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모-자녀관계와 결혼만족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Marital Satisfaction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3 no.2, 2012년, pp.243 - 261  

박희경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보육종합센터 어린이상담실) ,  윤갑정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marital satisfaction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subjects consisted of 237 mothers with young children.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one way ANOVA.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는 모-자녀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어머니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좌절감은 유아의 문제행동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Park, Lee & Shin, 2009) 모-자녀관계의 중요성을 언급해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모-자녀 관계가 어머니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물론 모-자녀 관계는 어머니의 개인적 특성인 성격이나 심리적 기능, 그 외 남편의 지지, 원가족으로부터의 경험들과 양육스트레스와 같이 다양한 요인들을 통해 양육행동으로 나타나며(Ha, Oh, & Kim, 1999; Kim et al.
  • 따라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을 인지적 요소와 정서적 요소로 나누고 이를 결혼 만족도와 모-자녀 관계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인의 행복에 직업성취도나 월평균수입과 같은 개인적 요인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Park & Kim, 2009)에서 어머니의 사회인 구학적 변인의 영향력도 함께 살펴보았다.
  • , 2008), 그리고 부모와 자녀를 개별적인 존재가 아닌 하나로 보는 한국의 전통적인 부모자녀관계(Choi, 2005)를 고려해볼 때 어머니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것들은 어머니의 행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가정에서 경험하는 남편과 자녀와의 관계적 요인이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것은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행복을 향상시키기 위해 남편과 자녀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말해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행복하기 위해서는 가족과의 긍정적인 관계형성과 직업에서의 만족감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한 가족과 사회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그러나 지금까지 남편의 지지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 즉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편의 자녀양육 참여정도와 같은 지원을 어머니의 남편과의 관계변인으로 파악하여 부부관계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결혼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혼만족도는 단순한 부부관계에서의 개인의 주관적 신념이나 생각을 반영해오다가 최근에는 가족관계적 특성을 감안하여 부부관계에서의 결혼의 질에 대한 개인의 만족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발전되고 있다(Kim, 2011).
  • 따라서 이 시기 어머니들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는 작업은 어머니의 행복과 나아가 가족의 행복을 위해 중요할 수 있다. 만약 선행연구 결과와 같이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들에게도 관계적 자원이 주요 영향요인이라면 가족관계 개선과 나아가 어머니의 행복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을 위해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 또한 한국인의 행복에 직업성취도나 월평균수입과 같은 개인적 요인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Park & Kim, 2009)에서 어머니의 사회인 구학적 변인의 영향력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에 어머니의 개인적 요인과 관계적 요인의 영향력 및 주관적 안녕감의 인지적 요소와 정서적 요소의 영향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한국의 성인들에게 주요 영향요인이었던 관계적 요인이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에도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그 관계적 요인 중 인지적 요소와 정서적 요소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밝혀서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행복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에 어머니의 개인적 요인과 관계적 요인의 영향력 및 주관적 안녕감의 인지적 요소와 정서적 요소의 영향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한국의 성인들에게 주요 영향요인이었던 관계적 요인이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에도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그 관계적 요인 중 인지적 요소와 정서적 요소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밝혀서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행복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자료는 2011년 9월 20일과 10월 10 일 두 차례에 걸쳐 U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2곳과 유치원 2곳에 총 400부가 배부되었다. 먼저각 기관의 원장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한 뒤 원장이 각 반 교사를 통해 유아들 편으로 가정으로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총 400부를 배부하여 249 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기재가 미비한 경우를 제외한 총 237부(5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녀출산 이후에 주로 아내의 결혼생활만족도는 급격히 저하되는데, 이를 통해 짐작할 수 있는 것은? 인간의 생애발달 시기에 따른 행복연구들을 살펴보면 자녀출산 이후에 부부의 결혼생활만족도는 급격히 저하 되며 이는 주로 아내의 만족도가 저하되기 때문 이라고 보고하였다(Shapiro, Gottman, & Garrere, 2000). 이는 자녀출산 이후에 어머니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에서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스스로 인식하는 행복의 수준이 낮을 수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또한 자녀로 인해 변화되는 가족생 활과 자녀가 자라면서 늘어나는 양육비와 교육비의 부담(Woo, Kin, Lee, & Kim, 2009)은 더욱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Kim, Kim, & Park, 2008).
인간의 삶에서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의 삶에서 행복이란 모든 인간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이다. 행복의 조건은 개인마다 다양할 수 있지만 행복하기를 바라는 것은 누구나 같을 것이다.
행복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 것은? 행복의 조건은 개인마다 다양할 수 있지만 행복하기를 바라는 것은 누구나 같을 것이다. 이처럼 행복은 오랫동안 인류의 관심사로 탐구의 대상이 되어왔으며 21세기 오늘날은 긍정심리학의 발전으로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행복연구에 접근하고 있다. 행복연구는 크게 행복의 객관적 조건들에 따른 객관적 삶의 질과 개인의 주관적 판단에 따른 만족 정도인 주관적 삶의 질로 보는 관점으로 나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lgyle, M. (2003). Causes and correlates of happiness. In K. Daniel, E. Diener, & N. Schwarz (Eds.). Well-being: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353-373). New York:Russell Sage Foundation. 

