡류와 두류를 혼합한 잡곡밥의 섭취실태와 기호도 및 인식을 조사하여, 잡곡의 이용성 증대와 현재 정립되지 않은 잡곡밥 혼합율 최적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잡곡의 이용 증대와 잡곡밥의 혼합비율 최적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곡류와 두류를 혼합한 잡곡밥의 기호도 및 인식을 조사하였다. 2011년 5월 9일부터 5월 29일까지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통계 분석이 가능한 464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쌀은 도정 비율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1970년도 중반까지 국가시책으로 주 1회 반드시 쌀밥에 보리 등 잡곡을 섞어 먹도록 하였으나 1976년부터 쌀의 자급자족이 달성되어 쌀밥의 소비가 증가하였다(2). 쌀은 도정도에 따라 현미, 5분도미, 7분도미, 백미로 나누어지나 밥을 지어먹을 때는 보통 백미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쌀은 식물성 단백질 가운데에서 양질의 단백질로 필수아미노산인 라이신이 제한된 것을 제외하면 여느 식품에 비해 손색이 없으나(3), 도정 비율이 높아질수록 비타민 B1, B2, 나이아신, 칼륨을 비롯한 비타민과 무기질 및 섬유질의 손실이 크다.
백미는 어떤 영양적 단점이 있는가? 쌀은 도정도에 따라 현미, 5분도미, 7분도미, 백미로 나누어지나 밥을 지어먹을 때는 보통 백미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쌀은 식물성 단백질 가운데에서 양질의 단백질로 필수아미노산인 라이신이 제한된 것을 제외하면 여느 식품에 비해 손색이 없으나(3), 도정 비율이 높아질수록 비타민 B1, B2, 나이아신, 칼륨을 비롯한 비타민과 무기질 및 섬유질의 손실이 크다. 이러한 백미의 영양적 단점은 여러가지 잡곡 또는 두류를 혼합함으로써 상호보충 효과를 얻을 뿐만 아니라 이들 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필수영양소와 생리활성 물질들을 다양하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4).
잡곡의 특징은 무엇인가? 잡곡은 멥쌀 및 찹쌀을 제외한 모든 작물을 일컫는 말로 현미, 흑미, 보리, 메밀, 수수, 기장, 조 등이 이에 속한다. 성인병 예방에 필요한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이 쌀에 비해 2~3배 이상 함유되어 있는 영양식품으로(3), 척박한 토양과 열악한 자연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강한 내성을 지니고 있어 다량의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잡곡에는 쌀에 부족한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여 쌀과 함께 섭취하면 쌀이 가진 영양상의 한계를 보충해주는 상호보충효과를 얻을 수 있다(5). 또한, 혈당지수가 낮아 당뇨병을 비롯한 여러 성인병,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질환을 위한 식이요법으로도 많이 이용된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an KS, Pyo SH. 2008. Standardization of the recipe for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Salbob and Ogokbob.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682-690. 

  2. Son SM. 2001. Rice based meal for prevention of obesity and chronic diseas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862-867. 

  3. Kim YS, Lee GC. 2006. A survey on the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degree of the cooked rice mixed with multigrain in Seoul?Kyeonggi and Kangwon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 661-669. 

  4. Lim SB, Kang MS, Jwa MK, Song DJ, Oh YJ. 2003.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by adding grains and legu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2-57. 

  5. Jung ES, Shin DH, Doo JK, Chae SW, Kim YS, Park YM. 2010. Status of mixed grain diet by people with diabetes in Jeollabuk-do and sensory evaluation of different composition of mixed g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49-1055. 

  6. Jung EY, Suh HJ, Hong YH, Lee IY, Kim DG, Kim MO, Chang UJ. 2009. Effects of glycemic index for boiled white rice and boiled white rice mixed with grains on food consumption and satiety rats. J Korean Diet Assoc 15: 179-187. 

  7. Fontvielle AM, Rizkalla SW, Penfornis A, Acosta M, Bornet FR, Slama G. 1992. The use of low glycemic index foods improves metabolic control of diabetic patients over five weeks. Diabet Med 9: 445-450. 

  8. Chung YA, Lee JK. 2003. Antioxidative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extracted from black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948-951. 

  9. Doo HJ, Shim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Sulgiddeok with black garlic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677-684. 

  10. Lee YS, Kim AJ, Rho JO.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outed brown rice dasik with Yujacheong added.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494-500. 

  11. Lim SY. 2008.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Orysa sartiva an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Life Sci 18: 1415-1419. 

  12. Jeong SY, Park MJ, Lee S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Jeung-pyun. Korean J Food Culture 26: 86-93. 

  13. Park TS, Lee SY, Kim HJ, Kim KT, Kim YJ, Jeong I, Do WN, Lee HJ. 2009. Extracts of adlay, barley and rice bran have antioxidant activity and modulate fatty acid metabolism in adipocytes. Korean J Food & Nutr 22: 456-462. 

  14. Koo NS, Park CI. 1998. Foo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der meal service in Taej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440-453. 

  15. Cheong SH, Chang KJ. 2005. Regional differences in taste and food preferences of college students attending nutritional education via internet I. Main and side dish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 845-859. 

  16. Park KA. 2003. Food preferences and dietary habits of university students in Kyungbuk provin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527-541. 

  17. Choi YS, Yoo YJ, Kim JG, Nam SM, Jung ME, Chung CK. 2001. Food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in Kangwon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75-182. 

  18. Shin MK, Seo ES. 1995.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Ik-San area. J Korean Home Econ Assoc 33: 89-106. 

  19. Choe JS. 2003. Study on frequently consumed dishes and menu patterns of middle-aged housewives for 1 ye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64-778. 

  20. Han JS, Kim JH. 2002. Calcium intake and cognition on calcium of adolescents in Bu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026-1034. 

  21.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 2005.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staple food in 2005. p 35. 

  22. Jocobs DR, Steffen LM. 2003. Nutrient, foods and dietary patterns as exposures in research: a framework for food synergy. Am J Clin Nutr 78: 508S-513S. 

  23. Aarathi A, Urooj A, Puttaraj S. 2003.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and nutritionally important starch fraction in cereals and their mixtures. Starch/Starke 55: 94-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