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에서 Figure-of-8 walk test의 신뢰도와 타당도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igure-of-8 Walk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Electrophysiology, v.10 no.1, 2012년, pp.29 - 37  

김양호 (서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임재헌 (서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intra-rater, inter-rater, test-retest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figure-of-8 walk test in people with stroke.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 stroke. Subjects were tested twice by the 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0 하지만 아직까지 뇌졸중 환자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연구는 없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곡선보행능력을 측정하는 도구인 F8WT 의 신뢰도를 평가하고, F8WT가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타당도 검사를 하였다.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17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F8WT의 부드러움 항목 중 멈춤, 머뭇거림, 속도의 변화는 범주형 자료이므로 카파분석을 시행하였고, 다른 항목은 급간 내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 10 하지만, 보행능력을 알 수 있는 F8WT를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연구논문은 거의 없으며, 특히 이 검사도구가 뇌졸중 환자에게 신뢰할 만한 도구인지, 보행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인지에 관한 신뢰도와 타당도 조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보행에 어려움이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곡선보행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F8WT의 측정자 내, 측정자 간, 검사-재검사의 신뢰도를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을 알아볼 수 있는지에 관한 공인 타당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검사는 환자의 동적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도구이다. FSST는 길이 80cm, 높이 2.
  • 본 검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각 항목은 평지걷기, 속도변화하며 걷기, 수평과 수직으로 머리 움직이며 걷기, 회전한 후 걷기, 장애물 돌아가기, 장애물 넘기, 계단 오르기 등 총 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능력을 평가하는 F8WT의 신뢰도를 확인하고, 보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적당한지 알아보기 위해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F8WT의 시간은 측정자 내(ICC=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igure-of-8 walk test의 특징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검사인 Figure-of-8 walk test (F8WT)는 다양한 보행능력을 알아볼 수 있는 도구이다. F8WT의 주행로는 시계방향과 시계반대방향의 곡선주행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과제에 대하여 점수로 기록할 수 있고, 직선보행으로 보행의 어려움을 분간하기 어려운 환자인 경우, F8WT로 보행의 어려움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10 또한 2개의 직선과 2개의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직선보행능력 또한 알아볼 수 있다. 시계방향으로 걷는 것과 시계반대방향으로 걷는 것은 체중분배에 있어서도 다르기 때문에 각기 다르게 수행해 보아야 한다. 시계방향으로 걷게 되면 안쪽 발의 외측 면으로 균형을 잡아야 하지만 시계반대방향으로 걷게 되면 달라진다.11 직선보행 시의 균형은 양 발의 안쪽과 바깥쪽 면으로 동등하게 분할되며, 뇌졸중 후 한쪽의 마비가 있는 경우 양쪽 다리의 균형능력의 비대칭으로 곡선보행 시 이동능력의 제한에 문제를 갖게 되므로 다양한 곡선주행에서 걷는 것은 이동능력을 제대로 평가해 볼 수 있는 검사가 될 수 있다.12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를 평가하는 평가도구들은 무엇이 있는가?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들은 10m walking test (10MWT), timed up and go (TUG) test7와 Emory-functional ambulation profile (E-FAP)8 및 dynamic gait index (DGI)9 등이 있으며, 치료사가 직접 보행을 관찰하여 기록하는 것도 있다. 이러한 보행검사도구들이 측정할 수 있는 보행능력은 대부분 직선보행 능력만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들이다.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이 떨어지는 이유는? 보행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으로 많은 관절과 근육이 상호작용하여 복잡하게 일어나는 기능적인 과제이다.1 특히 뇌졸중 환자들은 중추신경계 병변으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가지 신체기능 손상으로 보행능력에 문제가 발생한다.2 이러한 문제가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이므로,3 보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환자관리에서 중요한 목표가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300. 

  2. Lamontagne A, Fung J. Faster is better: implications for speed-intensive gait training after stroke. Stroke. 2004;35(11):2543-8. 

  3. Carr JH, Shepherd RB. Neurological rehabilitation: optimizing motor performance. 2nd e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2010:95-6. 

  4. Patla AE. Adaptability of human gait: implications for the control of locomotion. New York, North Holland, 1991:3-17. 

  5. Bloem BR, Valkenburg VV, Slabbekoorn M et al. The multiple tasks test: development and normal strategies. Gait Posture. 2001;14(3):191-202. 

