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동의보감(東醫寶鑑) 허노문(虛勞門) 처방(處方)의 방제(方劑) 분석(分析)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Analysis all Prescriptions of Consumptive part in DonguiBogam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20 no.1, 2012년, pp.101 - 121  

이주희 (만보당한의원) ,  윤현자 (원광부부한의원) ,  윤용갑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As the understand about historical consumptive part through studying prescriptions in DonguiBogam, we would like to study some modern geriatric and chronic diseases. Methods : We analyzed application frequency of basic prescriptions, symptoms of prescriptions and the pathology analysis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著者는 『東醫寶鑑』의 虛勞門에 기록된 處方을 方劑學的으로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에 착수하게 되었다. 『東醫寶鑑』 虛勞門 은 陰虛用藥 17개 處方, 陽虛用藥 9개 處 方, 陰陽俱虛用藥 16개 處方, 心虛用藥 3개 處方, 肝虛用藥 4개 處方, 脾虛用藥 4개 處方, 肺虛用藥 1개 處方, 腎虛用藥은 腎虛, 命門虛, 腎命門俱虛 합해서 모두 20개 處方, 虛勞通治 19개 處方, 虛勞 調理 6개 處方 그리고 葛可久治虛勞十藥 10개 處 方까지 해서 모두 108개의 處方을 그 病因에 따라 11개의 구분으로 分類하여 비교적 상세하게 分類하고 있으나, 이 處方들을 方劑學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 이에 본 著者는 『東醫寶鑑』 虛勞門에 나타난 108개 處方에 대하여 基本方 중심의 方劑 構成을분석하고, 虛勞의 病症과 病因 病理 등을 調査하여 方劑學的 근거를 확실히 할 수 있는 몇가지 知見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虛勞의 원인으로는 무엇을 들 수 있는가? 虛勞의 원인으로는 대체로 酒色過度, 內傷七情, 飮食不節, 勞倦內傷 그리고 嗜慾不節 등6) 을 들 수 있으며, 虛勞의 증상으로는 “飮食減少 精神昏短 遺精 夢泄 腰背胸脇筋骨引痛 潮熱 自汗 痰盛 咳 嗽” 등을 常症7) 으로, “骨蒸 潮熱 腰背拘急 百節痠 疼 夜多盜汗 心常驚惕 咽燥 脣焦 嗜臥少力 肌膚瘦 悴 咳嗽 多痰 咯唾血絲 寒熱往來 頰赤 神昏 專不 進食服” 등의 증상을 치료하기 어려운 危證8)으로 들고 있는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四肢關節 疼 痛 등의 筋骨格系의 慢性 痛症, 心火, 消化不良 혹은 營養失調, 慢性疲勞 그리고 肺結核 등의 만성 소모성 질환을 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복잡한 증상을 가지고 있는 虛勞는 하나의 病症이라기보다는 諸般虛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건강하지 않은 상태를 넓게 부르는 말이라고 여기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虛勞은 무엇인가? 虛勞란 虛損勞傷을 줄여서 말하는 것으로, 달리 勞損, 勞怯, 虛損 그리고 虛怯이라고도 한다1). 臟 腑虧虛하고 元氣나 精血이 부족하여 나타나며 여러 慢性疾病의 病理 과정 중에 나타나는 諸般症狀 을 總稱하는 것2) 인데, 先天的인 不足이나 後天的 인 失調, 久病으로 인한 失養, 正氣의 損傷 그리고 久虛로 인한 각종 虛弱 症狀 등을 포괄하여 虛勞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虛勞는 점진적으로 쌓여서 악화되는 것으로, 病久體弱한 것을 虛 라고 하고 虛가 오래 지속되면서 회복 되지 않은것을 損라고 하며, 損이 오래된 것을 勞라고 구분 하여 설명하기도 한다.
노인들이 시달리는 대부분의 疾患들이 虛勞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 개연성을 주는 근거는? 虛勞의 症狀이나 病證 중에는 營養失調나 肺結 核과 같이 현대에는 科學과 醫學의 발달로 어느정도 극복이 된 질환도 있으나, 人口의 高齡化와 抗生劑 過用 등으로 인한 疾病의 慢性化, 高密한 人口와 과도한 경쟁에서 유발되는 극심한 스트레스, 비아그라 등 약물까지 사용하는 부절제한 性 生活 그리고 인스턴트 음식의 난립과 暴食과 飢餓를 오고가는 無節制한 食餌習慣 등으로 많은 사람 들이 虛勞의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高齡化는 유난히 심각한데, 201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1.3%가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그들 중 많은사람들이 高齡으로 인한 대사성 질환이나 만성 소모성 질환에 시달린다는 것은 전국 요양병원 병상 수가 2011년 1/4분기 기준으로 117,000여개에 이른다는 것만 보아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노인들이 시달리는 대부분의 疾患들이 虛勞에 속한다고 볼 개연성이 있으므로 미래의 韓醫學的 발전을 위해 虛勞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 다고 생각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한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增訂韓醫學大辭典. 서울:정담. 1998:1716. 

