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헛개(Hovenia dulcis Thunb)추출물 첨가 조미간장 개발을 위한 관능적 평가
Sensory Evaluation of Hutgae(Hovenia dulcis Thunb) Extract for Soy Sauce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2, 2012년, pp.266 - 273  

원새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경희 (광주보건대학교 식품영양과) ,  정수영 (전라남도 한방산업진흥원) ,  송희순 (광주보건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sory quality attributes for the development of soy sauce containing Hutgae(Hovenia dulcis Thunb). Aqueous extracts of Hutgae were prepared from different parts such as trunk, twig, and fruit. These extracts were used for determining the antioxi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기능 개선 및 숙취 해소 효과로 잘 알려진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조미간장의 개발을 위해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조미간장의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세절한 헛개나무, 가지, 열매를 중탕하여 각각의 물추출물을 얻었다.
  • 그러나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천연조미료 또는 기능성이 고려된 조미 간장 제품의 개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헛개 추출물을 첨가한 다양한 조미 간장의 조합을 시도하고, 관능 평가하여 헛개 추출물을 첨가한 약선 기능성을 높인 조미간장 제품 개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맛이나 향 등은 소비자의 기호에 전적으로 의존되는 부분으로, 소비자가 느끼기에 수용할 수 없으면 건강 기능성이 높다 하더라도 조미간장으로 개발 가능성은 낮을 수 있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헛개 추출물에 식품엑기스를 다양하게 혼합 하여 만든 조미간장의 관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헛개나무 조미 국간장을 만들어 일반 국간장과 관능특성을 비교하였다(Table 8). 헛개나무 조미 국간장은 시판 국간장과 유사한 20℃에서 7.

가설 설정

  • 3) 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ce at p<0.05.
  • 4) 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ce at p<0.05.
  • 5) 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ce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헛개는 어떤 효과를 얻기 위한 민간요법으로 이용되어 왔는가? 헛개는 호깨나무, 허리깨나무라고도 하고, 지구(枳俱), 백석목(白石木), 목밀(木蜜), 현포리(玄圃梨)로도 불리우며, 간해독 및 간기능 개선 등의 민간요법에 이용되어 왔다. 최근 보고된 연구논문에서도 헛개의 물 및 메탄올 추출물이 알코올 분해 및 숙취 해소 효과, 항산화 활성이 높다는 보고가 있고, 이런 기능성을 적용한 제품들도 출시 판매되고 있다(Lee 등 2004; Kang 등 2005; Kim 등 2006; Park 등 2006; Kim 등 2008;Choi 등 2011).
헛개 추출물을 첨가한 조미간장 개발을 위해 북어, 멸치, 표고버섯, 다시마, 무, 카츠오 등의 단일식품 엑기스와 헛개혼합 간장을 섞어 관능 평가를 한 실험에서 단일식품엑기스는 어떻게 제조하였는가? 헛개 추출물을 첨가한 조미간장 개발을 위해 북어, 멸치, 표고버섯, 다시마, 무, 카츠오 등의 단일식품 엑기스와 헛개혼합 간장을 섞어 기호도를 포함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멸치, 북어, 카츠오는 각각 100g, 다시마, 표고버섯은 각각 50g을, 무는 800g을 물 2ℓ에 넣고 1시간 약중불에서 끓여 걸러낸 후, 약불에서 30분간 졸인 것을 단일식품엑기스로 사용하였다. 혼합식 품엑기스는 단일식품엑기스를 같은 비율로 섞어 사용하였다.
헛개의 이명은? 헛개는 호깨나무, 허리깨나무라고도 하고, 지구(枳俱), 백석목(白石木), 목밀(木蜜), 현포리(玄圃梨)로도 불리우며, 간해독 및 간기능 개선 등의 민간요법에 이용되어 왔다. 최근 보고된 연구논문에서도 헛개의 물 및 메탄올 추출물이 알코올 분해 및 숙취 해소 효과, 항산화 활성이 높다는 보고가 있고, 이런 기능성을 적용한 제품들도 출시 판매되고 있다(Lee 등 2004; Kang 등 2005; Kim 등 2006; Park 등 2006; Kim 등 2008;Choi 등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 SH, Choi YJ, Oh JY, Kim NG, Rho CW, Choi CY, Cho S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Kanjang(soy sauce) fermentation with bamboo sap, xylem sap and gorosoe. Korean J Food Preserv 4:294-300 

