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rbal medicines are medicinal products containing a singl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different herbal substances or herbal preparations as active principles.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developing various kinds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a new type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0.1 M Na2CO3 750 μl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응하는 α-glucosidase의 IC50을 계산하였다.
  • ACE 저해활성 측정은 Cushman과 Cheung의 spectrophotometric assay 방법24)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효소원을 준비하기 위해서 rabbit lung acetone powder 10 g을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8.
  • Huh7 cell을 96-well plate에 각각 1×104 Cells/ml의 농도로 200 ㎕씩 분주 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세포를 적응시키고, 시료의 농도가 각각 0-200 μM / 200 ㎕이 되도록 조정한 후 (6개 농도), 200 ㎕씩 세포에 처리하였다.
  • 건지황과 발효지황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C18역상 HPLC를 사용한 결과, 앞부분에서 수용 성분을 확인하였다. 발효지황의 HPLC에서는 건지황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성분 (chemical profile)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 27×108(CFU/ml)로, 초기 대비 100배 이상 증가하였다(Table 1). 건지황을 첨가한 후 유산균의 발효 중 pH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시료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37℃에서 배양하여 24 시간 단위로 측정하였다. 건지황의 첨가로 인한 발효액의 pH는 초기에는 4.
  • 발효액을 동결건조한 시료를 1%, 5%, 10%, 25% 그리고 50%의 용액으로 만든 후 각 시료용액 0.2 ml에 Tris-HCl의 완충용액 (50 mM Tris 10 mM EDTA, pH 8.5) 3.0 ml와 7.2 mM pyrogallol 0.2 ml를 가하여 25℃에서 10 분간 반응시킨 후 1 N HCl 0.1 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반응액 중 산화된 pyrogallol의 양을 420 nm에서 측정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냈으며 각각의 활성을 %로 나타내었다.
  • 발효지황과 건지황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자 SOD 활성과 전자 공여능을 실험하였다. Superoxide dismutase(SOD)는 생체에 매우 유해한 superoxide anion radical과 반응하여 과산화수소를 생성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으며, 산소를 소비하는 모든 생물 종에 존재하여 생체 내에서 활성산소 장해에 대한 방어 작용을 하는 대표적인 활성산소 저해제이며, 지황의 SOD activity 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는 보고35)가 있다.
  • 25% trypsin-EDTA solution으로 flask 바닥으로부터 세포를 유리시켰다. 배지는 이틀에 한번 새로운 배지로 교환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10% FBS이 함유된 DMEM으로 교체한 다음, 시료를 같은 배지로 적당히 희석 하여 첨가한 후, 5% CO2, 37℃ 조건하에서 세포가 well의 바닥에약 80%이상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지황을 제조하고, 건지황과 발효지황의 pH 및 적정산도, SOD 활성과 전자공여능을 통하여 항산화능,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활성 저해를 통해 혈당강하와 α-glucosidase 저해 활성과 같은 생리활성 지표를 비교하여 연구 하였다.
  • 생균수는 시료 1 ml를 멸균 생리식염수 9 ml에 희석하고 단계별로 희석 후 1 ml를 취하여 Lactobacillus 속과 Pediococcus 속은 glucose 함량을 1%로 높인 한천배지에 접종하여 잘 혼합하였고, Bifidobacterium 속은 BL 한천배지에 접종하여 도말한 후 혐기성 상자(BBL Gas Pak Anaerobic System)에 넣고 37℃에서 48 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수를 계측하고 그 평균 집락 수에 희석 배수를 곱하여 배양액 ml 당 생균수를 산출하였다. 시료의 pH는 pH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자색의 MTT formazan이 생성되면 dimethylsulfoxide (DMSO) 150 ㎕를 첨가하고 10 분간 상온에서 용해시켜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존 세포율은 중복 측정된 3 회 반복실험의 평균값으로 제시하였다.
  • 세포 독성 및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동 microplatereader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한 MTT 분석을 하였다. Huh7 cell을 96-well plate에 각각 1×104 Cells/ml의 농도로 200 ㎕씩 분주 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세포를 적응시키고, 시료의 농도가 각각 0-200 μM / 200 ㎕이 되도록 조정한 후 (6개 농도), 200 ㎕씩 세포에 처리하였다.
  • 시료 100μl에 4 mM DPPH 용액 0.8ml를 가한 후 10 분간 반응시킨 후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 무첨가 대조구의 흡광도와의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각각의 활성을 %로 나타내었다.
  • 시료는 증류수에 녹여 10 mg/ml로 희석하였으며, injection 직전에 MFS-13 (pore size 0.20 μm)으로 여과해 HPLC 분석을 하였다.
  • 의 방법에 준하여 시료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에 대한 수소 공여 효과로 측정하였다. 시료를 각각 1%, 5%, 10%, 25% 그리고 50%의 시료용액으로 만든 후 측정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 100μl에 4 mM DPPH 용액 0.
  • 생균수는 시료 1 ml를 멸균 생리식염수 9 ml에 희석하고 단계별로 희석 후 1 ml를 취하여 Lactobacillus 속과 Pediococcus 속은 glucose 함량을 1%로 높인 한천배지에 접종하여 잘 혼합하였고, Bifidobacterium 속은 BL 한천배지에 접종하여 도말한 후 혐기성 상자(BBL Gas Pak Anaerobic System)에 넣고 37℃에서 48 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수를 계측하고 그 평균 집락 수에 희석 배수를 곱하여 배양액 ml 당 생균수를 산출하였다. 시료의 pH는 pH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열탕추출기 (대웅, Korea), rotary vacuum evaporator (Büchi B-480, Switzerland), freeze dryer (EYELA FDU-540, Japan), CO2 incubator (Forma scientific Co., U.S.A.), clean bench (Vision scientific Co., Korea), autoclave (Sanyo, Japan), micro-pipet (Gilson, France), water bath (Vision scientific Co., Korea), vortex mixer (Vision scientific Co., Korea), spectrophotometer (Shimazue, Japan), centrifuge (Sigma, U.S.A.), deep-freezer (Sanyo, Japan), thermocycler system (MWG Biotech., Germany), ice-maker (Vision scientific Co., Korea), homogenizer (OMNI, U.S.A), plate shaker (Lab-Line, U.S.A.) 및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 U.S.A.), pH meter (Horiba F-51, Japan), HPLC (Shimazu, Japan), C18역상 HPLC column (Hypersil, U.S.A.) 등을 사용하였다.
  • 유산균을 MRS 액체배지를 이용하여 37℃에서 정치 배양하여 활성화하였다. 지황 시료를 5% 첨가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멸균시킨 후 활성화된 유산균을 1% (1.
  • 유산균을 MRS 액체배지를 이용하여 37℃에서 정치 배양하여 활성화하였다. 지황 시료를 5% 첨가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멸균시킨 후 활성화된 유산균을 1% (1.0 X 106 CFU/ml) 씩 접종하여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배양 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 혈당강하 실험은 α-glucosidase를 10 mM PIPES buffer에 용해시킨 10 μl 효소액, 20 mM maltose 40 μl, 각 농도의 발효액 10μl를 혼합해서 37℃에서 20 분간 반응시킨 후 1 ml DNS 시약을 첨가하고 100℃에서 10 분간 열처리한 후에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효소활성 저해율을 계산하였다23).

