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8자 모양 트랙을 이용한 방향전환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urning Training on Figure of 8 Tract on Stoke Patients' Balance and Walking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4 no.2, 2012년, pp.143 - 150  

김미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중휘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박지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iscover the effect of the turning training on figure of 8 tract on stroke patients' static and dynamic balance, as well as walking. Methods: A total of 42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raining group was trained on the figure of 8 tract, whil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적 균형 운동에는 몸을 구부리지 않은 채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스스로 흔들림을 만들어 내는 동요(self-initiated sway), 외력에 의한 동요로부터 균형을 회복 하는 것(recovery of balance), 선행적 자세제어가 요구되는 과제를 수행하는 것(anticipatory postural control) 등이 있다. 25 본 연구에서는 동적 균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스스로 흔들림을 만들어 내는 동요를 측정하였다. 이는 컴퓨터 화면에 따라 압력 중심을 정확한 순서로 도달하는 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나는 체 중심 최대 이동거리를 측정한 것으로, 본 연구 결과체 중심 최대 이동거리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두 집단 간 비교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8자 모양 트랙을 이용한 방향 전환 훈련이 정적 및 동적 균형능력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보행 훈련에 있어 8자 모양 트랙을 이용한 방향 전환 훈련이 균형과 보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직선 보행 훈련만을 실시한 대조군에 비해 8자 모양 트랙에서 보행 훈련을 실시한 실험군이 각 균형 변수와 보행 변수에서 좀 더 나은 결과를 보였고, 따라서 8자 모양 트랙에서의 방향 전환 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있어 의미 있는 중재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
  • 게다가 방향 전환과 관련하여 8자 모양 트랙에서 보행은 노인의 균형 및 보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만 이용되어 왔을 뿐, 뇌졸중 환자의 훈련 중재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행을 직선 보행과 곡선 보행으로 구분 하여 8자 모양 트랙을 이용한 방향 전환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Hess 등14은 노인을 대상으로 한 8자 모양 트랙 보행 평가에 대한 신뢰도 연구에서 8자 모양 트랙에서 보행 시 보행 속도와 걸음 수(number ofstepstaken), 커브 길에서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8자 모양 트랙에서의 보행은 노인에게 있어 보행 속도와 운동성, 이동 능력, 낙상 예측에 있어 복합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평가 도구라고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8자 모양 트랙을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에게 보행 훈련을 실시 하였고 그에 따른 균형과 보행 능력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4,9 지역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보행 능력에는 모퉁이를 돌고, 장애물을 통과하고, 자동문을 출입하고, 무빙 워크에 발을 딛고 내리며, 건널목을 건널 때 신호등에서 주어진 시간 안에 횡단보도를 가로지를 수 있는 정도의 보행 속도 등을 요구한다.10 가정과 지역사회에서의 일상생활 활동성에는 테이블 주변 걷기, 장애물 건너기, 길에서의 방향전환과 같은 곡선 통로에서의 보행 능력을 필요로 한다.11 이와 같이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성공적인 이동을 위해서는 코너를 통과하고 장애물 주변에서의 방향 조정과 같은 능력이 필수적 요소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 자세에서의 균형은 어떠한 활동을 위해 중요한가? 선 자세에서의 균형은 한 쪽 하지로 체중을 이동하는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는 기능적인 가동성과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필수조건이고, 일어서기, 이동하기, 걷기, 방향 바꾸기, 계단 오르기 등의 활동을 위하여 중요하다. 4 균형의 문제는 일상생활동작의 회복을 지연하며 움직임을 감소시키고 낙상을 증가시키는 한편, 기립이나 보행을 방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TUG검사의 측정자 내 신뢰도는 얼마인가?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이 검사의 측정자 내 신뢰도는 r=0.99이고 측정자 간 신뢰도는 r=0.98로 신뢰할 만한 도구이다.
균형의 문제는 무엇을 야기하는가? 선 자세에서의 균형은 한 쪽 하지로 체중을 이동하는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는 기능적인 가동성과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필수조건이고, 일어서기, 이동하기, 걷기, 방향 바꾸기, 계단 오르기 등의 활동을 위하여 중요하다. 4 균형의 문제는 일상생활동작의 회복을 지연하며 움직임을 감소시키고 낙상을 증가시키는 한편, 기립이나 보행을 방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Park JW. Effects of the upper limb soft tissue and nerve mobilization on functional recovery in hemiplegic patients after CVA.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1. 

