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구형태에 따른 노인의 식품섭취 빈도 비교 - 2008년 경기북부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A comparison of food frequency for the elderly regarding different family types - Based on Community Health Survey for 2008 -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5 no.3, 2012년, pp.264 - 273  

신송경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현자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최보율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상선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food frequency for the elderly regarding different family types and finds the factors for nutritional risk, offers a basic reference for providing nutritional support for them. The study referred to the dietary behavioral survey data of 3,680 elderly people (1652 male and 20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관계망의 중심을 가족으로 두고 가구형태에 따른 식품섭취빈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단독가구가 증가하고, 자녀들의 부양의식이 기혼자녀와 미혼자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혼자 사는 독거가구, 배우자와 함께 사는 부부가구, 미혼자녀와 함께 사는 가구, 기혼자녀와 함께 사는 가구로 분류하여 식생활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 노인의 영양 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인구학적 요인, 사회 경제적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 신체적 건강 요인, 정서적 요인, 건강행동 요인이 있다. 사회적 지지 요인으로 노인의 삶에서 가족관계 및 세대간 유형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가구형태는 노인의 건강상태 및 영양 실태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지표이므로21,29) 본 연구에서는 가구형태에 따른 노인의 식품섭취빈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관계망의 중심을 가족으로 두고 가구형태에 따른 식품섭취빈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단독가구가 증가하고, 자녀들의 부양의식이 기혼자녀와 미혼자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혼자 사는 독거가구, 배우자와 함께 사는 부부가구, 미혼자녀와 함께 사는 가구, 기혼자녀와 함께 사는 가구로 분류하여 식생활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강한 삶을 제공하기 위한 식품 공급 프로그램과 맞춤형 영양관리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노인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는 정책에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8년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조사대상자는 몇 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가? 본 연구는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하는 「2008년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경기북부지역인 가평군, 구리시, 하남시, 남양주시, 양평군, 여주시, 이천시, 파주시, 과천시, 연천군, 양주시, 의정부시, 동두천시, 포천시, 김포시, 고양시 덕양구, 고양시 일산동구, 고양시 일산서구, 부천시 소사구, 부천시 오정구, 부천시 원미구의 21개 지역에서 만 60세 이상 노인 4,818명을 1차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1차 대상자에서 가구형태의 응답에 대한 결측치 908명과 식품섭취빈도의 응답에 대한 결측치 230명을 제외한 최종 3,680명 (남자 1,652명, 여자 2,028명)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노인의 영양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인구학적 요인을 본 연구는 무엇으로 설정했는가? 노인의 영양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인구학적 요인 (연령, 지역), 사회 경제적 요인 (교육수준), 신체적 건강 요인 (주관적 건강, IADL, 만성질환, 저작불편), 정서적 요인 (스트레스, 우울), 건강행동 요인 (흡연, 음주, 운동)을 선정하여 남녀의 가구형태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외짝노인이 부부 노인보다 아침 식사의 결식이 높고, 반찬 수도 적어 다양한 식품섭취가 어렵고, 식습관 점수가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32) Rhie 등18)은 외짝노인은 부부노인에 비해 아침식사의 결식이 높고, 반찬수도 적어 다양한 식품섭취가 어렵고, 식습관 점수도 낮았는데, 특히 김치와 같은 전통음식은 직접 담가 먹는 경우가 적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배우자나 기타 가족과 동거하는 노인은 식사준비가 수월하며 다양한 식품을 섭취할 수 있는 반면, 독거노인은 혼자 식사를 준비하는 경우가 많고, 식사 시에도 함께 하는 가족이 없어 식욕부진이 생긴다.16,19,22) 사회적 지지는 식사를 준비하고, 식사를 같이 하고, 식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질과 양을 결정하는 요인이기 때문에,15) 독거가구의 경우 1차적인 관계망인 가족의 지원을 받기 어려워33) 영양위험이 높다고 추측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Statistics Korea. Social indicators in Korea. Daejeon; 2011 

