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뇌졸중 환자 8자 모양 경로 보행 검사의 측정자간·절대적 신뢰도와 타당도
The inter-rater absolu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igure-of-8 Walk tes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5, 2017년, pp.467 - 474  

박창식 (호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 8자 모양 경로 보행 검사(Figure-of-Eight Walk Test, F8WT)의 측정자간 절대적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성 뇌졸중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F8WT 소요 시간의 측정자간 신뢰도는 급간내상관계수(Intra Class Coefficient, $ICC_{2,1}$)를 구하였고, 절대적 신뢰도는 측정의 표준 오차값(Standard Error Measurment, SEM)과 최저 실제 차이(Small Real Difference, SRD)를 구하였다. F8WT 소요시간의 타당도는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와 체간 장애 척도(Trunk Impairment Scale, TIS)간의 스피어만 상관 계수(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F8WT 소요 시간의 측정자간 신뢰도 ICC=0.95(0.91~0.97)로 매우 높았고, SEM과 SRD는 각각 1.02점, 2.82점으로 수용할 만 하였다. F8WT 소요 시간은 PASS(r=-0.82), TIS(r=-0.85)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뇌졸중 환자의 특이성 장애인 자세 및 체간 조절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F8WT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평가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intra-rater absolute reliabilities and validity of the Figure of-Eight Walk test (F8W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total of 36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F8WT was calculat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F8WT 소요 시간의 측정자간·절대적 신뢰도를 알아보고 소요시간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F8WT 소요 시간의 측정자간·절대적 신뢰도와 자세 및 체간 조절과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입원 기록지와 환자 또는 보호자들의 면담을 통해 연령, 발병기간, 진단명, 마비측 부위, MMSE-K를 수집하였고, 피 실험자들의 F8WT 수행 시 보행 보조 도구 사용 여부에 따라 독립보행, 지팡이, 4족 지팡이로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 수 산출은 이전 연구에 근거하였으며 이동성에 장애가 있는 노인의 F8WT 검사-재검사 신뢰도 ICC=0.90이므로[11] 뇌졸중 환자들의 F8WT 검증에 필요한 ICC 값은 0.95으로 가정하였다[7]. Wong 등[7]에 의하면 검사-재검사 신뢰도 ICC=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행은 어떠한 능력을 요구하는가? 보행은 주위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상황과 목적의 변화에 맞게 수정 또는 적응해 나가는 신경계와 근골격계의 상호 통합적인 조절 능력을 요구한다[1]. 뇌졸중 환자의 보행 결핍은 일반적인 현상으로 재활치료에서 보행 능력의 재획득은 가장 주된 목표 중 하나이다[2].
뇌졸중 환자의 보행 훈련과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뇌졸중 환자의 보행 결핍은 일반적인 현상으로 재활치료에서 보행 능력의 재획득은 가장 주된 목표 중 하나이다[2].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보행 훈련과 평가는 보통 직선 경로 보행(예, 5m∼10m 보행)에서 측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의 보행은 장애물을 피하여 걷기, 테이블 주변과 길모퉁이 돌기, 주위 환경을 탐색하면서 보행하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직선 보행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3].
뇌졸중 환자의 보행 평가 중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와 안전·최대 보행 속도, 6분 보행 검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보행 평가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 안전·최대 보행 속도, 6분 보행 검사는 매우 신뢰도가 높은 편이다[8]. 그러나 이 모든 평가는 오직 직선 보행 경로에서만 평가되거나 한 방향에서의 180° 회전하기가 포함되어 있을 뿐 곡선 경로의 시계 방향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기는 어렵다. 이를 위해 Hess 등[5]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의 곡선 경로 보행 패턴을 결합한 8자 모양 경로 보행 검사(Figure-of-Eight Walk Test, F8WT)를 개발하였으며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노인 18명을 대상으로 검사자간 신뢰도(ICC=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 Capaday, "The special nature of human walking and its neural control", Trends Neurosci, vol. 25, no. 7, pp. 370-376, 2002. DOI: https://doi.org/10.1016/S0166-2236(02)02173-2 

  2. R. W. Bohannon, M. G. Horton, J. B. Wikholm, "Importance of four variables of walking to patients with stroke", Int J Rehabil Res, vol. 14, pp. 246-250, 1991. DOI: https://doi.org/10.1097/00004356-199109000-00010 

