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 발효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분말이 첨가된 조미간장의 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Seasoning Soy Sauce with Added Saccharina japonica Powder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1 no.6, 2018년, pp.613 - 622  

이인선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조리예술전공) ,  송호수 (영산대학교 서양조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y sauce with added Saccharina japonica powder (FSP). Soy sauce was prepared with acid-hydrolyzed soy sauce, brewed soy sauce, honey, ginger, garlic, dried red pepper, ${\gamma}$-aminobutyric acid (GABA)-enriched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FSP를 이용한 부가가치가 높은 식품 소재의 개발을 위하여 조미간장에 첨가하여 일반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일반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FSP 및 WST 첨가 조미 간장의 경우 다시마가 함유하고 있는 페놀류의 영향으로 대조구에 비해 항산화능이 유의적으로 높아 진 것을 알 수 있었다.
  • , 2010a; 2010b), 유산균 발효 다시마 추출물은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 현황’에 등록되어 있는 건강기능식품 소재이다(MDFS, 20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진 유산균 발효 다시마 추출 분말을 첨가한 조미간장을 제조하여 농도에 따른 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범위를 설정한 뒤 조미 간장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효과를 일반 조미간장과 마른 다시마 첨가 조미간장과 비교 분석하여, 다양한 조리 음식에 적용 가능한 조미간장을 제조하여 관능적 기호도 증대 및 유용성분이 강화된 새로운 해양생물 소재를 이용한 조미간장 제품의 개발 가능성에 대해 검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시마가 가지는 생리활성은 무엇이 있는가? 다시마(Saccharina japonica)는 갈조류에 속하는 해조류로 천연 정미 성분인 글루탐산(glutamic acid) 및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등 다량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 예전부터 오랫동안 식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비타민 및 미네랄, 특히 마그네슘, 칼슘, 요오드 및 철 등의 함량이 높으며, 다시마에 함유되어 있는 후코이단 및 알긴산 등의 해조 다당류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시마는 항당뇨 및 항산화 효과,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으며(Ryu et al., 2018)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소재 및 건강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다시마 추출액의 다양한 생리 활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Lee et al.
다시마란 무엇인가? 다시마(Saccharina japonica)는 갈조류에 속하는 해조류로 천연 정미 성분인 글루탐산(glutamic acid) 및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등 다량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 예전부터 오랫동안 식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비타민 및 미네랄, 특히 마그네슘, 칼슘, 요오드 및 철 등의 함량이 높으며, 다시마에 함유되어 있는 후코이단 및 알긴산 등의 해조 다당류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시마는 항당뇨 및 항산화 효과,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으며(Ryu et al.
FSP 및 WST 첨가에 따른 조미간장의 미생물 변화에서 진균 및 대장균이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은 이유는? 진균 및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조미간장 제조 시 가열 과정이 있어 이 공정에 의해균이 사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 세균이 검출된 조미간장의 경우 완전히 사멸하지 않은 균이 생존해 있어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OAC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Jang DK, Woo KL and Lee SC.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s containing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Appl Biol Chem 46, 220-224. 

  3. Jeon MS, Sohn KH, Chae SH, Park HK and Jeon HJ. 2002.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s prepared under different processing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2-38. 

  4. Kataoka S. 2005. Functional effects of Japanese style fermented soy sauce (shoyu) and its compounds. J Biosci Bioeng 100, 227-234. https://doi.org/10.1263/jbb.100.227. 

  5. Kim JG. 2004.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 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Kor J Env Hlth 30, 22-28. 

  6. Kim JH, Lee DS, Lim CW, Park HY and Park JH. 2002. Antibacterial activity of sea-mustard, Laminaria japonica extracts on the carcinogenic bacteria, Streptococcus mutans. Korean J Fish Aquat Sci 35, 191-195. https://doi.org/10.5657/kfas.2002.35.2.191. 

  7. Kim JS, Kim HO, Moon GS and Lee YS. 2008.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soy sauce and black soy sauce according to the ripening perio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981-988. 

  8. Kim S, Woo S, Yun H, Yum S, Choi E, Do JR, Jo JH, Kim D, Lee S and Lee TK. 2005. Total phenolic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seaweed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14, 798-802. 

  9. Kim SK, Park SY, Hong SP and Lim SD. 2017.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gional traditional and commercial soy sauce (Ganjang). Kor J Food Cook Sci 33, 45-53. 

  10. Kim YA, Kim HS and Chung MJ. 1996. Physicochemical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commercial soy sauce. Kor J Soc Food Sci 12, 273-279. 

  11. Ko YJ, Lee GR and Ryu CH. 2013. Anti-inflammatory effect of polysaccharide derived from commercial Kanjang on mast cells. J Life Sci 23, 569-577. https://doi.org/10.5352/JLS.2013.23.4.569. 

  12. Lee BJ, Kim JS, Kang YM, Lim JH, Kim YM, Lee MS, Jeong MH, Ahn CB and JE JY. 2010a. Antioxidant activity and c-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in sea tangle fermented by Lactobacillus brevis BJ20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Food Chem 122, 271-276. https://doi.org/10.1016/j.foodchem.2010.02.071. 