  2. Statistics Korea. Household projections for Korea: 2005-2030. Daejeon; 2007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survey on the elderly in Korea. Seoul; 2008 

  4. Posner BM, Jette AM, Smith KW, Miller DR. Nutrition and health risks in the elderly: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Am J Public Health 1993; 83(7): 972-978 

  5. Choi Y, Park Y, Kim C, Chang Y. Evaluation of functional ability and nutritional risk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SRH) of the elderly in Seoul and Kyunggi-do. Korean J Nutr 2004; 37(3): 223- 235 

  6. Keller HH. Nutri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rail older adults. J Nutr Health Aging 2004; 8(4): 245-252 

  7. Yim KS. Health-related behavioral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tional risks in Korean aged 50 years and over.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5): 592-605 

  8. Kim C, Park YS. Comparing health-related behaviors, food behaviors, and the nutrient adequacy ratio of rural elderly by single- elderly families vs. extended families. Korean J Community Nutr 2000; 5(Suppl): 307-315 

  9. Won HR, Rhie SG, Choi MY. The elderly health and dietary management in Gyeonggi province -comparison with gender differenc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06; 17(1): 123-139 

  10. Lee KH, Park MY. Nutrient intake of the rural elderly living in Kyungnam -focusing on health and aging status, and life-satisfacti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5): 773-788 

  11. Kang Y, Kim M, Lee E.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trition status in the community- dwelling Korean elderly. J Korean Acad Nurs 2008; 38(1): 122- 130 

  12. Kang HK, Kim SH. Effect of living conditions on food intakes of the aged. Korean J Nutr 2002; 35(3): 332-351 

  13. Yim KS, Lee TY.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ents intake of elderly in Korea. Korean J Nutr 2004; 37(3): 210- 222 

  14. Choi HJ, Kim GE, Cheong HS, Jung SJ, Kim SH. The effects of relating factors on the nutrient intake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Gyeongnam Namhae area. J Korean Diet Assoc 2005; 11(1): 21-27 

  15. Brownie S. Why are elderly individuals at risk of nutritional deficiency? Int J Nurs Pract 2006; 12(2): 110-118 

  16. Uh SB, Na BJ, Lee MS, Kim KY, Kim EY, Hong JY, Kang MY. A study on risk factors of nutrition in a rural aged people. Konyang Med J 2005; 5(2): 126-134 

  17. Lee KW, Lee YM, Kim JH.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low-income, alone-living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2000; 5(1): 3-12 

  18. Rhie SG, Chung KJ, Won HR. The odd pair family's dietary management in rural, Korea -comparison with the pair family-.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05; 16(1): 89-103 

  19. Lim YJ, Choi YS. Dietary behaviors and seasonal diversity of food intake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family in Gyeongbuk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5): 620-629 

  20. Locher JL, Robinson CO, Roth DL, Ritchie CS, Burgio KL. The effect of the presence of others on caloric intake in homebound older adult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5; 60(11): 1475- 1478 

  21. Watson S, Zhang ZK, Wilkinson TJ. Nutrition risk screening in community-living older people attending medical or falls prevention services. Nutr Diet 2010; 67(2): 84-89 

  22. Kim MW, Han HK, Choi SS, Lee SD. A study on dietary pattern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by food habit index in Ganghwa-gu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6): 892-904 

  23. Yuh YK. Consumption patterns of the elderly couple and elderly single. J Korean Home Manage Assoc 2003; 21(5): 1-12 

  24. Kim EM, Song YJ, Kim HS. Evaluation of eating habit and dietary intake by family type of seniors utilizing social welfare center in Seoul. Korean J Nutr 2007; 40(8): 753-761 

  25. Yoon SD, Han GH. Urban married women's perceived benefits and costs of the coresidence with parents. J Korea Gerontol Soc 1994; 14(2): 105-120 

  26. Kwon MA, Kim TH. A study of the effects on premarital adult children aged thirties psychological depression by parents-children differentiation and expressed emotion. J Korean Home Manage Assoc 2004; 22(5): 197-210 

