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왕묘 의례 복식의 변천과 문화콘텐츠화 방안
The Changes of Ceremonial Costumes of the Guan Yu Shrine and the Method for their cultural content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2 no.4, 2012년, pp.32 - 45  

박가영 (숭의여자대학 디자인계열 패션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etter understand the Dongmyo, the Eastern Shrine of GuanYu and the military costumes of the Joseon period andto develop different cultural contents. By studying relevant literature, confirmations were made about the various types of costumes and their historical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재현할 복식을 참여인물별로 확인해보면 왕의 갑주(甲冑), 제관의 갑주, 종친과 문무백관의 융복(戎服), 전악 · 악사 · 악공의 갑주로 정리된다. 고증복식을 공연의상으로 제작하기 위한 구체적인 형태와 치수 등에 관한 논의는 후속연구로 미루고, 본고에서는 갑주와 융복으로 이루어진 정조대 관왕묘 의례 복식을 공연화하는 기본 원칙들을 근거 사료와 함께 제시하려 한다.
  • 관왕묘 의례의 실행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혀주는 사료로는 『의주등록(儀註謄錄)』, 『치제등록(致祭謄錄)』, 『제등록(祭謄錄)』 등이 있는데 『의주등록』 중 헌종 13년(1846)으로 추정되는 관왕묘 의례 복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 첫째, 군례를 행할 때 왕이 착용하는 어갑주(御甲冑)는 금갑(金甲)으로, 『정조국장도감의궤』의 갑주 구조로는 금갑을 제작할 수 없으므로 『국조오례의서례』 등에 수은갑(水銀甲) 혹은 갑(甲)으로 기록되어 있는 찰갑의 갑옷조각을 금도금하거나 금칠을 하는 방식을 제안해본다. 둘째, 제관(齊官)에게는 서열화된 갑주를 착용하게 하여 재현행사 진행에 신분의 고하를 가시화하고자 한다. 우선 제관들을 품계 순서로 나열한 뒤 『만기요람』의 동일 병영 내 갑주들을 서열화하여 선택한다.
  • 따라서 정조의 금갑을 의 두정갑 형식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으며, 전존하는 갑주유물은 왕의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두석으로 만든 두정과 장식품이 금색인 경우가 많으므로 장수의 갑주와 차별화시키기 위해서라도 공연의상으로는 찰갑 형식의 금갑을 제안하고자 한다.
  • 최근 한국 전통복식을 문화콘텐츠로서 접근하여 지역축제에 활용하거나 디지털화하여 산업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관한 연구2)가 증가하는 것도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옛 것을 찾아 고증하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재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살펴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문화상품화 기획단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동묘(東廟)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동묘라는 문화재 안에 우리 선조들의 옛 이야기를 담아내는 스토리텔링의 바탕을 마련하리라 기대한다.
  • 본고에서는 『국조속오례의』, 『춘관통고』, 『대한예전』 등 예전(禮典)에 있는 관왕묘 의례의 의주(儀註)와 관련 기록들을 중심으로 하고 실록(實錄)과 등록(謄錄)을 보충자료로 삼아 관왕묘 의례 복식의 변천 및 각각의 복식이 지니는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 이에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황룡기ㆍ청룡기ㆍ백호기ㆍ주작기ㆍ현무기의 오방기(五方旗)를 든 악공이 황ㆍ청ㆍ백ㆍ홍ㆍ흑의 오색단갑을 입고 방위를 맞춰 서고, 그 사이에서 악기를 연주하는 16명의 악공은 황화갑을 입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관우는 중국의 장수이고 관왕묘 또한 임진왜란 때 명나라의 강요로 만들어진 것이었으므로 관우의 복식은 중국식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중국의 수많은 관우상 중에서도 관우의 수급(首級)이 묻힌 곳으로 유명한 낙양(洛陽)의 관림(關林)에 있는 관우상을 살펴 보고자 한다. 관림의 대전(大殿)에 있는 관우상<그림 5>30)은 12류가 달린 평천관을 쓰고 황색의 중국식 용포를 착용한 모습이다.

