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 잡초 Echinochloa oryzicola (Vasinger) Vasinger와 E. oryzoides (Ard.) Fritsch의 국명 설정에 대한 제안
Suggestion on Korean Name of Echinochloa oryzicola (Vasinger) Vasinger and E. oryzoides (Ard.) Fritsch 원문보기

한국잡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v.32 no.2, 2012년, pp.144 - 147  

이정란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김창석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이인용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국내에 분포하고 있는 논의 잡초중의 하나인 E. oryzoides (Ard.) Fritsch는 국명에 있어서 논피와 강피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학명의 적용에도 혼란이 있다. 이에 산림청의 국립수목원과 한국식물분류학회에서 구성한 국가식물목록위원회에서 이미 합의된 국명인 '논피'의 통일된 사용을 제안하여 응용식물분야 연구자들에게 강피와 논피의 혼란을 피하고자 한다. 또한 학명의 적용 역시, E. oryzoides (Ard.) Fritsch와 E. oryzicola (Vasinger) Vasinger를 혼용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국내에 알려진 논피의 학명은 E. oryzicola (Vasinger) Vasinger를 적용해야 하고, E. oryzoides (Ard.) Fritsch는 경남 마산에서 발견하여 보고한 미기록종인 '나도논피'의 학명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chinochloa oryzoides (Ard.) Fritsch is one of major troublesome weeds in the paddy fields in Korea. The Korean name and scientific name of the species has been controversial among researchers. The Korean names 'Nonpee' and 'Gangpee' are being used interchangeably and the application of its scient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im과 Park(2007)은 잡초 형태·생리·생태 도감의 2판에서 강피(논피)로 사용하던 국명을 논피로 수정하였다. 그러므로 분류학적 혼란을 줄이기 위하여 잡초학자들을 중심으로 한 응용 식물분야 연구자들도 강피대신 논피를 국명으로 사용하여 본 종에 대한 혼란을 줄일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 Fritsch는 논피와 마찬가지로 논에서 벼와 매우 유사한 생육형을 보이는 점을 고려하여 ‘나도논피’로 신칭하였다. 본 논문은 잡초학자들에게 강피로 주로 쓰이고 있는 논피의 국명사용을 제안하고 정확한 학명의 적용을 권유하여 본 종을 연구하는 연구자들간의 혼란을 막고자 통일된 명칭을 제안하는 바이다.
  • 이에 산림청의 국립수목원과 한국식물분류 학회에서 구성한 국가식물목록위원회에서 이미 합의된 국명인 ‘논피’의 통일된 사용을 제안하여 응용식물분야 연구자들에게 강피와 논피의 혼란을 피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논의 잡초중의 하나는 무엇인가? 현재 국내에 분포하고 있는 논의 잡초중의 하나인 E. oryzoides (Ard.) Fritsch는 국명에 있어서 논피와 강피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학명의 적용에도 혼란이 있다. 이에 산림청의 국립수목원과 한국식물분류학회에서 구성한 국가식물목록위원회에서 이미 합의된 국명인 '논피'의 통일된 사용을 제안하여 응용식물분야 연구자들에게 강피와 논피의 혼란을 피하고자 한다.
E. oryzoides (Ard.) Fritsch는 학명의 적용에도 혼란이 있어 무엇으로 통일된 사용을 제안하였는가? ) Fritsch는 국명에 있어서 논피와 강피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학명의 적용에도 혼란이 있다. 이에 산림청의 국립수목원과 한국식물분류학회에서 구성한 국가식물목록위원회에서 이미 합의된 국명인 '논피'의 통일된 사용을 제안하여 응용식물분야 연구자들에게 강피와 논피의 혼란을 피하고자 한다. 또한 학명의 적용 역시, E.
E. oryzoides (Ard.) Fritsch는 국명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현재 국내에 분포하고 있는 논의 잡초중의 하나인 E. oryzoides (Ard.) Fritsch는 국명에 있어서 논피와 강피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학명의 적용에도 혼란이 있다. 이에 산림청의 국립수목원과 한국식물분류학회에서 구성한 국가식물목록위원회에서 이미 합의된 국명인 '논피'의 통일된 사용을 제안하여 응용식물분야 연구자들에게 강피와 논피의 혼란을 피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rampton, B. 1964. Echinochloa oryzicola in California. Madrono. 17:294-295. 

  2. Edittio Scientiarum R.P.D.C, 1976. Flora Coreana 227-230. Phyongyang. 

  3. Gould, F. W., M. A. Ali, and D. E. Fairbrothers. 1972. A Revision of Echinochloa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Midland Naturalist. 87:36-59. 

  4. Kim, D. S. and Park, S. H. 2009. Weeds of Korea. III. Morphology?Physiology?Ecology. Monocotyledoneae Pteridophyta. Rijion Agricultural Resources Publication. pp. 248-253. 

  5. Korea National Arboretum.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2004. pp. 382-391. 

  6. Korea National Arboretum.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2007. pp. 349-350. 

  7. Korea National Arboretum.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2011. pp. 448-457. 

  8. Michael, P. W. 2007. Echinochloa P. Beauv. In : Flora of North America, North of Mexico. Vol. 25 (ed. by Barkworth, M.E., K.M. Capels, S. Long and M.B. Piep)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Oxford. pp. 390-403. 

  9. Oh, S. M. 2003. A List of Weed in Korea. SeoIl Press. pp. 18-20. 

  10. Pak, M. K. 1949. An enumeration of Korean plants. Ministry of Education,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 278. 

  11. Ryang H. S., D. S. Kim and S. H. Park 2004. Weeds of Korea. III. Morphology?Physiology?Ecology. Monocotyledoneae Pteridophyta. Rijion Agricultural Resources Publication. pp. 334-362. 

  12. The Plant List.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www.theplantlist.org/ 

  13. 강병화. 2008. 한국생약자원도감. Vol. 3 거북. 서울. pp. 195-201. 

  14. 김건옥. 2007. 한국 내 피속(Genus Echinochloa)의 학명과 국명 내력. 자생식물회지. 64:7-13. 

  15. 송주택, 정현배, 김병우, 진희성. 1989. 한국식물대보감. 하권. pp. 408-409. 

  16. 이춘녕, 안학수. 1963. 한국식물명감. 범학사. p. 272. 

  17. 조선생물학회. 1949. 조선식물명집 Nomina Plantarum Koreanum (초본편). p. 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