대상 데이터

  • 전체 분석시간은 30 분으로 이동상의 구성은 초기 5 분 동안 H2O를 흘려주었고, 이후 20 분 동안은 acetonitrile gradient를 하여 acetonitrile을 100%까지 올린 다음, 그 상태를 5 분간 지속하였다. 214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를 확인하였다.
  •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Na2CO3, gallic acid,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8.3, NaCl, hippuryl-his-leu (HHL, H-1635), rabbit lung acetone powder (L-0756), tetrazolium MTT sal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phenophathalein alcohol, potassium phosphate diabasic,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sodium bicarbonate 등은 Sigma-Aldrich (U.S.A.) 제품을, trypsin-EDTA, D-PBS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antibiotic solution (penicillin streptomycin), nonessential amino acid, MEM 배지는 GIBCO BRL Life Technology (U.S.A.) 제품을, 우태아 혈청 (fetal bovine serum, FBS)은 hyclone (Logan, U.S.A.) 제품을, MRS 한천배지는 Difco (U.S.A.) 제품을, 그리고 SOD assay kit는 Dojindo (Japan)를 사용하였고, 기타 일반 시약은 특급 시약을 사용하였다.
  • 건지황의 수용성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C18역상 HPLC column을 장착한 HPLC를 사용하였다. 전체 분석시간은 30 분으로 이동상의 구성은 초기 5 분 동안 H2O를 흘려주었고, 이후 20 분 동안은 acetonitrile gradient를 하여 acetonitrile을 100%까지 올린 다음, 그 상태를 5 분간 지속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건지황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은 중국 하북 지역에서 생산되어 건조된 것으로 중국 안국시장에서 구입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한 세포주는 Huh7 간 (Liver) 세포를 사용하였다. Huh7 세포주는 10% v/v fetal bovine serum, 1% v/v antibiotic solution(penicillin streptomycin, 1% v/v nonessential amino acid, 그리고 sodium bicarbonate (Sigma, MO, Germany) 가 함유된 DMEM 배지로 배양하였다.

