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원시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 실태 및 공급업체 수행도 평가
Purchasing Status and Supplier Performance Evaluation of School Foodservice in Chanwo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6, 2012년, pp.861 - 869  

정회정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김현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향후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업체에 대한 합리적인 관리 및 평가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공급업체 선정방법(경쟁입찰계약, 수의계약)에 따른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실태와 공급업체 수행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원시 관내 초 중 고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0년 6월 29일부터 9월 28일까지 총 190부를 배부하여 167부(회수율: 87.9%)가 회수되었고, 이 중 응답 내용이 불충분한 16부를 제외하고 총 151부(분석율: 79.5%)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 사항으로서, 영양(교)사는 전부 여성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6.87세로 31~40세 이하가 49.0%로 가장 많았고, 직위는 영양교사가 52.3%로 약간 더 많았으며 54.3%가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었다. 학교근무경력은 평균 10.86년이었으며, 평균 1일 식수인원은 931.17명이었고 78.8%가 1일 1식을 급식하고 있었으며, 평균 1식 순수 식재료비는 1,937.50원이었다. 둘째, 경쟁입찰계약을 이용한 식재료 구매실태 조사 결과, 91.4%의 학교에서 경쟁입찰계약에 의해 식재료를 구매하고 있었고, 그중 제한경쟁입찰 계약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경쟁입찰계약으로 구매하는 식재료는 일반 농산물, 일반 가공품, 친환경 농산물(과일), 친환경 가공품, 일반 가금류, 수산물, 친환경 곡류, 무항생제 가금류, 일반 곡류, 김치류, 육류, 우유류 순으로 많았다. 셋째, 수의계약 방법을 이용한 식재료 구매실태를 조사한 결과 78.8%의 학교에서 식재료를 수의계약으로 구매하고, 단일견적 계약이 59.7%로 조금 많았다. 수의계약을 사용하는 식재료는 육류 84.9%, 김치류 47.9%, 수산물 42.0%의 순으로 많이 이용하였다. 넷째, 식재료 구매 품목별로 경쟁입찰계약과 수의계약에 의한 구매 방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김치류를 제외한 전 품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육류(p<0.001)와 우유류(p<0.001)와 같은 단일품목은 주로 수의계약방법에 의해 구매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일반 농산물(p<0.001), 수산물(p<0.001), 일반 가금류(p<0.001), 무항생제 가금류(p<0.001), 친환경 곡류(p<0.001), 친환경 농산물(과일)(p<0.001), 친환경 가공품(p<0.001), 일반 가공품(p<0.001), 일반 곡류(p<0.001)의 품목들은 주로 경쟁입찰계약에 의해 구매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섯째, 경쟁입찰계약과 수의계약의 학교급식 공급업체의 수행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경쟁입찰계약이 수의계약보다 제품의 가격에 대한 수행도만 유의적으로 높았고(p<0.001) '전반적인 수행도(p<0.01)'와 '제품의 포장 상태(p<0.01)', '납품 시 제품 품질(p<0.001)', '제품의 위생(p<0.001)', '현품설명서와의 일치도(p<0.001)', '반품 및 교환의 신속함(p<0.001)', '비상시 배송 능력(p<0.001)', '배송직원의 서비스(p<0.05)', '불만사항에 대한 처리(p<0.001)'의 세부 항목에서 수의계약에 의한 공급업체의 수행도가 경쟁입찰계약에 의한 공급업체의 수행도 수준보다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업체의 공정한 선정과 합리적인 평가를 위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식에 있어서 구매 관리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즉 학교급식에서 구매 관리를 단순히 급식에 필요한 식재료를 구매하는 활동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급식 품질 경영도구 및 급식 운영의 핵심적인 기능으로써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업체에 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urchasing status and to compare supplier performance evaluations between competitive bidding and negotiated contracts in school foodservice in Changwon, Korea. A total of 19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67 (return rate 87.9%) were collected fro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창원시 관내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업체에 대한 합리적인 관리 및 평가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공급업체 선정방법인 경쟁입찰계약과 수의계약에 따른 식재료 구매 실태와 식재료 공급업체 수행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향후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업체에 대한 합리적인 관리 및 평가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공급업체 선정방법(경쟁입찰계약, 수의계약)에 따른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실태와 공급업체 수행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원시 관내 초·중·고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식소에서 식재료 공급업체를 선정하는 방법 두 가지는 무엇인가? 급식소에서 식재료 공급업체를 선정하는 방법은 크게 경쟁입찰계약과 수의계약으로 나뉠 수 있으며, 두 방법은 각각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경쟁입찰계약을 이용할 경우 구매 절차가 공정하고 의혹이나 부조리를 방지할 수 있고, 수의계약에 비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업체 선정에 따른 업무 부담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급식소에서 식재료 공급업체를 선정하는 방법 두 가지는 어떤 장점과 단점이 있는가? 급식소에서 식재료 공급업체를 선정하는 방법은 크게 경쟁입찰계약과 수의계약으로 나뉠 수 있으며, 두 방법은 각각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경쟁입찰계약을 이용할 경우 구매 절차가 공정하고 의혹이나 부조리를 방지할 수 있고, 수의계약에 비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업체 선정에 따른 업무 부담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수의계약을 이용할 경우 구매 절차가 간편하고 경비와 인원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불리한 가격으로 계약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1)
학교급식에서 구매는 무엇인가? 학교급식에서 구매는 단순히 식재료를 구매하는 활동이 아니라 경영 활동 및 급식 품질 경영의 도구로써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며(1) 급식운영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5)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들은 주로 구매 실태(6-12)에 대한 내용을 위주로 수행되었다. 또한, 공급업체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업체선정방법의 실시 빈도(5,6,12,13), 위생적인 측면에서의 공급업체 실태(14-16), 구매자와 공급업체의 관계에 있어서의 성공 요인(17), 공급업체 선정 시 우선 순위요인(18), 식품종류별 공급업체에 대해 전반적인 만족도(5,16,19)에 대해 이루어졌을 뿐,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업체의 수행도의 다양한 요인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Yang IS, Lee SJ, Kim HA, Lee HY, Chung LN. 2010. Food procurement. Kyomunsa, Kyungi-do, Korea. p 5-6, 64, 80-85, 267. 

