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소비자들의 김치 소비 실태 연구
A Survey on the Nationwide Customers' Usage of Kimchi Consump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2, 2012년, pp.299 - 307  

김주현 (동서울대학 호텔외식조리전공) ,  윤혜려 (국립공주대학교 외식상품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Kimchi usage was examined by nationwide consumers. 1,000 consumers between 20~60 years olds from 15 cities/province based on an administrative district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which were one-on one interviews from September 23th to October 14th, 2009. 76.1% of the custom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국 15개 시/도 지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가정에서 소비되는 김치와 시판되는 김치에 대한 인식과 소비 현황을 조사하여 국내 소비자들의 김치 소비 실태를 파악하고, 김치산업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가 현재와 같은 형태를 갖춘 것은 어느시기 이후부터인가? 김치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발효식품으로 삼국시대로부터 채소절임의 형태로 제조하여 왔다는 기록이 있으며, 임진왜란 이후에 고춧가루와 젓갈을 첨가하여 현재와 같은 김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Yoon 등 1988; Seo BS 2001). 김치는 지역과 가정에 따라 상이한 조리법이 있으며, 김치를 담그는 주재료와 부재료 등에 따라 다양한 맛과 독특한 풍미가 있어, 우리의 식탁에서 밥과 함께 한국인의 식생활을 특징지어 주는 가장 중요한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김치의 소비가 점점 줄어드는 이유는 무엇인가? 4 ㎏에서 2010년 27.4 ㎏으로 점점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은 감소는 패스트푸드와 같은 가공식품의 소비 증가, 서구화된 식생활의 변화 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시판 김치는 1970년대부터 수출용으로 제조되기 시작하여 1990년도에는 김치의 총 수출량이 5,849톤에 이르렀고(Yoon 등 1988), 시판 김치의 국내 생산량은 1996년 29.
김치의 영양학적 가치는 무엇인가? 김치는 주재료인 배추, 무 등의 채소류와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갈, 젓갈 등의 각종 향신료를 가미하여 혼합적인 맛을 생성하는 젖산 발효 식품으로 다른 양념이 첨가되면 양념에서 오는 맛과 미생물이 만든 맛이 혼합되어 김치 특유의 독특한 풍미를 가지며(Park & Kim 1991), 저 나트륨 김치는 과잉 숙성 등의 산패를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바 있다(Yu & Hwang 2011). 김치의 영양학적 가치는 비타민과 무기질의 공급원일 뿐만 아니라, 양념으로 첨가되는 향신료 등의 항암효과, 항산화효과 때문에 더욱 더 주목 받고 있다. 고추의 매운 성분인 캡사이신은 지방산의 산화를 방지하고, 마늘의 알리신은 강력한 살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박건영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 YB. 2008. The effects of Kimchi product selection attribut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 Korean J Culinary Research 14:203-216 

  2. Cho YS, Lee SY, Lee EK. 2008. A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preference and awareness and uses of commercial kimchi-in Daegu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907-917 

  3. Cho YS. 2001. A study on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commercial kimchi. Doctoral degree thesis, Yongnam University 

  4. Choi HS. 2002. Gener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commercial Kimchi products. Research Bulletin of Kimch Science and Technology 8:99-104 

  5. Im YH. 2005. A study on the recongnition and the preference for kimchi-applied dishes. MS Thesis, Sookmyung Woman's University 

  6. Jo YB, Choi HJ, Baik HS, Jun HK. 1997. Evaluation of optimum conditions for the electrofusion between Lactobacillus sp. JC 7 isolated from Kimchi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88.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121-128 

  7. Kang SI. 2001. A survey on consumption pattern of kimchi and inhibitory effect of kimchi ingredient on lactic acid bacteria and harmful bacteria. MS Thesis, Kyunghee Universiy 

  8. Kim EY, Park YH, Jung LH, Jeon ER. 2010. Perception of kimchi and preference of foods using kimchi in school meals-focused on high school students in Gwnagju-. Korean J Food Culture 25:241-250 

  9. Kim IW, Cho YB. 2006. A study on preference for purchase and ingestion of Kimchi among Busan resident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2:187-198 

  10. Kim MH, Suh BS, Han JS. 1995. A study on connotative meaning and consumption pattern about kimchi of housewives in Taegu area. J Resource Development 14:41-49 

  11. Kim OS, Joo NM. 2007. A study on purchasing current status and promotion facts for commercial Kimchi of women in Seoul area. Korean J Food Culture 22:167-175 

  12. Lee HJ. 2000. A study on commercial kimchi consumption of housewives in Seoul and Chungbuk area. Korean J Food & Nutr 13:221-225 

  13. Lee IS, Kim HY, Kim EJ. 2004. A survey on the commercial poggi kimchi and consumer acceptance test prepared in the various region. J Korean Soci Dietary Culture 19:460-467 

  14. Noh JM. 2004. A survey on the dietary life for Kimchi of housewives in Wonju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319-337 

  15. Park WP, Kim ZU. 1991. The effect of seasoning and salted - fermented fish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4:242-248 

  16. Seo BS. 2001 A study on Korean, Japaneses, Chinese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kimchi. Doctoral degree thesis, Yongnam University 

  17. Song JE, Han JS. 1995. A survey on perception and purchase about marketed kimchi of housewives in Daegu area. Korean J Home Eco Assoc 33:121-129 

  18. Yoon SI, Kim YC, Lee C. 1988. A consumer survey in Seoul area on marketed Kimchi products. J Korean Soc Dietary Culture 3:369-376 

  19. Yoon SJ, Hwang SJ. 2005. A survey on the level of recognizing Kimchi among housewives in Seoul area. Korean J Food Culture 20:405-415 

  20. You JH, Kwak EJ, Shin MJ. 2007. A study on kimchi preference and the types of kimchi purchased at markets ot improve kimchi market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511-519 

  21. You JH, Shin MJ, Choi SK. 2008.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selection attributes when purchasing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624-632 

  22. Yu KW, Hwang JH. 2011.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lowsodium kimchi prepared with salt replacement. Korean J Food & Nutr 24:753-760 

  23. 박건영. 1999. 김치의 기능성 및 저장성 향상과 국제화: 김치의 영양학적 평가와 항암효과. 김치의 과학과 기술 4: 123-126 

  24. 백성열, 한귀정, 박혜영, 최혜선, 여수환. 2011. 천년의 맛, 김치를 말하다. RDA Interrobang 41:1-24 

  25. 윤서석. 1986. 한국식생활문화의 고찰. 한국영양학회지 19: 107-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