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와 농촌노인의 식행동, 식품섭취 및 식생활만족도 비교 연구
Comparisons of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between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5 no.3, 2012년, pp.252 - 263  

김유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오란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미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regarding the elderly residing in different regions of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on 631 individuals over 55 years old in either urban or rural areas. The survey was carried out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거주지역에 따라 노인들의 삶에서의 음식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지를 조사해 보았다. Table 5에 나타난 것처럼 도시 거주 노인의 만족도는 (17.
  •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광역시, 자치시 등 인구 50만 이상의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55세 이상의 도시 재가노인과 강원, 충청, 전라, 경상도의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31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식생활과 식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 지역에 따른 노인들의 식생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연구는 도시와 농촌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지역적 식생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55세 이상의 도시와 농촌의 노인 65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식품 섭취 빈도 조사방법을 통해 조사연구를 실시하였고, 도시와 농촌의 두 지역 간의 식생활, 식행동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와 농촌 지역에 따른 노인들의 식생활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1) 연구 대상자는 전국 13개 지역의 도시와 농촌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55세 이상의 성인·노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농촌이 도시보다 평균연령이 높았고, 직업은 도시는 무직, 농촌은 농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경제적 수준은 전반적으로 도시가 농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2) 건강에 대한 자각정도는 동년배와 비교했을 때 도시와 농촌 모두 대체적으로 자신이 건강하다고 자각하였다. 3) 도시에서는 우유, 과일, 기름진 음식, 아이스크림, 케익, 스낵, 탄산음료 섭취가 농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농촌에서는 도시 보다 채소를 많이 먹고 규칙적인 식사와 균형있는 식사를 하고 있었다. 4) 외식빈도는 도시에서는 한 달에 2~3번으로 가장 많았으나, 농촌은 외식을 하지 않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대체적으로 가족들과 함께 식사를 하기위해서 외식을 했다. 영양보충제는 도시에서 절반 이상이 섭취하고 있는 것에 반해, 농촌은 대부분이 섭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과 영양에 대한 정보는 도시와 농촌 모두 식생활 지침에 관심이 많았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TV를 통해서 얻고 싶다고 응답했다. 5) 삶에서의 음식에 대한 만족도는 농촌이 도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6) 각 식품군별 섭취빈도는 도시에서 육류, 난류, 생선류, 우유 및 유제품류, 과일류, 패스트푸드의 섭취빈도가 높은 반면, 채소류는 농촌이 섭취빈도가 더 높다는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노인계층의 영양문제 관리에 대한 문제점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노인의 건강한 삶은 무엇보다 노인의 영양상태, 질병, 심리적·경제적 요인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특히, 노인계층의 영양문제는 복합적인 영양부족2)의 문제로 나타나며, 노년기는 영양위험요인이 증가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체계적인 영양관리가 미비하기 때문이다. 여러 선행연구에서 노인의 영양상태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3,4) 이는 치아의 약화, 소화기관 및 신체 기능의 변화요인과 경제적 자립의 부족, 삶의 욕망 상실로 인한 식욕감소 등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다.
노인의 건강한 삶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노인의 건강한 삶은 무엇보다 노인의 영양상태, 질병, 심리적·경제적 요인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특히, 노인계층의 영양문제는 복합적인 영양부족2)의 문제로 나타나며, 노년기는 영양위험요인이 증가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체계적인 영양관리가 미비하기 때문이다. 여러 선행연구에서 노인의 영양상태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3,4) 이는 치아의 약화, 소화기관 및 신체 기능의 변화요인과 경제적 자립의 부족, 삶의 욕망 상실로 인한 식욕감소 등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 and proportion by age groups. Daejeon: Statistics Korea; 2011 

  2. Murphy SP, Davis MA, Neuhaus JM, Lezin D. Factors influencing the dietary adequacy and energy intake of older Americans. J Nutr Educ 1990; 22(6): 284-291 

  3. Kang NE. A nutrition survey of urban elderly in Seoul with the analysis of dietary attitude after retirement. Korean J Nutr 1986; 19(1): 52-65 

  4. Koo J, Park YJ, Kim JQ, Lee YH, Yoon HY, Son SM.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from low-income, urban areas and improving effect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II.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1996; 1(2): 215-227 

  5. Lee HO, Yum CA, Jang MS. A study on the dietary intake and health of aged person I -Based on elderly person in Seoul-. J Korean Soc Food Nutr 1986; 15(4): 72-80 

  6. Jeong MS, Kim HK.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condition of elderly in Ulsan area. Korean J Diet Cult 1998; 13 (3): 159-168 

  7. Kohrs MB, O'Neal R, Preston A, Eklund D, Abrahams O.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residents in Missouri. Am J Clin Nutr 1978; 31(12): 2186-2197 

  8. Son SM, Park YJ, Koo J, Mo S, Yoon HY, Sung CJ.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from low income, urban area and improving effect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I. Antropometric measurements and nutrient intakes-. Korean J Community Nutr 1996; 1(1): 79-88 

  9. Kim KN, Lee JW, Park YS, Hyun TS.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Cheongju - I. Health-related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Korean J Community Nutr 1997; 2(4): 556-567 

  10. Park M, Kim S, Wi S. The consumption patterns of fast food in small cities. Korean J Diet Cult 1999; 14(2): 139-146 

  11. Cho K, Han D. A study on the survey of the dining out behavior of Korean older person. Korean J Food Cult 2005; 20(5): 554-560 

