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20 no.1, 2012년, pp.101 - 121
이주희 (만보당한의원) , 윤현자 (원광부부한의원) , 윤용갑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Objectives : As the understand about historical consumptive part through studying prescriptions in DonguiBogam, we would like to study some modern geriatric and chronic diseases. Methods : We analyzed application frequency of basic prescriptions, symptoms of prescriptions and the pathology analysis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虛勞의 원인으로는 무엇을 들 수 있는가? | 虛勞의 원인으로는 대체로 酒色過度, 內傷七情, 飮食不節, 勞倦內傷 그리고 嗜慾不節 등6) 을 들 수 있으며, 虛勞의 증상으로는 “飮食減少 精神昏短 遺精 夢泄 腰背胸脇筋骨引痛 潮熱 自汗 痰盛 咳 嗽” 등을 常症7) 으로, “骨蒸 潮熱 腰背拘急 百節痠 疼 夜多盜汗 心常驚惕 咽燥 脣焦 嗜臥少力 肌膚瘦 悴 咳嗽 多痰 咯唾血絲 寒熱往來 頰赤 神昏 專不 進食服” 등의 증상을 치료하기 어려운 危證8)으로 들고 있는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四肢關節 疼 痛 등의 筋骨格系의 慢性 痛症, 心火, 消化不良 혹은 營養失調, 慢性疲勞 그리고 肺結核 등의 만성 소모성 질환을 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복잡한 증상을 가지고 있는 虛勞는 하나의 病症이라기보다는 諸般虛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건강하지 않은 상태를 넓게 부르는 말이라고 여기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 |
虛勞은 무엇인가? | 虛勞란 虛損勞傷을 줄여서 말하는 것으로, 달리 勞損, 勞怯, 虛損 그리고 虛怯이라고도 한다1). 臟 腑虧虛하고 元氣나 精血이 부족하여 나타나며 여러 慢性疾病의 病理 과정 중에 나타나는 諸般症狀 을 總稱하는 것2) 인데, 先天的인 不足이나 後天的 인 失調, 久病으로 인한 失養, 正氣의 損傷 그리고 久虛로 인한 각종 虛弱 症狀 등을 포괄하여 虛勞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虛勞는 점진적으로 쌓여서 악화되는 것으로, 病久體弱한 것을 虛 라고 하고 虛가 오래 지속되면서 회복 되지 않은것을 損라고 하며, 損이 오래된 것을 勞라고 구분 하여 설명하기도 한다. | |
노인들이 시달리는 대부분의 疾患들이 虛勞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 개연성을 주는 근거는? | 虛勞의 症狀이나 病證 중에는 營養失調나 肺結 核과 같이 현대에는 科學과 醫學의 발달로 어느정도 극복이 된 질환도 있으나, 人口의 高齡化와 抗生劑 過用 등으로 인한 疾病의 慢性化, 高密한 人口와 과도한 경쟁에서 유발되는 극심한 스트레스, 비아그라 등 약물까지 사용하는 부절제한 性 生活 그리고 인스턴트 음식의 난립과 暴食과 飢餓를 오고가는 無節制한 食餌習慣 등으로 많은 사람 들이 虛勞의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高齡化는 유난히 심각한데, 201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1.3%가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그들 중 많은사람들이 高齡으로 인한 대사성 질환이나 만성 소모성 질환에 시달린다는 것은 전국 요양병원 병상 수가 2011년 1/4분기 기준으로 117,000여개에 이른다는 것만 보아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노인들이 시달리는 대부분의 疾患들이 虛勞에 속한다고 볼 개연성이 있으므로 미래의 韓醫學的 발전을 위해 虛勞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 다고 생각 된다. |
한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增訂韓醫學大辭典. 서울:정담. 1998:1716.
董黎明外. 實用中醫內科學.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6:498-510.
김현재 외. 漢醫學辭典. 서울:成輔社. 1983:461.
李慶雨. 編註譯解黃帝內經素問2. 서울:麗江出版社. 1995:195.
李慶雨. 編註譯解黃帝內經素問5, 서울:麗江出版社. 1995:156-60.
吳克潛. 病源辭典. 東京:東方書店. 1936:739.
李?. 新校編註醫學入門下. 서울:대성문화사. 1994:168, 435, 544-547, 549-551, 553, 560, 569, 653, 687-688.
許浚. 對譯東醫寶鑑. 서울:법인문화사. 1999: 1167-1199.
扁鵲. 難經. 서울:정신출판사. 1985:75-77.
尹用甲. 東醫方劑와 處方解說. 서울:의성당. 1998 :33, 62.
尹用甲. 新東醫方劑2223. 서울:정담. 2006:5, 41, 59, 120, 188, 231, 237, 248, 287, 295, 342, 406, 413, 421, 431, 463, 479, 487, 491, 736, 750, 752, 764, 769, 916, 925, 934, 955, 958, 970, 1077, 1104, 1120, 1143, 1230, 1233, 1265, 1277, 1342, 1395, 1416, 1495, 1529, 1566, 1578, 1592, 1602, 1607, 1612, 1694, 1730, 1737, 1747, 1758, 1806, 1905, 1910, 1954, 2006, 2021, 2049, 2058, 2132, 2183-2184, 2204, 2265, 2348, 2352, 2428, 2430.
韓醫科大學方劑學敎授共編. 方劑學. 서울:영림사. 1999:40.
이범구, 박찬두. 方劑學. 서울:대성의학사. 2000:39.
申佶求. 申氏本草學(總論). 서울:壽文社. 1982:82-84.
박찬국. 病因病耭學. 서울:傳統醫學硏究所. 1978.
전국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한방병리학. 서울: 一中社. 2001.
南京中醫學院. 中醫方劑大辭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93.
樓英. 醫學綱目. 서울:법인문화사. 2010:127, 563.
陳師文. 太平惠民和劑局方. 台北:旋風出版社. 미상: 139-140, 146, 150, 152-153.
董宿. 奇效良方. 北京:中國中醫學出版社. 1995:164.
方廣. (新編)丹溪心法附餘. 서울:大星文化社. 1993 :681, 690, 692, 694, 697-700, 708, 710.
危亦林. 世醫得效方.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64:368-369, 371, 375-376, 378-380, 384-385, 387, 398-399.
陳無擇. 三因極一病證方論. 서울:一中社. 1992:183.
?信. 古今醫鑑. 南昌:江西科學技術出版社1990 :171, 180.
李?. 編註醫學入門. 서울:法人文化社. 2006:695.
虞?. 醫學正傳. 서울:成輔社. 1986:156, 157, 159.
맹웅재. 傷寒論槪說. 益山:圓光大學校. 1996:111.
楊士瀛. 新刊仁齊直指方論. 서울:慶熙大學校. 미상:123.
王好古. 醫壘元戎. 서울:醫聖堂. 1999:522.
?廷賢. (國譯)萬病回春上. 서울:癸丑文化社. 1977:371, 388.
윤정미, 이경섭, 송병기. 産後虛勞에 關한 文獻的考察.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1994;7(1):168-181.
박광은, 이주희, 정승기, 이형구. 虛勞門에 나타난 肺疾患에 對한 文獻的考察. 大韓韓醫學會誌. 1993;14(2):418-424.
유승훈. 方藥合編處方의 病理및 方劑分析에 대한 考察.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21.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