  13. Lee BJ, Senevirathne M, Kim JS, Kim YM, Lee MS, Jeong MH, Kang YM, Kim JI, Nam BH, Ahn CB and Je JY. 2010b. Protective effect of fermented sea tangle against ethanol and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ic damage in Sprague Dawley rats. Food Chem Toxicol 48, 1123-1128. https://doi.org/10.1016/j.fct.2010.02.006. 

  14. Lee NY. 2013. Antioxidant effect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eaweeds ethano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893-1898. https://doi.org/10.3746/jkfn.2013.42.12.1893. 

  15. Lee SK, Jeong YH, Yim SB and Yu SR. 2015.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399-1406. https://doi.org/10.3746/jkfn.2015.44.9.1399. 

  16. Lertsiri S, Maungma R, Assavanig A and Bhumiratana A. 2001. Roles of the maillard reaction in browning during moromi process of thai soy sauce. J Food Process Preserv 25, 149-162. https://doi.org/10.1111/j.1745-4549.2001.tb00450.x. 

  17.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Health function food functional materials recognition status. MFDS, Osong, Korea. 

  18. Moreno MIN, Isla MI, Sanpietro AR and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nopharmacol 71, 109-114. https://doi.org/10.1016/S0378-8741(99)00189-0. 

  19. Narayan YS and Nair PM. 1990. Metabolism, enzymology and possible roles of ${\gamma}$ -aminobutyrate in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29, 367-375. https://doi.org/10.1016/0031-9422(90)85081-P. 

  20. Oh CK, Oh MC, Kim SH, Lim SB and Kim SH. 1998. Antimutagenic and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seamustard and sea-tangle Korean J Fish Aquat Sci 31, 90-94. 

  21. Oh JY, Kim YS and Shin DH. 2002.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Kochujang with natural preservative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35-841. 

  22. Oh KH, Jung SY, Won SB and Song HS. 2012. Sensory evaluation of hutgae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for soy sauce develop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266-273. https://doi.org/10.9799/ksfan.2012.25.2.266. 

  23. Oke M, Jacob JK and Paliyath G. 2010. Effect of soy lecithin in enhancing fruit juice/sauce quality. Food Res Int 43, 232-240. https://doi.org/10.1016/j.foodres.2009.09.021. 

  24. Omori MT, Tano J, Okamoto T, Tsushida T and Higuchi MM. 1987. Effect of anaerobically treated tea (Gabaron tea) on blood pressure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Food Sci Ind 28, 39-42. 

  25. Park CY, Park SH, Kim WB, Hwang JH and Lee HS. 201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reduced Sugar Conditions of yanngeng prepared with steamed liriopis tuber extrac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 229-236. https://doi.org/10.3746/jkfn.2017.46.2.229. 

  26. Park OJ. 1995. Studies on the nitrogen and flavor components in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by two difference fermentation jars. MS Thesis. Younsei University, Seoul, Korea. 

  27. Park SY, Lee SK, Park SI, Kim IY, Jeong YH, Yu SR, Shin SC and Kim MS. 2015.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fermented in korean earthenware, Onggi, from Different Reg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847-853. https://doi.org/10.3746/jkfn.2015.44.6.847. 

  28. Park YM and Kim JK. 1997. Characterization of the degradation of pear fruit cell wall by pectolytic enzymes and their use in fruit tissue liquefaction. J Kor Soc Hortic Sci 38, 255-262. 

  29. Pellefrini N, Re R, Yang M and Rice-Evans C. 1999.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s Enzymol 299, 379-389. 

  30. Ryu DG, Park SK, Jang YM, Song HSm Kim YM and Lee MS. 2018. Change in foo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by the addition of sea-tangle saccharina japonica powder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ish Aquat Sci 51, 2013-220. https://doi.org/10.5657/kfas.2018.0213. 

  31. Schiffman S and Dackis C. 1975. Taste of nutrients; amino acids, vitamins, and fatty acids. Percept Psychophys 17, 140-146. 

  32. Shetty K, Curtis OF, Levin RE, Witkowsky R and Ang V. 1995. Prevention of vitrification associated with in vitro shoot culture of oregano. (Origanum vulgare) by pseudomonas spp. J Plant Physiol 147, 447-451. https://doi.org/10.1016/S0176-1617(11)82181-4. 

  33. Senba Y, Nishishita T, Saito K, Yoshioka H and Yoshioka H.1999. Stopped-flow and spectrophotometric study on radical scavenging by tea catechins and model compounds. Chem Pharm Bull 47, 1369-1374. 

  34. Shin DH, Kim DH, Choi U, Lim MS and An EY. 199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various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7-912. 

  35. Song HS, Lee KT and Kang OJ. 2006. Effects of extraction method on the carnosine, protein, and iron contents of eel (Anguilla japonica) extracts. Korean J Fish Aquat Sci 39, 384-390. https://doi.org/10.5657/kfas.2006.39.5.384. 

  36. Song SB, Ko JY, Kim JI, Lee JS, Jung TW, Kim KY, Kwak DY, Oh IS and Woo KS. 2013.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zuki bean and adzuki bean tea depending on the variety and roasting time.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317-324. https://doi.org/10.9721/KJFSP.2013.45.3.317. 

  37. Won SB, Oh KH, Jung SU and Song HS. 2012. Sensory evaluation hutgae(Hovenia dilcis Thumb) extract for soy sauce development. Korean J Food Nutr 2, 266-2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