  2. Choi GH, Kim JG, Kwon ST. 2011. Protective effects of food including Hovenia dulcis on acute alcohol intoxic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107-1112 

  3. Choi SY, Sung NJ, Kim HJ. 2006.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of fermented soy sauce from Gorosoe (Acer mono Max.) and Kojesu(Betula costata T.) saps. Korean J Food 3:318-326 

  4. Hussain RA, Lin YM, Poveda LJ, Bordas E, Chung BS, Pezzuto JM, Soejabto DD, Kinghorn AD. 1990. Plant-derived sweetening agents: Saccharide and polyol constituents of some sweet-tasting plants. J Ethnopharmacology 28:103-115 

  5. Kang IJ, Ham SS, Chung CK, Lee SY. 1999.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oy sauce from mountain herb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203-1210 

  6. Kang SH, Kim SM, Kim JH. 2005. Method of using acid hydrolysis to increase the efficacy of decreasing alcohol concentration from Hovenia dulcis extract. Korean J Biotechmol Bioeng 20: 129-132 

  7. Kim HH, Park GS, Jeon JR.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Sikhe prepared with extracts from Hovenia dulcis Thunb.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48-857 

  8. Kim JG. 2004.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Kor J Env Hlth 30:22-28 

  9. Kim JH, Seo YM, Kim JH, Hyun SH, Lee SK, Kim CH, Kang MJ, Jeon TW, Yoon SH, Jeong TC. 2008. Protective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of Hovenia dulcis Thumb against ethanol-induced toxicity in primary cultures rat hepatocytes. Yakhak Hoeji 52:147-152 

  10. Kim JS, Kim HO, Moon GS, Lee YS. 2008.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soy sauce and black soy sauce according to the ripening perio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981-988 

  11. Kim ND. 2007. Trends of research papers on the soy sauce tastes in Japan. Food Ind Nutr 12:40-50 

  12. Kim NT. 2006. Trends of research papers on the soy sauce flavor in Japan. Food Ind Nutr 11:66-84 

  13. Kim SK, Ahn CB, Kang OJ. 1993. Preparation of imitation sauce from enzymatic hydrolysate of cod skin gelatin. J Korean Soc Food Nutr 22:470-475 

  14. Kim SM, Kang SH, Ma JY, Kim JH. 2006. A study on the extraction and efficacy of bioactive compound from Hovenia dulcis. Korean J Biotechmol Bioeng 21:11-15 

  15. Lee SE, Bang JK, Seong NS. 2004.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ovenia dulcis Thunb cortex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79-84 

  16. Moon GS. 1991. Comparison of various kinds of soybean sauces on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J Korean Soc Food Nutr 20:582-589 

  17. Oh HS, Kim JH. 2006. Development of functional soy-based stew sauc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Korean J Food Culture 21:550-558 

  18. Park EM, Ye EJ, Kim SJ, Choi HI, Bae MJ. 2006. Eliminatory effect of health drink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Korean J Food Culture 21:71-75 

  19. Park GS, Kim HH. 2005.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extract from leaf, fruit and stem of Hovenia dulcis Thunb.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65-70 

  20. Park IK, Lee SG, Park JD, Shin SC, Ahn YJ. 2003. Fungicidal activity of domestic plant extracts against six major phytopathogenic fungi. Korean J Pesticide Sci 7:83-91 

  21. Park YM, Kim SJ, Jo KH, Yang EJ, Jung ST. 2006. Anticari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medicinal herb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284-293 

  22. Shim SL, Ryu KY, Kim W, Jun SN, Seo HY, Cho NC, Kim KS.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herbs Ganjang. Korean J Food Preserv 15:243-252 

  23. Song HS, Kim DP, Jung YH, Lee MK.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the formation of radicals. Korean J Food & Nutr 20:150-157 

  24. Um SJ, Lee YJ, Kim JR, Lee ET, Kim SD.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antagonistic microorganism against Streptococous spp. causing dental caries in Korean soy sauce. Korean J Life Sci 13:535-5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