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야콘 착즙액의 항산화 활성 및 천연 항산화제로서 돈육패티에 이용
The Antioxidant Activity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ty) and its Application to the Pork Patties as a Natural Antioxidan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32 no.2, 2012년, pp.190 - 197  

박진선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및 생물공학 연구소) ,  김형상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및 생물공학 연구소) ,  진구복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및 생물공학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화과 구근 작물인 야콘을 이용하여 농도별(0.05, 0.1, 0.25, 0.5, 1%)로 야콘 에탄올 추출물(YEE)과 야콘 착즙액(YPE)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 철이온 흡착력과 linoleic acid 과산화 억제능 및 추출 수율에서 야콘 착즙액이 야콘 에탄올 추출물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특히 철이온 흡착력에서 YPE가 0.5% 수준에서 약 80% 정도의 활성을 보였고, linoleic acid 과산화 억제능에서는 70% 이상의 매우 높은 활성을 띄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에서는 두 추출물 모두 0.5% 수준 이상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p>0.05).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0.5%의 YEE와 YPE를 각각 돈육패티에 적용하였고, 대조구로는 BHT 0.01%를 이용하여 냉장저장 기간 동안(0, 3, 7, 10, 14일)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pH와 백색도, 황색도에서 각 처리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반면 적색도에서는 처리구별로 대조구가 가장 높고 REF(BHT 0.01%), TRT1(YEE), TRT2(YPE) 순서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10일이후부터는 대조구와 유의차가 없었고(p>0.05),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미생물 결과는 처리구별 차이는 없었으나(p>0.05), 7일 경과 후부터 모든 처리구가 급격히 증가하였다(p<0.05). TBARS값도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5), 야콘 착즙액 처리구와 에탄올 추출물 처리구간에 차이는 없었으나(p>0.05), 착즙액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낮음으로써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p>0.05).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볼 때 야콘 착즙액이 지방 산화억제를 위한 천연의 항산화제로 식육가공품에 사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xtraction method (Yacon ethanol extracts; YEE, Yacon pressed extracts; YPE) and various levels (0.05-1.0%)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In linoleic acid emulsion of YPE, there were higher iron chelation activi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야콘이 천연 항산화제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의 첨가제로써도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 육제품에 적용시켜 제품의 품질이나 지방 산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한 사례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야콘을 착즙액과 에탄올 추출물 두 가지로 나뉘어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는 모델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직접 육제품에 적용하여 육제품의 이화학적 성상과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는 제품연구를 수행하여 기능성 식품 첨가물로서 야콘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콘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여러 천연 물질 중 야콘(Polymnia sonchifolia)은 남미의 에콰아도르와 페루가 원산지이며 우엉, 쑥갓과 함께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구근 작물로써 주로 수분(860-900 g kg-1)과 탄수화물(90-130 g kg-1)로 이루어져 있다(Hermann et al., 1999).
야콘이 당뇨병에 탁월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이유는 무엇인가? , 1999). 또한, 탄수화물 성분에서 fructan이 풍부하지만 전분은 거의 없어 당뇨병에 탁월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면서 점점 알려지기 시작하였다(Yan et al., 1999).
야콘은 주로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여러 천연 물질 중 야콘(Polymnia sonchifolia)은 남미의 에콰아도르와 페루가 원산지이며 우엉, 쑥갓과 함께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구근 작물로써 주로 수분(860-900 g kg-1)과 탄수화물(90-130 g kg-1)로 이루어져 있다(Hermann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be, T. and Berk, B. C. (1998) Reactive oxygen species as mediators of signal transduction in cardiovascular disease. Trends Cardiova. Med. 8, 59-64. 

  2. Aguirrezabal, M. M., Mateo, J., Dominguez, M. C., and Zumalacarregui, J. M. (2000) The effect of paprika, garlic and salt on rancidity in dry sausage. Meat Sci. 54, 77-81. 

  3. Cho, M. H. and Kim, B. H. (1988) Basic Toxicology. Young Jin Moon Hwa Sa. pp. 194-197. 

  4. Choi, Y. I., Cho, H. G., and Kim, I. S. (1998)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hilled porks. Kor. J. Anim. Sci. Technol. 40, 59-68. 

  5. Duh, P. D. (1998) Antioxidant activity of Burdock (Arctium lappa Linne): Its scavenging effect on free-radical and active oxygen. JAOCS 75, 455-461. 

  6. Hermann, M., Freire, I., and Pazos, C. (1999) Compositional diversity of the yacon storage root. In: Impact on a changing world. Program Report 1997-1998. CIP. Lima. 425-432. 

  7. Huang, S. J., Tsai, S. Y., and Mau, J. L.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Agrocybe cylindracea. LWT-Food Sci. Technol. 39, 387-38. 

  8. Khokhar, S. and Apenten, R. K. O. (2003) Iron binding characteristics of phenolic compounds: some ten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 Food Chem. 81, 133-140. 

  9. Kim, Y. S.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yacon K-23 and manufacture of functional yacon jam. Kor. J. Food Sci. Technol. 37, 1035-1038. 

  10. Le, K., Chiu, F., and Ng, K. (2007)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ntioxidants in Fructus lycii. Food Chem. 105, 353-363. 

  11. Lee, E. S. and Shim, J. 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yacon powder. Kor. J. Food Cookery Sci. 26, 545-551. 

  12. Lee, Y. S., Ahn, D. S., Joo, E. Y., and Kim, N. W. (2009)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yneilesis palmat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71-1477. 

  13. Lin, J. Y. and Tang, C. Y. (2007)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selected fruits and vegetables, as well as their stimulatory effects on mouse splenocyte proliferation. Food Chem. 101, 140-147. 

  14. Martinez-Tome, M., Jimenez, A, M., Ruggieri, S., Frega, N., Strabbioli, R., and Mucia, M. A. (2001) Antioxidant properties of Mediterranean compared with common food additives. J. Food Prot. 64, 1412-1419. 

  15. Min, K. J., Cheon, J. U., and Cha, C. G. (2008)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ing of Yacon. J. Food Hyg. Safety 23, 163-168. 

  16. Que, F., Zhu, M. C., and Xie, G.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Chinese yellow wine, its concentrate and volatiles. LWT-Food Sci. Technol. 39, 111-117. 

  17. Shin, T. S., Kang, H. S., Kim. S. K., Lee, K. W., Cho, B. W., and Jeon, H. Y. (1998) Synergistic effects of synthetic and natural antioxidants on lipid oxidation of cooked ground pork during cold storage. J. Agri. Tech. Dev. Inst. 2, 105-113. 

  18. Shinnhuber, R. O. and Yu, T. C. (1977) The 2-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 objective measure of the oxidative deterioration occurring in fats and oils. J. Jap. Oil Chem. Soc. 26, 259-267. 

  19. SPSS. (2008) SPSS 17.0 for windows. SPSS Inc. USA. 

  20. Tomas, M. J. (2000) The role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Nutr. 16, 716-718. 

  21. Vuorela, S., Salminen, H., Makela, M., Kivikari, R., Karonen, M., and Heinonen, M. (2005) Effect of plant phenolics on protein and lipid oxidation in cooked pork meat patties. J. Agric. Food Chem. 53, 8492-8497. 

  22. Yan, X., Suzuki, M., Ohnishi-Kameyama, M., Sada, Y., Nakanishi, T., and Nagata, T. (1999)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s in the roots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J. Agric. Food Chem. 47, 4711-4713. 

  23. Yen, G. C. and Hsieh C. L. (1998)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Du-zhong (Eucommiaulmoides) toward various lipid peroxidation models in vitro. J. Agric. Food Chem. 46, 3952-395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