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페인과 일반의약품의 복합처리에 의한 장관계 세포 독성 평가
Evaluation of Cytotoxic Properties of Caffeine Treated with Over-the-counter Drugs in the Intestinal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3, 2012년, pp.356 - 361  

최현아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김미리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박경아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홍정일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식품 중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생리활성 성분 카페인과 일반의약품 성분 AAP, Asp 및 Ibu와의 혼용 시 상호작용에 의한 세포 독성 변화를 장관계 세포모델에서 조사하였다. 카페인은 정상 장관계 세포 INT 407 및 대장암 세포 HCT 116에 농도의존적인 독성을 나타내었고, $IC_{50}$ 수치는 각각 1.91과 2.45 mM로써 정상세포에 유의적으로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다. 카페인과 각각의 약물을 세포에 24시간 동시 처리한 결과 전체적으로 현저한 독성의 변화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약물처리 시를 기준으로 한 카페인의 상대적 독성 및 카페인 처리 시를 기준으로 한 약물의 독성이 INT 407 세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동시 처리 시 약물에 의해 감소된 GSH를 비롯한 thiol성 물질의 세포 내 수준이 카페인 존재 시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카페인과 약물을 각각 순서를 달리하여 전후로 처리하였을 때, 특히 HCT 116 세포에서의 약물의 상대적인 독성이 강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일반의약품 AAP, Asp 및 Ibu과 카페인을 다양한 조합에 의해 장관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일부 상대적인 독성의 강화 또는 약화 현상이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두드러진 독성발현 빛 활성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ffeine is a xanthine alkaloid derivative found in many foods and beverages. Dietary caffeine may interact with commonly-consumed over-the-counter (OTC) drugs in body. In this study, cytotoxic effects on the intestinal cells by combined treatment of caffeine with several OTC drugs, including ibu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 연구에 이용되는 전반적인 카페인의 농도는 시중에서 해열 진통제로서 판매되고 있는 AAP tablet에 들어 있는 카페인 평균함량으로서(10), 식이 음료 중 광범위하게 함유되어있는 카페인 성분을 고려할 때 다양한 농도에 의한 여러 약물과의 빈번한 상호작용이 예상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페인이 AAP를 비롯한 Asp 및 Ibu의 일반의약품들과같이 섭취되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상호작용 및 이로 인한 영향을 장관계 세포모델에서 조사하였으며, 정상 세포와 암 세포에서의 독성 및 세포증식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였다.
  • AAP를 비롯한 약물의 독성발현에 GSH 수준이 밀접하게 관련 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특히 AAP과 카페인의 혼용할 경우 카페인이 간세포에서 GSH 수준을 저하시켜 AAP의 독성을 강화시키는 것이 보고되었다(18,19). 따라서 카페인과의 각 약물의 복합처리에 의한 세포 독성과 GSH 수준변화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약물 및 카페인을 단독 또는 복합 처리한 세포 내의 GSH 수준을 mBBr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mBBr은 thiol group과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형광을 나타내는데, 세포 내 대표적 thiol성인 물질 GSH의 검출에 널리 이용되는 물질이다(20).
  • 이러한 현상이 암 세포와 정상 세포의 일반적 경향인지, 아니면 세포 특이적인 현상인지는 향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식이 중 널리 포함되는 카페인과 일반의약품이 함께 섭취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그간 간세포 중심으로 연구되어왔던 약물의 세포 독성 평가와는 달리, 섭취한 성분들의 체내 흡수 및 각 조직으로의 분배 전에 고농도로 노출될 수 있으며 빈번한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장관계 세포를 타깃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을 둘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설 설정

  • Structure of caffeine (A) and effects of caffeine and the OTC drugs on viability of the intestinal cells. (B) Concentrationdependent effects of caffeine on viability of INT 407 and HCT 116 cells after 24 h incubation. INT 407 and HCT 116 cells were incub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affeine and the OTC drug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페인은 어떤 물질의 유도체인가? 1A)은 커피나 차, 콜라 등과 같은 기호음료와 초콜릿 등의 식품에 함유되어 널리 섭취될 뿐만 아니라 진통제, 해열제 등의 일반의약품에 첨가되거나 각성작용을 위한 용도의 일반의약품 자체로도 판매되고 있다(1). Xanthine 알칼로이드 유도체인 카페인은 blood brain barrier를 쉽게 통과하여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적당량의 카페인은 신경활동을 활발히 하는 각성 효과가 있으나 과잉으로 섭취하면 신경과민, 흥분 등을 유발하고 위장, 소장, 결장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2-4). 카페인은 활성산소종에 의한 지질과산화를 저해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5), 암세포에 세포자연사(apoptosis)를 유도하거나(6), G0/G1 phase arrest 를 유도하여(7) 항암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
카페인은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카페인(1,3,7-trimethyl-1H-purine-2,6(3H,7H)-dione or 1,3,7-trimethylxanthine, Fig. 1A)은 커피나 차, 콜라 등과 같은 기호음료와 초콜릿 등의 식품에 함유되어 널리 섭취될 뿐만 아니라 진통제, 해열제 등의 일반의약품에 첨가되거나 각성작용을 위한 용도의 일반의약품 자체로도 판매되고 있다(1). Xanthine 알칼로이드 유도체인 카페인은 blood brain barrier를 쉽게 통과하여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적당량의 카페인은 신경활동을 활발히 하는 각성 효과가 있으나 과잉으로 섭취하면 신경과민, 흥분 등을 유발하고 위장, 소장, 결장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2-4).
Paracetamol의 특징은 무엇인가? Paracetamol(acetaminophen, AAP), acetylsalicylic acid(aspirin, Asp), ibuprofen(Ibu)과 같은 해열 및 소염진통제들은 일반의약품으로서 처방전 없이 쉽게 구매하여 복용할 수 있으므로, 약물의 오남용과 이로 인해 파생될 수 있는 부작용 및 유해성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10). AAP는 대사효소인 CYP에 의하여 독성을 가진 중간 생성물로 대사될 수 있는데,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이들이 glutathione(GSH)과 결합하여 독성이 없는 물질로 전환되어 배설되나, AAP 중간 생성물이 과도하게 생성되거나 GSH 가 부족할 경우 독성이 발현된다고 보고되었다(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u T. Wake up and smell the coffee. Caffeine, coffee, and the medical consequences. Western J. Med. 157: 544-553 (1992) 