  2. 董黎明外. 實用中醫內科學.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6:498-510. 

  3. 김현재 외. 漢醫學辭典. 서울:成輔社. 1983:461. 

  4. 李慶雨. 編註譯解黃帝內經素問2. 서울:麗江出版社. 1995:195. 

  5. 李慶雨. 編註譯解黃帝內經素問5, 서울:麗江出版社. 1995:156-60. 

  6. 吳克潛. 病源辭典. 東京:東方書店. 1936:739. 

  7. 李?. 新校編註醫學入門下. 서울:대성문화사. 1994:168, 435, 544-547, 549-551, 553, 560, 569, 653, 687-688. 

  8. 許浚. 對譯東醫寶鑑. 서울:법인문화사. 1999: 1167-1199. 

  9. 扁鵲. 難經. 서울:정신출판사. 1985:75-77. 

  10. 尹用甲. 東醫方劑와 處方解說. 서울:의성당. 1998 :33, 62. 

  11. 尹用甲. 新東醫方劑2223. 서울:정담. 2006:5, 41, 59, 120, 188, 231, 237, 248, 287, 295, 342, 406, 413, 421, 431, 463, 479, 487, 491, 736, 750, 752, 764, 769, 916, 925, 934, 955, 958, 970, 1077, 1104, 1120, 1143, 1230, 1233, 1265, 1277, 1342, 1395, 1416, 1495, 1529, 1566, 1578, 1592, 1602, 1607, 1612, 1694, 1730, 1737, 1747, 1758, 1806, 1905, 1910, 1954, 2006, 2021, 2049, 2058, 2132, 2183-2184, 2204, 2265, 2348, 2352, 2428, 2430. 

  12. 韓醫科大學方劑學敎授共編. 方劑學. 서울:영림사. 1999:40. 

  13. 이범구, 박찬두. 方劑學. 서울:대성의학사. 2000:39. 

  14. 申佶求. 申氏本草學(總論). 서울:壽文社. 1982:82-84. 

  15. 박찬국. 病因病耭學. 서울:傳統醫學硏究所. 1978. 

  16. 전국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한방병리학. 서울: 一中社. 2001. 

  17. 南京中醫學院. 中醫方劑大辭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93. 

  18. 樓英. 醫學綱目. 서울:법인문화사. 2010:127, 563. 

  19. 陳師文. 太平惠民和劑局方. 台北:旋風出版社. 미상: 139-140, 146, 150, 152-153. 

  20. 董宿. 奇效良方. 北京:中國中醫學出版社. 1995:164. 

  21. 方廣. (新編)丹溪心法附餘. 서울:大星文化社. 1993 :681, 690, 692, 694, 697-700, 708, 710. 

  22. 危亦林. 世醫得效方.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64:368-369, 371, 375-376, 378-380, 384-385, 387, 398-399. 

  23. 陳無擇. 三因極一病證方論. 서울:一中社. 1992:183. 

  24. ?信. 古今醫鑑. 南昌:江西科學技術出版社1990 :171, 180. 

  25. 李?. 編註醫學入門. 서울:法人文化社. 2006:695. 

  26. 虞?. 醫學正傳. 서울:成輔社. 1986:156, 157, 159. 

  27. 맹웅재. 傷寒論槪說. 益山:圓光大學校. 1996:111. 

  28. 楊士瀛. 新刊仁齊直指方論. 서울:慶熙大學校. 미상:123. 

  29. 王好古. 醫壘元戎. 서울:醫聖堂. 1999:522. 

  30. ?廷賢. (國譯)萬病回春上. 서울:癸丑文化社. 1977:371, 388. 

  31. 천상묵, 한성규, 여성원, 이윤천, 소영섭, 노승조, 정헌영. 金?要略血痺虛勞病脈證幷治第六에 대한 연구. 東醫生理病理學會誌. 2006;20(2) :333-344. 

  32. 최창원, 이강녕, 이영수, 김희철, 곽정진. 歷代 醫家들의 虛勞에 관한 文獻的考察-肝勞를 中心으로-.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2002;10(1) :1-11. 

  33. 윤정미, 이경섭, 송병기. 産後虛勞에 關한 文獻的考察.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1994;7(1):168-181. 

  34. 한효정, 강래엽, 김현진, 박은영, 장정아. 서호석. 김진원. 虛勞로 변증한 만성신부전 환자의 十全大補湯투여 호전례.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2009;17(2):195-201. 

  35. 윤호석. 虛勞중 心勞의 原因과 症狀의 文獻的 考察. 大韓漢方內科學會誌. 1991;12(1):68-76. 

  36. 박광은, 이주희, 정승기, 이형구. 虛勞門에 나타난 肺疾患에 對한 文獻的考察. 大韓韓醫學會誌. 1993;14(2):418-424. 

  37. 이상현. 方藥合編上通處方에 대한 方劑學的考察.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2009;17(1):1-16. 

  38. 유승훈. 方藥合編處方의 病理및 方劑分析에 대한 考察.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2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