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 환자의 자살 생각 관련 요인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Status and Suicidal Thinking among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5 no.1, 2012년, pp.39 - 46  

유승미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성지숙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수리주안 (연변대학교 간호대학교) ,  유수경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윤희경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안혜영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소희영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status and suicidal thinking among cancer patients. Methods: The data set of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9) was used and 230 subjects with cancers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Using SPSS/WIN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식적인 절차에 따라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3차년도(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자료를 이용하여 암 환자의 자살 생각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관계 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중 건강 설문조사에 응답한 만 19세 이상 성인 기타 암 포함 암 항목에 ‘예‘라고 응답한 전수 230명을 대상으로 자살 생각의 수준을 파악하고 스트레스, 우울, 자살 생각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의 제 4기 국민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암 환자의 인구학적 요인(연령, 성, 결혼상태, 교육수준, 직업유무, 가족수입, 사보험 가입여부), 건강관련 특성(흡연, 음주) 및 정신건강 요인(스트레스, 우울)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연구로서 암 환자의 간호중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암 환자의 자살 생각의 수준과 자살 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관계 분석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자살 생각이 자살의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간호문제 중 하나라고 인식하고 일부 특정 암이나 특정 계층이 아닌, 생존자를 포함하여 전국 모든 암 환자를 대상으로 암 환자의 자살 생각과 그의 위험요인으로 밝혀진 우울과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건강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추후 암 환자의 교육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일상생활 적응을 돕고 정신적인 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지역사회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2010년 자살률은 어떻게 되는가? 우리나라의 2010년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31.2명으로 OECD 평균 자살률 11.3명보다 크게 높아 회원국 중 1위이며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에 이어 전체 사망원인의 4위를 차지하고 있다.
자살의 특징 및 이를 예방하기 위해 무엇이 중요한가? 지난 10년간 암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사망원인이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Statistics Korea, 2010). 자살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살인행위로 단 한 번의 시도만으로도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살 행동의 위험요인을 이해하고, 자살시도 전에 중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자살 가능성이 높은 위험 집단을 파악해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Mo & Bae, 2011).
암 환자의 간호중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자살 생각의 정도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 자살 생각의 차이를 파악한다. • 암 환자의 스트레스, 우울에 따른 자살 생각 차이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자살 생각 관련요인을 파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J. H., & Chun, M. A. (2009). A study on antecedents of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A test of the stress-diathesis model.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2), 489-511. 

  2. Akechi, T., Nakano,T., Akizuki, N., Nakanishi, T., Yoshikawa, E., Okamura, H., et al. (2002).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ity in cancer patients. Japanes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2 (12), 506-511. 

  3. Bae, J. H., & Um, K. W. (2009). Factors affecting suicide attempt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4), 1427-1444. 

  4. Bae, S. H. (2009). Ethnography on cancer patients' ang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5. Choi, S. H., Choi, Y. H., & Kim, H. S. (2008). Suicidal ideation and associated factors of the elderly in urban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 (1), 5-12. 

  6. Choi, Y. H., & Kim, S. H. (2008). Suicide ideation and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depress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 (2), 345-355. 

  7. Hong, Y. S., & Jeon, S. Y. (2005). The effect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for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19, 125-149. 

  8. Hur, J. W., Choi, K.Y., Lee, B. H., Shim, S. H., Yang, J. C., & Kim, Y. K. (2007). The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suicide attempt. Journal of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6 (2), 129-135. 

  9. Jang, M. H., & Kim, Y. H. (2005). The relationship of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4 (1), 33-42. 

  10. Kim, C. J., & Hwang, J. S. (2008). A study on the effects of senile disease and depression on the seniors ideation of suicid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 (3), 425-442. 

  11. Kim, H. K., Ko, S. H., & Chung, S. H. (2010). Suicidal ideation and risk factors among the elderly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4 (1), 82-92. 

  12. Kim, J. I., & Ram, G. J. (2007). Survey of social factors and mental health among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6 (5), 421-429. 

  13. Kim, Y. J. (2009). Comparison of health habit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by gender between elder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 (3), 333-344. 

  14. Kim, Y. J. (2010). Relationship of suicide thinking,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5. Kim, Y. J. (2008). A Study on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6. Kim, Y. S. (2003).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hopelessness of the woman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17. Lee, B. J., & Oh, Y. J. (2008). Household types and suicide ideation among elderly peopl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 (10), 49-57. 

  18. Lee, B. Y., Jo, H. S., & Kwon, M. S. (2010). Survey on quality of life,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4 (1), 49-60. 

  19. Lee, Y. S. (2007). Psychosocial experience in post-mastectomy wom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9 (3), 99-124. 

  20. Lim, J. S. (2008). Cause of suicide and suicide prevention national survey research on building systems,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of Health Promotion Project Support. http://research.hp.go.kr/ 

  21. Madden, J. (2006). The problem of distress in patients with cancer: Effective assessment.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0 (5), 615-619. 

  2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Korea participates in International Cancer Genome Consortium. Retrieved October, 15, 2011, from http://www.mohw.go.kr/front/index.jsp 

  23. Mo, J. H., & Bae, J. H. (2011). Factors affecting suicidal behavior: focused on comparison gender and age differenc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1 (2), 121-145. 

  24. Noh, Y. H. (2003). Breast cancer survivor's conquest exper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5. Shin, J. H. (2011). Prevalence of suicide-related behaviors and of risk factors between suicide ideation only and suicide ideation/pl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6. Sim, M. Y., & Kim, K. H. (2005).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s among Korean adolescents: moderating effect of sex and developmental period.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0 (3), 313-325. 

  27. Statistics Korea. (2010).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October, 20, 2011. http://kostat.go.kr/portal/english/resources/2/4/1/index.static 

  28. Strong, V., Waters, R., Hibberd, C., Rush, R., Cargill, A., Storey, D., et al. (2007). Emotional distress in cancer patients: the Edinburgh Cancer Centre symptom study. British Journal of Cancer, 96 (6), 868-986. 

  29. Young, R. C., Lee, H. Y., & So, E. S. (2011). Suicidal ideation and associated factors by sex in Korean adults: A population- based cross-sec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56 (4), 429-4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