  2. Fredholm BB, Battig K, Holmen J, Nehlig A, Zvartau EE. Actions of caffeine in the brain with special reference to factors that contribute to its widespread use. Pharmacol. Rev. 51: 83-133 (1999) 

  3. Davis JM, Zhao Z, Stock HS, Mehl KA, Buggy J, Hand GA. Central nervous system effects of caffeine and adenosine on fatigue. Am. J. Physiol-Reg. I. 284: R399-R404 (2003) 

  4. Nehlig A, Daval JL, Debry G. Caffeine and the central nervous system: mechanisms of action, biochemical, metabolic, and psychostimulant effects. Brain Res. Rev. 17: 139-170 (1992) 

  5. Devasagayam TP, Kamat JP, Mohan H, Kesavan PC. Caffeine as an antioxidant: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Biochim. Biophys. Acta 1282: 63-70 (1996) 

  6. Lu YP, Lou YR, Xie JG, Peng QY, Liao J, Yang CS, Huang MT, Conney AH. Topical applications of caffeine or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inhibit carcinogenesis and selectively increase apoptosis in UVB-induced skin tumors in mice. P. Natl. Acad. Sci. USA 99: 12455-12460 (2002) 

  7. Hashimoto T, He Z, Ma WY, Schmid PC, Bode AM, Yang CS, Dong Z. Caffeine inhibits cell proliferation by G0/G1 phase arrest in JB6 cells. Cancer Res. 64: 3344-3349 (2004) 

  8. Tassaneeyakul W, Birkett DJ, Veronese ME, McManus ME, Tukey RH, Quattrochi LC, Gelboin HV, Miners JO. Specificity of substrate and inhibitor probes for human cytochromes P450 1A1 and 1A2. J. Pharmacol. Exp. Ther. 265: 401-407 (1993) 

  9. Goasduff T, Dreano Y, Guillois B, Menez JF, Berthou F. Induction of liver and kidney CYP1A1/1A2 by caffeine in rat. Biochem. Pharmacol. 52: 1915-1919 (1996) 

  10. Lessenger JE, Feinberg SD. Abuse of prescription and over-thecounter medications. J. Am. Board Family Med. 21: 45-54 (2008) 

  11. James LP, Mayeux PR, Hinson JA.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Drug Metab. Dispos. 31: 1499-1506 (2003) 

  12. Mitchell J, Jollow D, Potter W, Davis D, Gillette J, Brodie B. Acetaminophen-induced hepatic necrosis. I. role of drug metabolism. J. Pharmacol. Exp. Ther. 187: 185-194 (1973) 

  13. Iqbal N, Ahmad B, Janbaz KH, Gilani AUH, Niazi SK. The effect of caffeine on the pharmacokinetics of acetaminophen in man. Biopharm. Drug Dispos. 16: 481-487 (1995) 

  14. Renner B, Clarke G, Grattan T, Beisel A, Mueller C, Werner U, Kobal G, Brune K. Caffeine accelerates absorption and enhances the analgesic effect of acetaminophen. J. Clin. Pharmacol. 47: 715-726 (2007) 

  15. Choi HA, Kim MR, Hong J. Evaluation of cytotoxic properties of tea polyphenols in intestinal cells treated with over-the-counter drug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641-647 (2011) 

  16. Lee BH, Park YS, Kim JS, Yoo JH, Lee JK. Caffeine consumption and its related symptoms in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Acad. Fam. Med. 28: 9-16 (2007) 

  17. Farber E, Rubin H. Cellular adaptation i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cancer. Cancer Res. 51: 2751-2761 (1991) 

  18. Sato C, Izumi N, Nouchi T, Hasumura Y, Takeuchi J. Increased hepatotoxicity of acetaminophen by concomitant administration of caffeine in the rat. Toxicology 34: 95-101 (1985) 

  19. Farag MM, Abdel-Meguid EM. Hepatic glutathione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s treated with theophylline. Effect of dose and combination with caffeine and acetaminophen. Biochem. Pharmacol. 47: 443-446 (1994) 

  20. Poot M, Verkerk A, Koster JF, Jongkind JF. De novo synthesis of glutathione in human fibroblasts during in vitro ageing and in some metabolic diseases as measured by a flow cytometric method. Biochim. Biophys. Acta 883: 580-584 (1986) 

  21. Moskaug JO, Carlsen H, Myhrstad MC, Blomhoff R. Polyphenols and glutathione synthesis regulation. Am. J. Clin. Nutr. 81: 277S-283S (2005) 

  22. Kim BR, Hu R, Keum YS, Hebbar V, Shen G, Nair SS, Kong AN. Effects of glutathione on antioxidant response element-mediated gene expression and apoptosis elicited by sulforaphane. Cancer Res. 63: 7520-7525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