데이터처리

  • 모든 실험 결과들은 평균값 ± 표준편차로 기록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T-tes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이론/모형

  • SOD 유사활성은 Marklund와 Marklund의 방법20)에 따라 과산화수소(H2O2)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pyrogallol 생성량을 측정하여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 Huh7 cells were treated with Rehmanniae Radix and Rehmanniae Radix fermented for 48hr. The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by the MTT assay as described in materials and methods. Date are expressed as % of control and each column represents the mean±S.
  • 시료의 전자공여능 측정은 Blois21)와 Lee 등22)의 방법에 준하여 시료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에 대한 수소 공여 효과로 측정하였다. 시료를 각각 1%, 5%, 10%, 25% 그리고 50%의 시료용액으로 만든 후 측정 시료로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제란? 포제는 약의 정선과 약성의 변화를 일으켜 환부에 따라 약력을 강화하거나 약화하기 위하여 법제하는 것을 말한다1). 지황은 포제방법에 따라, 신선한 뿌리를 생지황 (鮮地黃, Rehmanniae Radix Crudes)이라 하여 淸熱滋陰, 凉血止血, 養陰生津, 止渴의 효능이 있고, 그대로 말린 것을 건지황 (Rehmanniae Radix)이라 하여 淸熱凉血, 養陰生津의 효능이 있으며, 뿌리를 포제 가공한 것을 숙지황 (Rehmanniae Radix preparata)이라고 하여 補血滋陰, 益精塡髓의 효능이 있다10).
최근 발효 식품은 생리 활성 작용이 알려지면서 세계적으로 건강 기능성 장수식품으로서 인식되는데 특히 무엇이 당류를 발효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위장기능 개선, 체내 콜레스테롤 흡수 저해, 면역조절, 영양소의 흡수 및 이용률을 높이는 등 다양한 질병 예방효과와 생리 조절 작용을 하는가? 최근 발효 식품은 생리활성 작용이 알려지면서 세계적으로 건강기능성 장수식품으로서 인식되고 있고 특히 Lactobacilli 및 Bifidobacterium과 같은 유산균은 당류를 발효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위장기능 개선, 체내 콜레스테롤 흡수저해, 면역조절, 영양소의 흡수 및 이용률을 높이는 등 다양한 질병 예방효과와 생리조절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진 건강기능성 식품소재이다16-18). 한방 약물은 일반적으로 경구 투여되면 우선 장내 미생물에 의하여 대사되어질 수 있고, 장내 미생물에 의한 유효성분이 약효성분으로 대사변환 또는 흡수를 촉진시킬 가능성도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19).
당뇨병 치료방법 중 탄수화물의 소화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혈액 속에 당의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때 탄수화물은 무엇에 의해 포도당이 분해되어 흡수되는가? 당뇨병 치료방법 중 탄수화물의 소화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혈액 속에 당의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탄수화물은 주로 소장점막에서 분비되는 α-glucosidase에 의해 포도당으로 분해되어 흡수되는데 이 α-glucosidase의 활성을 조절하면 식후의 급격한 혈당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식후 혈당을 효과적으로 조절할수 방법의 하나로 음식물 중의 탄수화물의 소화를 지연시켜 소장으로부터의 흡수를 방해하는 연구가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이상인. 본초학. 서울, 수서원, pp 47, 106-110, 1981. 

  2. 鄒澍, 임진석 옮김. 본경소증 상. 서울, 대성의학사, pp 50-54, 2001. 

  3. 안덕균, 김창민, 신민교, 이경순. 중약대사전(1). 서울, 도서출판 정담, pp 129-135, 1998. 

  4. Morota, T., Sasaki, H., Nishimura, H., Sugama, K., Chin, M. and Mitsahashi, H. Two iridoid glycosides from Reridoia glutinosa. Phytochemistry, 28: 2149-2153, 1989. 

  5. 송효인, 김광중. 베타아밀로이드로 유도된 신경세포사멸에 대한 지황 및 지황식초의 보호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1(1):190-198, 2007. 

  6. 김윤상, 손영종, 이영종. 지황이 CCl4로 손상된 쥐의 간회복에 미치는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15(1):45-51, 2000. 

  7. 이금홍, 강신성, 안원근, 이영선, 권영규, 신상우. 보혈 약재인 당귀, 지황, 백작약, 하수오의 면역 촉진 효과 비교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6):1507-1515, 2006. 