  3. G. Courtine, M. Schieppati, "Human walking along a curved path. I. Body trajectory, segment orientation and the effect of vision", Eur J Neurosci, vol. 18, pp. 177-190, 2003. DOI: https://doi.org/10.1046/j.1460-9568.2003.02736.x 

  4. A. D. Segal, M. S. Orendurff, J. M. Czerniecki, "Local dynamic stability in tunning and straight-line gait", J Biomech, vol. 41, no. 7, pp. 1486-1493, 2007. DOI: https://doi.org/10.1016/j.jbiomech.2008.02.012 

  5. R. J. Hess, J. S. Brach, S. R. Piva, J. M. VanSwearingen, "Walking skill can be assessed in older adults: validity of the Figure-of-8 Walk Test", Phys Ther, vol. 90, no. 1, pp. 89-99, 2010. DOI: https://doi.org/10.2522/ptj.20080121 

  6. M. Godi, A. Nardone, M. Schieppati. "Curved walking in hemiparetic patients", J Rehabil Med, vol. 42, no. 9, pp. 858-65, 2010. DOI: https://doi.org/10.2340/16501977-0594 

  7. S. S. Wong, S. S. Yam, M. S. Ng, "The Figure-of-Eight Walk Test: reliability and associations with stroke-specific impairments", Disabil Rehabil, vol. 35. no. 2, pp. 1896-1902, 2013. DOI: https://doi.org/10.3109/09638288.2013.766274 

  8. U. B. Flansbjer, A. M. Holmback, D. Downham, "Reliability of gait performance tests in men and women with hemiparesis after stroke", J Rehabil Med, vol. 37, pp. 75-82, 2005. DOI: https://doi.org/10.1080/16501970410017215 

  9. M, H. Jan, C. H. Lin, Y. F. Lin, "Effects of weight-bearing versus nonweight-bearing exercise on function, walking speed, and position sense in participants with knee osteoarthrit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vol. 90, no. 6, pp. 897-904, 2009. DOI: https://doi.org/10.1016/j.apmr.2008.11.018 

  10. Y. H. Kim, J. H. Yi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igure-of-8 Walk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J Kor Acad Clin Elec, vol. 10, no. 1, pp. 29-38, 2012. DOI: https://doi.org/10.5627/kace.2012.10.1.029 

  11. J. M. VanSwearingen, J. S. Brach, R. J. Hess. "Clinical correlates of motor control in walking: the Figure-of-8 Walk Test", 59th Annual Scientific Meeting of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Nov 16-20; Dallas, Texas, 2006. 

  12. J. H. Kim, J. W. Park, "Concurrent Validity between Figure-of-8 Walking Test and Functional Tests Included Tasks for Dynamic Balance and Walking in Patient with Stroke", J Kor Soc Phys Ther, vol. 24, no. 5, pp. 325-333, 2012. 

  13. M. G. Kim, J. H. Kim, J. W. Park. "The Effect of Turning Training on Figure of 8 Tract on Stoke Patients' Balance and Walking", J Kor Soc Phys Ther , vol. 24, no. 2, pp. 143-150, 2012. 

  14. Y. C. Huang, W. T. Wang, T. H. Liou, C. D. Liao, L. F. Lin, S. W. Huang,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Scores as a predictor of stroke patient ambulation at discharge from the rehabilitation ward", J Rehabil Med, vol. 48, no. 3, pp. 259-264, 2016. DOI: https://doi.org/10.2340/16501977-2046 

  15. E. Duarte, E. Marco, J. M. Muniesa, R. Belmonte, J. J. Aguilar, F. Escalad, "Early detection of non-ambulatory survivors six month after stroke", NeuroRehabilitation, vol. 26, no. 4, pp. 317-323, 2010. 

  16. G, Verheyden, L, Vereeck, S, Truijen, M, Troch, I. Herregodts, C. Lafoss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d relationship with balance, gait and functional ability", Clin Rehabil, vol. 20, no. 5, pp. 451-458, 2006. DOI: https://doi.org/10.1191/0269215505cr955oa 

  17. M. F. Levin, C. W. Hui-Chan, "Relief of hemiparetic spasticity by TENS is associated with improvement in reflex and voluntary motor functions",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vol. 85, no. 2, pp. 131-42, 1992. DOI: https://doi.org/10.1016/0168-5597(92)90079-Q 

  18. C. Benaim, D. A. Perennou, J. Villy, M. Rousseaux, J. Y. Pelissier, "Validation of a stand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pass)", Stroke, vol. 30. no. 9, pp. 1862-1868, 1999. DOI: https://doi.org/10.1161/01.STR.30.9.1862 