  12. Kang MH.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people. Korean J Nutr 1994; 27(6): 616-635 

  13. Kim MK, Choi BY, Lee SS. A study on the nutrient supplements usage and related factors in Seoul, Korea. Korean J Nutr 1992; 25 (3): 264-274 

  14. Chang N, Kim JM, Kim EJ. Nutritional state and dietary behavior of the free-living elderly women. Korean J Diet Cult 1999; 14 (2): 155-165 

  15. Kwon JH, Yoon HJ, Moon HJ, Lee JM, Son YH, Park SH, Lee HK, Lee SK. Antropometric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omen attending a health promotion program in an urban commun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6): 762-768 

  16. Yoon HJ, Lee HK, Lee SK. The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female in Daeg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1): 50-57 

  17. Lee KH, Park MY. Nutrient intake of the rural elderly living in Kyungnam -focusing on health and aging status, and life-satisfacti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5): 773-788 

  18. Kim HR, Ju MJ, Moon HK, Kim HY. Comparative analysis of dietary intake for introduction of meal service in pavilion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Korean J Food Cult 2007; 22(6): 765- 774 

  19. Lim YS, Cho KJ, Nam HJ, Lee KH, Park H. A comparative study of nutrient intakes and factors to influence on nutrient intake between low-incom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0; 29(2): 257-267 

  20. Kim YH, Ha TY, Lee BH. A comparative analysis of mental status, dietary life and nutritional status among senior citizens with or without leisure activities in urb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6; 35(4): 422-429 

  21. Speake DL, Cowart ME, Pellet K.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 Nurs Health 1989; 12(2): 93-100 

  22. Kim WY, Cho MS, Lee H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2003; 36(1): 83-92 

  23. Lee HS, Yee JA, Yeon AS, Kang KJ. A study on health related and eating related behaviors by self-recognized health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3): 340-353 

  24. Lee MS, Woo MK. A study of health-related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the health status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living in the Chonju area (II).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 (6): 749-761 

  25. Statistics Korea. Elderly statistics. Daejeon: Statistics Korea; 2011 

  26. South Korea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living conditions survey. Korea Institute for Elderly; 1993 

  27. Sohn SY.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its' affecting factor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J Korean Gerontol Soc 2006; 26(3): 601-615 

  28. Ferraro KF, Farmer MM. Utility of health data from social surveys: Is there a gold standard for measuring morbidity? Am Sociol Rev 1999; 64(2): 303-315 

  29. Kwak HK, Lee MY, Kim MJ. Comparisons of body image perception, health 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ased on the self-rated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6): 672-682 

  30. Kim DB, Yoo BS, Min JS.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ealth inequalities among Korean elderly. Korean J Soc Welf Stud 2011; 42(3): 267-290 

  31. Phillips RL. Role of life-style and dietary habits in risk of cancer among seventh-day adventists. Cancer Res 1975; 35(11 Pt 2): 3513- 3522 

  32. Moon HK, Choi SO, Kim JE. Dishe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of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1): 123-136 

  33. Park MY, Kim GR, Lee DJ, Kim JM, Park PS. A survey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the eged people in rural area, Gyeongbuk Yecheon. Korean J Nutr 2006; 39(1): 58-73 

  34. Kwak EH, Lee SL, Yoon JS, Lee HS, Kwon CS, Kwun IS. Macronutrient, mineral and vitamin intakes in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of North Kyungpook province in South Korea. Korean J Nutr 2003; 36(10): 1052-1060 

  35. Moon HK. Changing patterns of fat intake Koreans. Korean J Lipidol 1995; 5(1): 113-126 

  36. Kwak TK, Rew ES, Nam SR, Lee HS, Kim SH, Moon HK, Joo SY. Nutritional concerns for fast foods by consumer and fast foods franchisors, and evaluation of nutrient adequacy. Korean J Soc Food Sci 1991; 7(3): 37-46 

  3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Seoul; 2000 

  38. Yim KS. Elderly nutrition improvement program in the community health center : nutritional evaluation of the elderly using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and food group intake pattern. J Korean Diet Assoc 1997; 3(2): 182-196 

  39. Park CE, Joo MJ, Lee HJ, Kim HY. Menu development and evaluation using food intake status of the elerly in busy farming season of Damyang Jeonnam. Korean J Food Cult 2008; 23(1): 41-47 

  40. Choi YC. A study on consumer recognition for health supplementary foods [M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7 

  41. Kim IG. Study on the product transition and quality control of health foods [M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0 

  42. Heo KO, Lee EH, Kim SW, Kim KJ, Cha KO. Consumer's trend and market. Seoul: Kyomunsa; 2006. p.79-89 

  43. Kim SH. A survey on the use of and significant variable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among Korean elderly. Korean J Food Cult 2011; 26(1): 30-38 

  44. Koo NS, Park JY. Consumption pattern of health food by adults in Taej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0; 5(3): 452-460 

  45. Rhee HS, Lee HS, Yee JA, Kang KJ. A study on the intake patterns of health food of the elderly aged over 60 years in the Chunch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4): 635-644 

  46. Brombach C. The EVA-study: nutrition behaviour in the life course of elderly women. J Nutr Health Aging 2001; 5(4): 261- 262 

  47. Satia JA, Kristal AR, Curry S, Trudeau E. Motivations for healthful dietary change. Public Health Nutr 2001; 4(5): 953-959 

  48. Udry JR. The media and family planning. Ballinger Publishing Company; 19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