  2. An, M. E. (2007).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and 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Daily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3. Back, K. S. (2011). The Influences of Parenting Attitudes and the Marital Satisfaction of Parents on Child Abuse. The Korean Family Welfare Association, 16(2), 181-198. 

  4. Campbell, A. (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2, 117-124. 

  5. Chae, Y. M. (2010). Young Children's Emotion Control & Social Ability According to Parenting Attitude. Journal of Young Child Studies, 13, 117-132. 

  6. Choi, I. J. (2005). The Influence of Cultural Uniqueness of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n Adolescent's Mental Health:Parent-Adolescent Affective Bonding(Bu-Ja-Yu-Chin-Sung-Cheong).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7(4), 1059-1076. 

  7. Diener, E. (1994).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1, 103-157. 

  8. Diener, E., & Lucas, F. (1999).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 Kahnemann, E. Diener, & N. Schwarz (Eds.).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213-229). New York:Russell Sage Foundation. 

  9. Fredrickson, B. L. (2002). Positive emotins. In C. R. Syn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120-134). Oxford, England:Oxford University Press. 

  10. Gable, S. L., Reis, H. T., Impett, E. A., & Asher, E. R. (2004). What do you do when things go right? The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benefits of sharing good ev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7, 228-245. 

  11. Gottman, J. M. (1998). Psychology and the study of marital process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9, 169-197. 

  12. Ha, E. H., Oh, K. J., & Kim, E. J. (1999).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Women with Clinical and Subclinical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8(1), 79-93. 

  13. Huh, B. Y., Han, K. J. (2009).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Maternal Depression During Early Childhood. The Academic Society of Parent-Child Health 12(2), 131-146. 

  14. Hwang, J. G. (2009). Factors associ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and Stability of Married Men an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2(2), 131-146. 

  15. Jeon, M. S., Lee., Y. A. (2009). The Effect of Maternal Stress on Maternal Response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The Journal of Play Therapy, 12(4), 97-116. 

  16. Kim, H. S. (2011).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Expressiveness, Marital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yle of Preschool Moth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2), 299-310. 

  17. Kim, J. & Lee, J. H.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Mother's Child Rearing Stress. Korea Journal of Child Studies, 26(5), 245-261. 

  18. Kim, K. H. (2000). An Ecological Approach to Analyzing Variables in the Parenting Stress of the Working Moth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9(1), 71-84. 

  19. Kim, K. H., Doh, H. S., Kim, S. W., Lee, S. H.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Maternal Job Characteristics,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Korea Journal of Child Studies, 31(5), 101-113. 

  20. Kim, L. J., & Yoon, C. H. (2000). An Ecological Study on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8(12), 47-58. 

  21. Kim, M, S., Kim, H. W., Cha, K. H., Lim, J. Y., & Han, Y. S. (2003). Exploration of the structure of happy life and development of the happy life scale among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2), 415-442. 

  22. Kim, M. S., Kim, U. C., & Park, Y. S. (2008). Value of Children among Mothers of Infants:With Specific Focus on Positive and Negative Reasons for Having Children, in Proceedings of the 2008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3. Kim, S. S. (2006). A study on the government female employee's stress from raisi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24. Ki.m, U. H. (2010). Relationship of the Marital Satisfaction Level and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s to the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Preschool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Korea. 