  2.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2009. 2009 Scheme of fundamental operation of school foodservice. p 19, 42. 

  3.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2010. 2010 Scheme of fundamental operation of school foodservice. p 12, 22-24, 104. 

  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Guideline of school foodservice hygiene management. 3th ed. p 31-32, 145. 

  5. Lee JS, Eun JY. 2003. Food purchasing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9: 288-296. 

  6. Kim KA. 2005. Assessment of food purchasing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for improving food purchasing management at school food service.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23-28, 34-40, 56-57, 76. 

  7. Kim EJ. 2007. Methods to effectively operate the school meal programs in small-sized school.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eonju, Korea. p 42, 53-54. 

  8. Seo MJ. 2007. Purchasing and receiving status under direct management food service of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in Daegu area, and solution for improvement.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p 21-24, 47-49. 

  9. Lee MH. 2008. Food purchasing and its quality management in school foodservice by type of foodservice in Jeonbuk area.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eonju, Korea. p 28-30. 

  10. Lee JS. 2008. Study on status and satisfaction of purchasing foodstuff for school meals in Kangwon area.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p 26, 35, 55-56. 

  11. Kim YH. 2009. A study of purchasing food material for school food service in Jeonbuk province.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p 29-35, 47. 

  12. Lee YM. 2010.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food ingredient purchase on the direct meal schools in Chungbuk area. MS Thesis. Chungbuk University, Chungju, Korea. p 26-50, 64-65, 82-83. 

  13. Yoon JA. 2011. Study on status and satisfaction of purchasing foodstuff for school meals in Chungnam area. MS Thesis. Kongju University, Kongju, Korea. p 5,69-70,84-89. 

  14. Kim YH, Lee YK. 2010. An evaluation of food safety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of food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supply foods to school foodserv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535-1544. 

  15. Lee KM, Ryu K. 2007. Field assess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for school foodservice suppliers in the Seoul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50-663. 

  16. Ryu K. 2007. Status of supplier selection status and the practical use of purchase specifications for self-operated school foodservices in the Seoul area. Korea J Food & Nutr 20: 226-239. 

  17. Lee YJ, Park GS. 2002. A study on success factors of buyer- supplier relationship in elementary school lunch: from the buyer's viewpoint. J Korean Diet Assoc 8: 1-8. 

  18. Park MJ, Kim SH, Lee JS. 2008. An analysis on the priority of selection of supplier for school food service material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 531-539 

  19. Eun JY. 1999. The effective management for school foodservice purchasing - focused on the food suppliers selection-. MS Thesis. Dongduk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23-33, 83-88. 

  20. Yoo YJ, Youn SJ. 1997. The assessment of food procurement practice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located in Kyungkido. Korean J Soc Food Sci 13: 319-329. 

  21. Kim KA, Kwak TK, Lee KE. 2006. Food purchasing and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in school foodservice. J Korean Diet Assoc 12: 329-341. 

  22. Cho YH. 2008. A study on contract system of educatio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focused on Gwangju area. MS Thesis. Jeonnam University, Gwangju, Korea. p 11-18. 

  23. Yang IS, Lee BS, Cha JA, Han KS, Chae IS, Lee JM. 2008. Institutional foodservice. Kyomunsa, Kyungi-do, Korea. p 107-108, 119-120. 

  24. Kim JM. 2010. Investigation into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on purchase of food materials for food service in Gyeongnam. M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Korea. p 15-17. 

  25. Spears MC, Gregoire MB. 2004. Foodservice organizations: a managerial and systems approach. 5th ed. Pears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USA. p 137. 

  26. JY. 1996. The study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system especially to food purchasing management. Annual Bulletin of Seoul Heath Junior College 16: 55-70. 

  27. Jang YS, Park JA. 2009. Study on the evaluation factors of seafood purchase for school food service. Fisheries Management 40: 1-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