가설 설정

  • 원래 군례를 행할 때 왕이 착용하는 어갑주(御甲冑)는 금갑(金甲)으로 규정되었고32) 정조는 화성행행 때 활쏘기를 마친 후 상으로 자신의 금갑을 지방관에게 하사하기도 하였다.33) 금갑은 유물이나 자세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구조를 파악할 수가 없다. 하지만 금색을 내기 위해서는 갑옷 표면이 직물이 아닌 금속이나 금도금을 한 재료로 만들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에서 관왕묘를 설치한 이유는 무엇인가? 관왕묘(關王廟)란 중국 촉한(蜀漢)의 장수이자 전쟁의 신(神)으로 인식되는 관우(關羽)를 모시는 사당이며, 관왕묘 의례는 무안왕(武安王)으로 추존된 관우에게 제사를 올리는 예식이다. 유교적 문치주의를 지향했던 조선왕조에서는 무묘(武廟)를 설치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으나, 임진왜란 때 관우의 영령이 왜병을 격퇴시켰다고 믿는 명나라 장수들의 요청으로 관왕묘를 설치하게 되었다. 설치 이후 유지관리만 해오던 관왕묘는 숙종대 이후 영조와 정조를 거치면서 국왕에 대한 의리와 충절을 권장하고 군사권을 국왕중심으로 전환시키는 왕권강화의 수단으로 활용된다.
관왕묘란 무엇인가? 관왕묘(關王廟)란 중국 촉한(蜀漢)의 장수이자 전쟁의 신(神)으로 인식되는 관우(關羽)를 모시는 사당이며, 관왕묘 의례는 무안왕(武安王)으로 추존된 관우에게 제사를 올리는 예식이다. 유교적 문치주의를 지향했던 조선왕조에서는 무묘(武廟)를 설치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으나, 임진왜란 때 관우의 영령이 왜병을 격퇴시켰다고 믿는 명나라 장수들의 요청으로 관왕묘를 설치하게 되었다.
관왕묘 관련 의주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춘관통고』에는 6종류의 관왕묘 관련 의주(儀註)가 기록되어 있다. 춘추향관왕묘의, 작헌관왕묘의, 전배관왕묘의, 왕세자작헌관왕묘의, 왕세자전배관왕묘의, 왕세손전배관왕묘의가 그것이다.3) 각 의례의 복식을 살펴보면 행사의 내용과 주관자에 따라 복식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심승구 (2003), 조선후기 무묘(武廟)의 창건과 향사(享祀)의 정치적 의미 - 관왕묘(關王廟)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의 정치와 제도, 박한남 외 편저, 서울: 집문당, pp. 446-447. 

  2. 조희진 (2010), 문화콘텐츠 속 전통복식 활용의 문제점과 고증의 필요성 - 지자체와 지역 축제의 캐릭터 복식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45, pp. 299-344. 

  3. 조효숙, 임현주 (2010), 전통복식 문화원형 콘텐츠의 디지털 활용 현황과 제언, 복식, 60(6), pp. 89-100. 

  4. 박가영 (2010), 순조무자진작의궤에 나타난 궁중무용 복식의 고증 및 디지털콘텐츠화, 한복문화, 13(1), pp. 103-120. 

  5. 春官通考(1788), 卷44, 吉禮 關王廟. 

  6. 正祖實錄, 卷6, 正祖 2年 7月 甲寅. 

  7. 正祖實錄, 卷8, 正祖 3年 10月 辛未. 

  8. 肅宗實錄, 卷48, 肅宗 36年 3月 丁卯. 

  9. 肅宗實錄, 卷50, 肅宗 37年 6月 癸未. 

  10. 園幸乙卯整理儀軌, 卷2, 儀註(附操式). 

  11. 심승구 (2003), 조선후기 무묘(武廟)의 창건과 향사(享祀)의 정치적 의미 - 관왕묘(關王廟)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의 정치와 제도, 박한남 외 편저, 서울: 집문당, p. 448. 

  12. 英祖實錄, 卷64, 英祖 2年 8月 乙酉. 

  13. 英祖實錄, 卷64, 英祖 2年 8月 辛卯. 

  14. 光海君日記, 卷32, 光海君 2年 8月 丁酉. 

  15. 英祖實錄, 卷79, 英祖 29年 3月 丙寅. 

  16. 英祖實錄, 卷103, 英祖 40年 6月 庚寅. 

  17. 英祖實錄, 卷93, 英祖 35年 11月 己未. 

  18. 春官通考, 卷44, 吉禮 關王廟, 英祖 40年 6月 13日. 

  19. 春官通考, 卷44, 吉禮 關王廟, 英祖 52年 2月. 