  6. Dite W, Temple VA. Development of a clinical measure of turning for older adults. Am J Phys Med Rehabil. 2002;81(11):857-66. 

  7.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8. Wolf SL, Catlin PA, Gage K et al. Establish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s of walking time using the Emory Functional Ambulation Profile. Phys Ther. 1999;79(12):1122-33. 

  9. Jonsdottir J, Cattaneo 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ynamic gait index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7;88(11):1410-5. 

  10. Hess RJ, Brach JS, Piva SR et al. Walking skill can be assessed in older adults: validity of the Figure-of-8 Walk Test. Phys Ther. 2010;90(1):89-99. 

  11. Hase K, Stein RB. Turning strategies during human walking. J Neurophysiol. 1999;81(6): 2914-22. 

  12. Kiriyama K, Warabi T, Kato M et al. Medial-lateral balance during stance phase of straight and circular walking of human subjects. Neurosci Lett. 2005;388(2):91-5. 

  13. Courtine G, Schieppati M. Human walking along a curved path. II. Gait features and EMG patterns. Eur J Neurosci. 2003;18(1):191-205. 

  14. Guglielmetti S, Nardone A, De Nunzio AM et al. Walking along circular trajectories in Parkinson's disease. Mov Disord. 2009;24(4):598-604. 

  15. Lim JH, Park JS, Seo SK. Correlation of curved walking ability with straight walking ability and 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hemiplegia.Kor Acad Clin Elec. 2011;23(3):13-9. 

  16. Suzuki K, Nakamura R, Yamada Y et al. Determinants of maximum walking speed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Tohoku J Exp Med. 1990;162(4):337-44. 

  17. Ng SS, Hui-Chan CW. The timed up & go test: its reliability and association with lower-limb impairments and locomotor capacities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5;86(8):1641-7. 

  18. Flansbjer UB, Holmback AM, Downham D et al. Reliability of gait performance tests in men and women with hemiparesis after stroke. J Rehabil Med. 2005;37(2):75-82. 

  19. Dite W, Temple VA. A clinical test of stepping and change of direction to identify multiple falling older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11):1566-71. 

  20. Blennerhassett JM, Jayalath VM. The Four Square Step Test is a feasible and valid clinical test of dynamic standing balance for use in ambulant people post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8;89(11):2156- 61. 

  21. Berg K, Wood-Dauphinee S, Williams JI.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 Rehabil Med. 1995;27(1):27-36. 

  22. Juneja G, Czyrny JJ, Linn RT. Admission balance and outcomes of patients admitted for acute inpatient rehabilitation. Am J Phys Med Rehabil. 1998;77(5):388-93. 

  23.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2;73(11):1073- 80. 

  24. Lee CH.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physic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3rd ed. Seoul, Geychuk Munwhasa, 2007;400-1. 

  25. Landis JR, Koch GG.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1977;33(1):159-74. 

  26. Guralnik JM, Simonsick EM, Ferrucci L et al. A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assessing lower extremity function: association with self-reported disability and prediction of mortality and nursing home admission. J Gerontol. 1994;49(2):85-94. 

  27. Stevenson TJ. Detecting change in patients with stroke using the Berg Balance Scale. Aust J Physiother. 2001;47(1):29-38. 

  28. Rehm-Gelin SL, Light KE, Freund JE. Reliability of timed-functional movements for clinical assessment of a frail elderly population. Phys Occup Ther Geriatr. 1997;15(1):1-19. 

  29. Brooks VB. The neural basis of motor contro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6;182-3. 

  30. McConvey J, Bennett SE. Reliability of the Dynamic Gait Index in individuals with multiple sclerosis. Arch Phys Med Rehabil. 2005;86(1):130-3. 

  31. Creel GL, Light KE, Thigpen MT. Concurrent and construct validity of scores on the Timed Movement Battery. Phys Ther. 2001;81(2):789-98. 

  32. Chen DH. Interrelationship analysis of the obstacle crossing in individuals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with strokes. Dongsh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9. 

  33. Labruyere R, van Hedel HJ. Curve walking is not better than straight walking in estimating ambulation-related domains after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2012;93(5):796- 801. 

  34. Lee KM, Han SH, Kim YS. Effects of asymmetrical weight bearing during straight and circular walking in hemiplegic patients. J Korean Acad Rehab Med. 2003;27(2):17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