  2. Dennis MS, Burn JP, Sandercock PA et al. Long-term survival after first-ever stroke: the oxfordshire community stroke project. Stroke. 1993;24(6):796-800. 

  3. Dombovy ML, Sandok BA, Basford JR. Rehabilitation for stroke: a review. Stroke. 1986;17(3):363-9. 

  4. Eng JJ, Chu KS.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8):1138-44. 

  5. Nyberg L, Gustafson Y. Patient falls in stroke rehabilitation. A challenge to rehabilitation strategies. Stroke. 1995;26(5):838-42. 

  6. Walker C, Brouwer BJ, Culham EG. Use of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Phys Ther. 2000;80(9):886-95. 

  7. Mauritz KH. Gait training in hemiplegia. Eur J Neurol. 2002;9Suppl1:23-9;dicussion 53-61. 

  8. Said CM, Goldie PA, Patla AE et al. Obstacle crossing in subjects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9;80(9):1054-9. 

  9. Di Fabio RP, Badke MB. Extraneous movement associated with hemiplegic postural sway during dynamic goal-directed weight redistribu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0;71(6):365-71. 

  10. Kim JH, Kim JS.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standing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5;17(3):351-67. 

  11. Courtine G, Schieppati M. Tuning of a basic coordination pattern constructs straight-ahead and curved walking in humans. J Neurophysiol. 2004;91(4):1524-35. 

  12. Segal AD, Orendurff MS, Czerniecki JM et al. Local dynamic stability in turning and straight-line gait. J Biomech. 2008;41(7):1486-93. 

  13. Godi M, Nardone A, Schieppati M. Curved walking in hemiparetic patients. J Rehabil Med. 2010;42(9):858-65. 

  14. Hess RJ, Brach JS, Piva SR et al. Walking skill can be assessed in older adults: validity of the figure-of-8 walk test. Phys Ther. 2010;90(1):89-99. 

  15. Jan MH, Lin CH, Lin YF et al. Effects of weight-bearing versus nonweight-bearing exercise on function, walking speed, and position sense in participants with knee osteoarthrit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9;90(6):897-904. 

  16.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2;73(11):1073-80. 

  17. Botner EM, Miller WC, Eng JJ. Measurement properties of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among individuals with stroke. Disabil Rehabil. 2005;27(4):156-63. 

  18. Wee JY, Wong H, Palepu A. Validat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as a predictor of length of stay and discharge destination in stroke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3;84(5):731-5. 

  19. Dite W, Temple VA. A clinical test of stepping and change of direction to identify multiple falling older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11):1566-71. 

  20. Hill K, Ellis P, Bernhardt J et al. Balance and mobility outcomes for stroke patients: a comprehensive audit. Aust J Physiother. 1997;43(3):173-80. 

  21. Wade DT, Wood VA, Heller A et al. Walking after stroke. Measurement and recovery over the first 3 months. Scand J Rehabil Med. 1987;19(1):25-30. 

  22. Rodriquez AA, Black PO, Kile KA et al. Gait training efficacy using a home-based practice model in chronic hemiplegia. Arch Phys Med Rehabil. 1996;77(8):801-5. 

  23. Yang YR, Tsai MP, Chuang TY et al.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improves community ambulation in individual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ait Posture. 2008;28(2):201-6. 

  24. Kim CS. Effects of lower limbs strengthening exercise and ergometer bicycle exercise on gait and balance in stroke patients.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8. 

  25. Shumway-cook A, Wollacott MH.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 Maryland, Williams & wilkins,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