  27. Stoller EP. Parental caregiving by adult children. J Marriage Fam 1983; 45(4): 851-858 

  28. Kim HK, Do MH, Son HS, Park CS, Moon HS. Social work with families, 2nd revision. Goyang: Community; 2006 

  29. Kharicha K, Iliffe S, Harari D, Swift C, Gillmann G, Stuck AE. Health risk appraisal in older people 1: are older people living alone an "at-risk" group? Br J Gen Pract 2007; 57(537): 271-276 

  30. Porter EJ. Problems with preparing food reported by frail older women living alone at home. ANS Adv Nurs Sci 2007; 30(2): 159- 174 

  31. Yap KB, Niti M, Ng TP. Nutrition screening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Singapore. Singapore Med J 2007; 48 (10): 911-916 

  32. Lee JH, Kim MS, Lee YS, Park YJ.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dietary intake of rural elderly women in Kyeonggi province. Korean J Rural Living Sci 1994; 5(2): 133-144 

  33. Im SY. The association of social network and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in Korea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7 

  34. Kim J, Lee Y, Back JH. The association between frequency of food group consumption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older people. J Korean Geriatr Soc 2010; 14(1): 25-35 

  35. Jensen GL, Kita K, Fish J, Heydt D, Frey C. Nutrition risk screening characteristics of rural older persons: relation to functional limitations and health care charges. Am J Clin Nutr 1997; 66(4): 819-828 

  36. Thompson JL, Bentley G, Davis M, Coulson J, Stathi A, Fox KR. Food shopping habit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indicators among adults aged >/70 years. Public Health Nutr 2011; 14(9): 1640-1649 

  37. Kim IS, Yu HH, Kim YS. A study on nutrient intake, food behavior and health conditions according to food intake diversity in the elderly in a local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2): 205- 217 

  38. Ann KS.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support of married couples and single households elderly. J Korea Gerontol Soc 2005; 25(1): 1-19 

  39. Rurik I. Nutritional differences between elderly men and women. Primary care evaluation in Hungary. Ann Nutr Metab 2006; 50 (1): 45-50 

  40. Barberger-Gateau P, Jutand MA, Letenneur L, Larrieu S, Tavernier B, Berr C; 3C Study Group. Correlates of regular fish consumption in French elderly community dwellers: data from the Three-City study. Eur J Clin Nutr 2005; 59(7): 817-825 

  41. Watt HC, Carson C, Lawlor DA, Patel R, Ebrahim S. Influence of life course socioeconomic position on older women's health behaviors: findings from the British Women's Heart and Health Study. Am J Public Health 2009; 99(2): 320-327 

  42. Park YS, Kim S, Park KS, Lee JW, Kim KN. Nutrient intake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999; 4(1): 37-45 

  43. Haveman-Nies A, de Groot LP, van Staveren WA. Snack patterns of older Europeans. J Am Diet Assoc 1998; 98(11): 1297-1302 

  44. Ribeiro RS, Rosa MI, Bozzetti MC. Malnutrition and associated variables in an elderly population of Criciuma, SC. Rev Assoc Med Bras 2011; 57(1): 56-61 

  45. Yim KS. Nutrient intake assessment of Korean elderly living in Inje area, according to food group intake frequency. Korean J Food Cult 2008; 23(6): 779-792 

  46. Chung MS, Kang KJ. A survey on the health, food perceptions, and food habits of urban elderly men -with special reference to elderly men in the Tap-gol Park-. Korean J Diet Cult 1996; 11(4): 455-463 

  47. Han KH, Park DY, Kim KN. Drug consumption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Chung-buk area: II. Nutritional status of urban and rural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1998; 3(2): 228-244 

  48. Son SM, Park JK. The changes of dish consumption frequencies, dietary attitudes and health-nutrition risk for single living female elderly on food-aid program. J Korean Diet Assoc 2005; 11(3): 286- 2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