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일부 재가 노인의 식욕부진 실태와 관련 인자 분석
Appetite and Related Factors among Community Elder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9, 2014년, pp.1431 - 1438  

박수진 (세명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노인의 삶의 질과 영양개선 및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된 단면연구로서 재가 노인의 식욕부진 유병 상태를 조사하고, 식욕부진과 관련된 사회 인구학적 특성, 병리적 특성과 심리 특성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 등을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 경기, 충북 지역의 65세 이상 재가 노인 419명을 대상으로 2012년 9월에서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대일 면접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노인의 식욕부진 유병률은 전체 응답자 가운데 35.1%였고, 특히 남성노인의 식욕부진 유병률이 여성노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남성노인의 식욕부진은 중추신경계 질환을 진단받은 경우가 가장 많았고 여성노인의 경우 식욕부진은 내분비 질환이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또한 우울증 증상이 있거나 일상생활에서 의존도가 높은 경우 식욕부진이 현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국내 재가 노인들의 식욕부진이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고, 노인의 식욕부진은 생리적 특성과 병리적 특성은 물론 우울과 같은 심리적 특성과도 깊은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노인의 식욕부진 개선이나 예방을 위하여 구체적인 영양중재와 영양치료가 필요하며,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노인의 식욕증진을 고려한 노인식품 개발이 시급히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본 조사는 단면연구이므로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식욕 수준에 관련된 인자들이 노인의 식욕부진 원인으로 작용했는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추후 보다 대표성을 갖는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식욕부진 유병률의 조사는 물론 식욕부진과 관련된 원인 규명을 위하여 횡단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노인을 일대일 대면하여 자가보고 하는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므로 문항에 따라서는 노인에 따라 사실보다 과장하거나 축소하는 등 응답 수준이 주관적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식욕부진과 관련된 인자들은 선행 연구와 유사하며 따라서 자가보고에 의한 사회적 기대 효과는 다소 적었다고 판단된다. 향후 재가노인의 범위를 성별, 연령별, 지역별, 거주형태별 등으로 일치시키고 확대하여 노인의 식욕부진 실태와 관련 인자 연구의 확대를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ssessed the risk and prevalence of anorexia as well as associated factors among home-dwelling elderly adults. The subjects were 419 elderly men (116) and women (303) aged 65 years and older ($76{\pm}5.6yr$) living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personal interviews using qu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노인의 삶의 질과 영양개선 및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된 단면연구로서 재가 노인의 식욕부진 유병 상태를 조사하고, 식욕부진과 관련된 사회・인구학적 특성, 병리적 특성과 심리 특성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 등을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 경기, 충북 지역의 65세 이상 재가 노인 419명을 대상으로 2012년 9월에서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대일 면접방법으로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자택에서 거주하고 있는 비교적 거동이 자유로운 노인들을 대상으로 식욕부진 유병 상태와 관련 인자를 조사하여 미래 고령친화형 식품개발이나 고령자 영양 관리 및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한 요소는?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노인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는 적절한 영양섭취가 매우 중요하지만 일반적으로 노인들은 이유 없이 입맛이 없다거나 먹고자 하는 의욕 즉 식욕이 떨어지고 그 결과 음식의 섭취량이 줄고 열량과 영양결핍이 초래된다(1). 젊은이와 달리 노인의 식욕부진은 영양불량 및 체중 감소와 더불어 인지기능의 저하나 우울증과 관련이 있고, 더 나아가 악액질(cachexia)이나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요소가 된다(2).
조기에 식욕부진 여부를 평가하여 노인의 체중 감소를 예측하고 중재 대상자를 선발하여 관리하는 것이 노인의 건강증진에 매우 효과적인 이유는? 악액질은 기저질환과 관련된 복잡한 대사성 증후군이며 지방량의 소실은 없으나 근육이 소실되어 체중 감소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경우이다(8). 특히 노인은 체중이 심각하게 감소된 이후에는 원래의 체중으로 회복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조기에 식욕부진 여부를 평가하여 노인의 체중 감소를 예측하고 중재 대상자를 선발하여 관리하는 것이 노인의 건강증진에 매우 효과적이다(10-12). 최근 식욕 부진을 치료하기 위하여 다양한 식욕촉진제나 동화제와 같은 약물치료 방법이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은 그 효용성의 검증이 필요하다(4).
추후 보다 대표성을 갖는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식욕부진 유병률의 조사는 물론 식욕부진과 관련된 원인 규명을 위하여 횡단연구가 필요하다고 본 이유는? 이상의 결과로부터 국내 재가 노인들의 식욕부진이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고, 노인의 식욕부진은 생리적 특성과 병리적 특성은 물론 우울과 같은 심리적 특성과도 깊은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노인의 식욕부진 개선이나 예방을 위하여 구체적인 영양중재와 영양치료가 필요하며,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노인의 식욕증진을 고려한 노인식품 개발이 시급히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본 조사는 단면연구이므로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식욕 수준에 관련된 인자들이 노인의 식욕부진 원인으로 작용했는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추후 보다 대표성을 갖는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식욕부진 유병률의 조사는 물론 식욕부진과 관련된 원인 규명을 위하여 횡단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e Boer A, Ter Horst GJ, Lorist MM. 2013. Physiological and psychosocial age-related changes associated with reduced food intake in older persons. Ageing Res Rev 12:316-328. 