  25. Kim, U. C., & Park, Y. S. (2006).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2(5), 1-28. 

  26. Kuczynski, L. (2003). Beyond Bidirectionality: Bilateral conceptual frameworks for understanding dynamics in parent-child relations. In L. Kuczynski(Eds.), Handbook of dynamics in parent-child relations(3-23). New Delhi, India:Sage. 

  27. Kwon, S. M. (2011). Positive psychology. Seoul: Hakjisa. 

  28. Lee, H. K. (1997). Positiv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Psychological Science, 6(2), 45-60. 

  29. Lee, H. S. (1998).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the Scale of Korean Womens' Psychological Characters 1. Korean Journal of Psychology:Women, 3(1), 103-116. 

  30. Lee, J. E., & Lee, Y. H. (2000). The Relation between Assertiveness, Aggressiveness, Daily Hassles,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3), 531-548. 

  31. Lee, K. H. (2006).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Marital Satisfaction, at different stages of the Family Life Cyc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Daejeon, Korea. 

  32. Lim, S. H., & Park, S. H. (2010). The Relation of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and a Number of Children to Parenting Stress and Toddler's Expressive Vocabulary.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7(1), 251-278. 

  33. Moon, H. J. (2004).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1), 109-122. 

  34. Moon, Y. S. (2004).The E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by Type on Children's Empathy, Perspective-Taking & Prosocial Behavior.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24(1), 115-143. 

  35. Oh, K. Y. (2005). The Effects of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heraplay-Focusing on the correcting problematic behavior and promoting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ju, Korea. 

  36. Park, B. M. & Moon, J. H. (2008).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ress, Communication Strategy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Family Strength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10), 11-22. 

  37. Park, J. A. (2011). Studies on the understanding about mental health, mother-child relationship of mothers with high-risk parenting stress and their preschoolers. The Journal of Play Therapy, 15(1), 43-56. 

  38. Park, J. A., Lee, K. S., Shin, Y. J. (2009). Effects of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on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Women, 14(4), 549-566. 

  39. Park, S. M.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arriage satisfaction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Korea. 

  40. Park, S. O. & Kim, J. H. (1995). Balancing work and family lives of working moth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4), 13-25. 

  41. Park, S. Y., & Rim, M. R. (2002). Working Mother`s Parenting Behavior as Related to Job Characteristics, Day Care Q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2), 57-68. 

  42. Park, Y. S. & Kim, U. C. (2006).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and Korean society: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across different generation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2(5), 1-28. 

  43. Park, Y. S. & Kim, U. C. (2008). Factors influencing family Line-satisfaction among Korean adults:With specific focus on social support from spouse, trust of children and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4(4), 71-101. 

  44. Park, Y. S. & Kim, U. C. (2009). Psychological relational and financial resources: How do they influence happiness among Korean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5(1), 95-132. 

  45. Park, Y. S., Kim, U. C. & Kim, M. S. (2002). The experience of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of students and parents after the economic crisi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8(2), 105-135. 

  46. Park, Y. S., Kim, U. C., & Tak, S. Y (2002). The effect of economic crisis on success attribution among Korean students and adults: An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8(1), 103-139. 

  47. Seligman, M. E. P. (2006). Authentic happiness. (Kim, I. J. Trans.). Gyeonggi:Mulpure (Original work published 2002). 

  48. Shapiro, A. F., Gottman, J. M., & Carrere, S. (2000). The baby and the marriage:Identifying factors that buffer against decline in marital satisfaction after the first baby arriv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4, 59-70. 

  49. Song, M. J., & Han, S. Y. (2011). Effects of mother's neuroticism, parent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stress on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5), 117-127. 

  50. Yang, K. H. (2000). Study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rearing stress of mother of the autistic children and non-autistic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Korea. 

  51. Yoon, M. H. (2006). Study on the Bringup Stress of Preschool Children of Working Mothers and Social Support. 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Korea. 

  52. Woo, N. H., Kim, Y. S., Lee, E. J., Kim, H. S. (2009). Examining Mothers' Perception and Current Status Concerning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Nurturing in the Low Birthrate Era.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6(3), 297-3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