  19. L. J. Liaw, C. L. Hsieh, S. K. Lo, H. M. Chen, S. Lee, J. H. Lin. "The relative and absolute reliability of two balance performance measures in chronic stroke patient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 30, no. 9, pp. 656-661, 2008. DOI: https://doi.org/10.1080/09638280701400698 

  20. G. Verheyden, A. Nieuwboer, H. Feys, V. Thijs, K. Vaes, W. De Weerdt, "Discriminant ability of the Trunk Impairment Scale: a comparison between stroke patients and healthy individuals", Disabil Rehabil, vol. 27, pp. 1023-1028, 2005. DOI: https://doi.org/10.1080/09638280500052872 

  21. W. S. Lu, C. H. Wang, J. H. Lin, C. F. Sheu, C. L. Hsieh, "The minimal detectable change of the simplified 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vement measure", J Rehabil Med, vol. 40, no. 8, pp. 615-619, 2008. DOI: https://doi.org/10.2340/16501977-0230 

  22. D. G. Altman, J. M. Bland, "Measurement in medicine: the analysis of method comparison studies", Statistician, vol. 32, no. 3, pp. 307-317, 1983. DOI: https://doi.org/10.2307/2987937 

  23. J. M. Bland, D. G. Altman, "Statistical methods for assessing agreement between two methods of clinical measurement", Lancet, vol. 8, no. 1, pp. 307-310, 1986.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86)90837-8 

  24. H. Beckerman, M. E. Roebroeck, G. J. Lankhorst, "Smallest real difference, a link between reproducibility and responsiveness", Quality of Life Research, vol. 10, no. 7, pp. 571-578, 2001. DOI: https://doi.org/10.1023/A:1013138911638 

  25. T. Lam, K. Luttmann, "Turning capacity in ambulatory individuals poststroke", Am J Phys Med Rehabil, vol. 88, pp. 873-83, 2009. DOI: https://doi.org/10.1097/PHM.0b013e3181bc0ddf 

  26. K. L. Hollands, M. A. Hollands, D. Zietz, "Kinematics of turning 180 degrees during the timed up and go in stroke survivors with and without falls history", Neurorehabil Neural Repair, vol. 24, pp. 358-367, 2010. DOI: https://doi.org/10.1177/1545968309348508 

  27. J. J. Gemperline S. Allen, D. Walk, W. Z. Rymer, "Characteristics of motor unit discharge in subjects with hemiparesis", Muscle Nerve, vol. 18, pp. 1101-1114, 1995. DOI: https://doi.org/10.1002/mus.880181006 

  28. G. Gera, K. E. McGlade, D. S. Reisman, J. P. Scholz, "Trunk Muscle Coordination During Upward and Downward Reaching in Stroke Survivors", Motor Control, vol. 20, no. 1, pp. 50-69, 2016. DOI: https://doi.org/10.1123/mc.2014-0038 

  29. B. Gjelsvik , K. Breivik , G. Verheyden , T. Smedal , H. Hofstad , L. I. Strand, "The Trunk Impairment Scale - modified to ordinal scales in the Norwegian version", Disability & Rehabilitation, vol. 34, no. 16, pp. 1385-1395, 2012. DOI: https://doi.org/10.3109/09638288.2011.645113 

  30. S. Messier, D. Bourbonnais, J. Desrosiers, Y. Roy "Kinematic analysisof upper limbs and trunk movement during bilateral movement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vol. 87, no. 1463-1470, 2006. 

  31. J. W. Vannes, B. Nienhuis, H. Latour, A. C. Geurtus, "Posturographic assessment of sitting balance recovery in the sub-acute phase of stroke", Gait Posture, vol. 28, pp. 507-512, 2008. DOI: https://doi.org/10.1016/j.gaitpost.2008.03.004 

  32. G. Verheyden, A. Nieuwboer, J. Mertin, "The Trunk Impairment Scale: a new tool to measure motor impairment of the trunk after stroke", Clin Rehabil, vol. 18, no. 3, pp. 326-333, 2004. DOI: https://doi.org/10.1191/0269215504cr733oa 

  33. J. Perry, M. Garret, J. K. Gronley, S. J. Mulroy, "Classification of walking handicap in the stroke population", Stroke, vol. 26, no. 6, pp. 982-989, 1995. DOI: https://doi.org/10.1161/01.STR.26.6.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