  2. Cornali C, Franzoni S, Stofler PM, Trabucchi M. 2005. Anorexia 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mortality. J Am Geriatr Soc 53: 354-355. 

  3. Park KC, Kim MJ. 2010. Treatment of anorexia of aging. Korean J Clin Geriatr 11: 45-53. 

  4. Kim JK. 2012. Anorexia and weight loss. Abstract No. 82 presented at the 78th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Daegu, Korea. 

  5. Donini LM, Dominguez LJ, Barbagallo M, Savina C, Castellaneta E, Cucinotta D, Fiorito A, Inelmen EM, Sergi G, Enzi G, Cannella C. 2011. Senile anorexia in different geriatric setting in Italy. J Nutr Health Aging 15: 775-781. 

  6. Landi F, Liperoti R, Lattanzio F, Russo A, Tosato M, Barillaro C, Bernabei R, Onder G. 2012. Effects of anorexia on mortality among older adults receiving home care: an observation study. J Nutr Health Aging 16: 79-83. 

  7. Lee S, Kim Y, Seo S, Cho MS. 2014.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food intakes in adults aged 50 or older according to depression status. J Nutr Health 47: 67-76. 

  8. Malafarina V, Francisco UO, Gil-Guerrero L, Iniesta R. 2013. The anorexia of ageing: physiopathology, prevalence, associated comorbidity and mortality. A systematic review. Maturitas 74: 293-302. 

  9. Okamoto K, Harasawa Y, Shiraishi T, Sakuma K, Momose Y. 2007. Much communication with family and appetite among elderly persons in Japan. Arch Gerontol Geriatr 45:319-326. 

  10. Landi F, Laviano A, Cruz-Jentoft AJ. 2010. The anorexia of aging: is it a geriatric syndrome? J Am Med Dir Assoc 11: 153-156. 

  11. Thomas DR. 2009. Anorexia: aetiology, epidemiology and management in older people. Drugs Aging 26: 557-570. 

  12. Morley JE. 2013. Pathophysiology of the anorexia of aging. Curr Opin Clin Nutr Met Care 16: 27-32. 

  13. Jung KY, Hsia YC, Baik JW, Choi YK, Kim DW, Park JH. 2008. Case of an old-age patient with ill-defined severe anorexia.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2:256-261. 

  14. Kim CS, Bae SM, Shin BM. 2011.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by oral health level-based on 200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J Korean Acad Dental Hyg Edu 11: 833-841. 

  15. Kim EM, Choi MK. 2013. An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the elderly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818-827. 

  16. Park JE, An HJ, Jung SU, Lee Y, Kim C, Jang YA. 2013. Characteristics of the dietary intake of Korean elderly by chewing ability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0. J Nutr Health 46: 285-295. 

  17. Cho MJ, Bae JN, Suh GH, Hahm BJ, Kim JK, Lee DW, Kang MH. 1999.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 in the assessment of DSM-Ⅲ-R major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8: 48-63. 

  18. Won CW, Rho YG, Kim SY, Cho BR, Lee YS. 2002.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scale. J Korean Geriatr Soc 6: 98-106. 

  19. Lee MS, Oh SI, Kwak CS. 2011. Association between risk factors for health and taste perception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16: 145-154. 

  20.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71_2011N036&conn_pathI2 (accessed Aug 2014). 

  21. Lipschitz DA. 1991. Malnutrition in the elderly. Sem Dermatol 10: 273-281. 

  22. van Staveren WA, de Groot LC, Burema J, de Graaf C. 1996. Energy balance and health in SENECA participants. Survey in Europe on Nutrition and the Elderly, a Concerted Action. Proc Nutr Soc 54: 617-629. 

  23. Donini LM, Poggiogalle E, Piredda M, Pinto A, Barbagallo M, Cucinotta D, Sergi G. 2013. Anorexia and eating patterns in the elderly. PLoS One 8: e63539. 

  24. Arvanitakis M, Vandewoude M, Perkisas S, Gossum AV. 2013. Undernutrition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e- SPEN J 8: e213-e215. 

  25. Gerritsen AE, Allen PF, Witter DJ, Bronkhorst EM, Creugers NH. 2010. Tooth los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ealth Qual Life Outcomes 8: 126. 

  26. Takata Y, Ansai T, Soh I, Akifusa S, Sonoki K, Fujisawa K, Yoshida A, Kagiyama S, Hamasaki T, Nakamichi I, Awano S, Torisu T, Takehara T. 2008. Relationship between chewing ability and high-level functional capacity in an 80-year-old population in Japan. Gerodontology 25: 147-154. 

  27. Inukai M, John MT, Igarashi Y, Baba K. 2010.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chewing ability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rtially dentate patients. Health Qual Life Outcomes 8: 118. 

  28. Kwoun JH, Lee SK, Lee HK, Kim GJ.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chewing ability and nutritional intake status in the elderly of rural community. Korean J Community Nutr 3: 583-593. 

  29. Morley JE. 2012. Anorexia of aging: a true geriatric syndrome. J Nutr Health Aging 16: 422-425. 

  30. Kang Y, Kim M, Lee E. 2008.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trition status in the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J Korean Acad Nurs 38: 122-13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