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잡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v.32 no.2, 2012년, pp.98 - 106
윤영범 (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자원식물개발학과) , 김진화 (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자원식물개발학과) , 장세지 (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자원식물개발학과) , 김도익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권오도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국용인 (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자원식물개발학과)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find out the highest effect on insecticidal, fungicidal and herbicidal activities in leaves, stem and tuber extracts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and extraction methods such as water, boiling water and methanol.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herbicidal co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야콘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 야콘(Smallanthus sonchifolius H. Robinson)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원산지는 칠레의 중, 북부로부터 페루, 에콰도르에 이르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의 중부고지대이다(Grau와 Rea 1997; Novel 1934). 우리나라에서는 1985년 일본으로부터 도입되어 농촌진흥청에서 시험재배를 실시하였으며 최근에는 재배면적이 늘어나고 있다(Doo 등 2002). | |
합성농약과 화학비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은 무엇인가? | 정부는 2013년까지 화학비료와 합성농약의 사용량을 2004년을 기준으로 40% 축소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농림수산식품부 2011). 합성농약과 화학비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물질들을 병해충 및 잡초방제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식물은 페놀화합물, 테르펜화합물, 질소함유화합물(알칼로이드 등) 등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물질 중 일부 물질들은 병해충 및 잡초방제에 선택성을 보이며, 비표적 생물 및 환경에는 거의 해가 없으면서, 합성농약처럼 작물에 처리할 수 있다. | |
유기 합성농약의 문제점은? | 유기 합성농약은 병해충 및 잡초방제에 의한 식량증산을 통하여 인류를 기아에서 해방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병해충 및 잡초방제에 많은 오남용으로 인축에 대한 독성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합성농약의 사용량을 줄여 나아가고 있다. |
Asami, T. M., T. Minamisawa, and T. Tsukiashi. 1989. Chemical composition of yacon, a new root crop from Andean highland. Japan. J. Soil Sci. Plant Nutr. 60(2):122-126.
Beutler, J. A., J. H. Cardellina, C. M. Lin, E. Hamel, G. M. Cragg, and M. R. Boyd. 1993. Centaureidin, a cytotoxic flavone from Polymnia fruticosa, inhibits tubulin polymerization. Biomed. Chem. Lett. 3(4):581-584.
Copping, L. G. 2009. The Manual of Biocontrol Agents. BCPC. p.205.
Doo, H.S., J. H. Ryu, and B. K. Choo. 2002. Growth and yield responses of yacon according to fertilize the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Bulletin of Agricultural Colleg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33:51-60.
Duke, S. O., F. E. Dayan, A. M. Rimando, K. K. Schrader, G. Aliotta, A. Oliva, and J. E. Romagni. 2002. Chemicals from weed management. Weed Sci. 50:138-151.
Duke, S. O., F. E. Dayan, A. Hernandez, M. V. Duke, and H. K. Abbas. 1997. Natural products as leads for new herbicide mode of action. The 1997 BCPC-Weeds 579-586.
Grau, A, and J. Rea. 1997.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Poepp. and Endl.) H. Robinson. In : Hermann M, Heller J (eds) Andean roots and tubers : Ahipa, Arracacha, Maca and Yacon. 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s Institute, pp 199-242.
Head, S. W. 1966. A study of insecticidal constituents in 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Pyrethrum Post. 8:32-37.
Hideo, K., S. Takuhiko, H. Yasuyuki and M. Junya. 1992. Ent-kaurenic acid and its related compounds from glandular trichome exudate and leaf extracts of Polymnia sonchifolia. Biosci. Biotech. Biochem. 56:1562-1564.
Inoue, A., S. Tamogami, H. Kato, Y. Nakazato, M. Akiyama, O. Kodama, T. Akatsuka, and Y. Hashidoko. 1995. Antifungal melampolides from leaf extracts of Smallanthus sonchifolius. Phytochemistry 39(4):845-848.
Joung, H., D. Y. Kwon, J. G. Choi, D. Y. Shin, S. S. Chun, Y. B. Yu, and D. W. Shin. 2010. Antibacterial and synergistic effects of Smallanthus sonchifolius leaf extracts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under light intensity. J. Nat. Med. 64:212-215.
Kakuta, H., T. Seki, Y. Hashidoko, and J. Mizutani. 1992. Ent-kaurenic acid and its related compounds from glandular trichome exudate and leaf extracts of Polymnia sonchifolia. Biosci. Biotech. Biochem. 56:1562-1564.
Kim, H. Y., H. J. Choi, Y. M. Yu, S. J. Heo, S. M. Lim, J. S. Kim, and S. Kim. 2003. Plant-derived herbicidal compounds. Korean J. Weed Sci. 23(3): 190-212.
Kuk, Y. I., N. R. Burgos, and R. E. Talbert. 2001. Evaluation of rice by-products for weed control. Weed Sci. 49:141-147.
Lachman, J., E. C. Fernandez, and M. Orsak. 2003.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Poepp. Et Endl.) H. Robinson] chemical composition and use-A review. Plant Soil Environ. 49:283-290.
Lebeda, A., I. Dolezalova, and K. Dolezal. 2004. Variation in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s in genotypes of maca and yacon. Acta Hort. 629:483-490.
Lee, F. Z., J. C. Lee, H. C. Yang, D. S. Jung, and J. B. Eun. 2002. Chemical composition of dried leaves and stems and cured tubers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Korean J. Food Preserv. 9:61-66.
Lin, F., M. Hasegawa, and O. Kodama. 2003.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sesquiterpene lactones from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Biosci. Biotechnol. Biochem. 67:2154-2159.
Min, K. J., J. U. Cheon, and C. G. Cha. 2008.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ing of yacon. J. Fd. Hyg. Safety. 23:163-168.
Novel, V. 1934. The lost crops of the incas. Ceres. 17:37-40.
Simonovska, B., I. Vovk, S. Andrensek, K. Valentova and J. Ulrichova. 2003. Investigation of phenolic acids in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leaves and tubers. J. Chromatogr. A. 1016(1):89-98.
Takenaka, M., X. Yan, H. Ono, H. Yoshida, T. Nagata, and T. Nakanishi. 2003. Caffeic acid derivatives in the roots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J. Agric. Food Chem. 51:793-796.
Yan, X., M. Suzuki, M. Ohnishi-Kameyama, Y. Sada, T. Nakanishi, and T. Nagata. 1999.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s in the roots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J. Agric. Food Chem. 47:4711-4713.
강태수, 박승의, 이명렬, 이신영. 1998. 건강식품소재를 이용한 당뇨환자용 기능성식품 조재의 개발. 1. 건강식품소재의 식이섬유함량 및 in vitro법에 의한 포도당흡수 지연효과. 농업논문집. 40:191-198.
농림수산식품부. 2011. 2011-2015 제 3차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 농림수산식품부, pp. 1-24.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