  20. 正祖實錄 卷6, 正祖 2年 9月 戊子. 

  21. 正祖實錄, 卷8, 正祖 3年 8月 甲寅. 

  22. 正祖實錄, 卷11, 正祖 5年 1月 庚子. 

  23. 正祖實錄, 卷21, 正祖 10年 2月 戊寅. 

  24. 正祖實錄, 卷11, 正祖 5年 1月 庚子. 

  25. 儀註謄錄, 續8, 南關王廟奠酌禮親行儀. 

  26. 儀註謄錄, 續8, 南關王廟奠酌禮親行儀. 丙午9月12日, 南關王廟奠酌禮親行仍詣慕華館瑞?臺試射時出還宮儀. 

  27. 大韓禮典序例, 卷1, 吉禮 中祀. 

  28. 大韓禮典, 卷4, 俗部樂懸圖說 關王廟登歌. 

  29. 度支準折, 45, 樂工服色, 度支部, 高宗代, 규장각 가람古 5127-3. 

  30. 자료검색일 2011. 10. 30, http://www.histopia.net/zbxe/?midslr&search_targettag&search_keyword%EA%B4%80%EC%9A%B0&document_srl6880 

  31. 자료검색일 2011. 10. 30,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 IDX101013000773427 

  32. 자료검색일 2011. 10. 30, http://songij21.egloos.com/1448651 

  33. 자료검색일 2011. 10. 30, http://blog.daum.net/_blog/ArticleCateList.do?blogid0CONU&CATEGORYID977822&dispkindB2201#ajax_history_home 

  34. 世宗實錄, 卷25, 世宗 6年 9月 丙申. 

  35. 中宗實錄, 卷82, 中宗 31年 8月 辛卯. 

  36. 大東野乘, 卷53, 東閣雜記 上 本朝璿源寶錄 宣德 丙午年(世宗 8年,1426). 

  37. 增補文獻備考, 卷109, 兵考. 

  38. 正祖實錄, 卷29, 正祖 14年 2月 辛酉. 

  39. 世宗實錄, 卷133, 五禮 軍禮 序例 兵器 甲. 

  40. (正祖)國葬都監儀軌, 二房儀軌, 明器秩 甲과 ?. 

  41. 春官通考, 卷44, 吉禮 關王廟. 

  42. 武藝圖譜通志, 卷4, 冠服圖說 馬藝冠服圖說. 

  43. , 리움미술관 소장품, 규장각 복본, 필자촬영. 

  44. 戎垣必備, 甲?. 

  45.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편 (1987), 韓國의 甲?, 도판 40. 

  46.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편 (1987), 韓國의 甲?, 도판 32. 

  47. 正祖實錄, 卷32, 正祖 15年 1月 己丑. 

  48. 正祖實錄, 卷38, 正祖 17年 9月 乙卯. 

  49. 武藝圖譜通志, 卷4, 擊毬冠服圖說. 

  50. 儀註謄錄, 續8, 丙午 9月 12日, 南關王廟奠酌禮親行仍詣慕華館瑞?臺試射時出還宮儀. 

  51. 顯宗實錄, 卷8, 顯宗 5年 3月 戊子. 

  52. 燕山君日記, 卷29, 燕山君 4年 6月 庚辰. 

  53. 中宗實錄, 卷45, 中宗 17年 8月 乙酉. 

  54. 明宗實錄, 卷15, 明宗 8年 10 月丙申. 

  55. 中宗實錄, 卷45, 中宗 17年 8月 乙酉. 

  56. 正祖實錄, 卷38, 正祖 17年 10月 戊辰. 

  57. 국립중앙박물관 편 (2002), 조선시대 풍속화,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23. 

  58. 武藝圖譜通志, 卷4, 冠服圖說 擊毬冠服圖說 ?笠. 

  59. 武藝圖譜通志, 卷4, 紅貼裏. 

  60. 正祖實錄, 卷38, 正祖 17年 10月 戊辰. 

  61. 樂學軌範, 卷8, 定大業呈才儀物圖說 五色段甲. 

  62. 樂學軌範, 卷9, 冠服圖說 黃?甲. 

  63. 樂學軌範, 卷8, 定大業呈才, 儀物圖說 ?. 

  64. 大韓禮典, 卷4, 俗部樂懸圖說 關王廟登歌.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