  8. 이인자. 지황 및 그 함유제제의 항 당뇨 효과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연구논문집, 47: 465-477, 1993. 

  9. 마진열, 하창수, 성현제, 지옥표. Cyclophosphamide로 Rat에 유도된 악성빈혈에 대한 숙지황의 증수에 따른 치료효능에 관한 연구. 생약학회지 31(3):325-334, 2000. 

  10. 김남재, 정은아, 김희정, 심상범, 김종우. 지황의 품질평가. 생약학회지 31(2):130-141, 2000. 

  11. 황석연, 황방연, 최우희, 정한진, 허재두, 이경순, 노재섭. 수치에 따른 숙지황 중의 5-hydroxymethyl-furaldehyde 함량 분석. 생약학회지 32(2):116-120, 2001. 

  12. Wen Xuesen, Yang Shilin, Ma Xiaojun, Zheng Junhua. HPLC chromatogram changes with processing for roots of Radix Rehmanniae. Chinese Traditional and Herbal Drugs, 35(2):153-156, 2004. 

  13. 신명섭, 손영종, 이영종. 지황이 흰쥐의 腸연동운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16(1):189-199, 2001. 

  14. 시진국, 손영종, 이영종. 숙지황제조 방법에 따른 당류함량의 변화. 대한본초학회지 14(2):1-11, 1999. 

  15. 김인락, 황금희, 주혜정, 마진열. 한약재 절단, 수치, 전탕법에 관한 연구 II.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4(1):115-127, 1998. 

  16. Goldin, B.R. Health benefits of probiotics. Br. J. Nutr., 80: 203-207, 1998. 

  17. Fuller, R. Probiotics in man and animals. J. Applied Bacteriology, 66: 365-378, 1989. 

  18. 배은아, 한명주. 약선 식품 소재의 유산균 증식 효과.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3):211-217, 2001. 

  19. 김남재, 김동현, 박종백, 홍남두. 생약복합제제중 보기제의 혈 청 성분 및 장내 미생물에 대한 작용. 생약학회지 24(3):235-243, 1993. 

  20. Marklund S., Marklund G.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1974. 

  21.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1: 1199-1203, 1985. 

  22. Lee, J.S., Lee, S.H., Kwon, S.J., Ahn, C., Yoo, J.Y. Enzyme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yeasts from traditional m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448-453, 1997. 

  23. Kim, J.S., Kwon, C.S. and Son, K.H. Inhibition of alpha-glucosidase and amylase by luteolin, a flavonoid. Biosci. Biotechnol. Biochem. 64: 2458-2461, 2000. 

  24. Cushman, D.W., Cheung, H.S.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1971. 

  25. 강병수, 서부일, 최호영. 한약 포제와 임상응용. 서울, 영림사, p 15, 2003. 

  26. 안덕균, 김호철. 한약포제학. 서울, 일중사, pp 31-38, 1997. 

  27. 김기영, 송호준. 한약포제학. 서울, 도서출판 신일상사, p 15, 2002. 

  28. 고병섭, 박갑주, 홍원식, 최미경, 김명희. 효소를 이용한 한약 전탕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18(1):506-514, 1997. 

  29. 송효인, 김광중. 베타아밀로이드로 유도된 신경세포사멸에 대한 지황 및 지황식초의 보호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1(1):190-198, 2007. 

  30. 김동현, 한상범, 박주석, 한명주. 녹용발효와 생리활성. 생약학회지 25(3):232-233, 1994. 

  31. 김상현. 한약의 효율성 개선을 위한 발효한약 유용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7, 29-45, 2008. 

  32. Newcomer, A.D., Park, H.S., O'Brein, P.C. and McGrill, D.B. Rsponse of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lactate deficiency during unfermented acidophilus milk. Am. J. Cli. Nutr. 38: 257, 1983. 

  33. Tomoko, A.K., Tomoko, Y. and N. Ishibashi, Inhibitory effect of human-derived Bifidobacterium o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Serotype O-111. Bioscience Microflora, 15: 17, 1996. 

  34. 안상욱, 김민희, 정우택, 황백, 성낙술, 이현용. 건지황 추출물을 이용한 알콜 발효 수율 증진. 한국약용작물학회지 8(4):351-361, 2000. 

  35. 임정대, 유창연, 김명조, 윤성중, 이선주, 김나영, 정일민. 한국산 약용식물로부터의 SOD 활성 및 Phenolic Compounds 함량 비교.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2(3):191-202, 2004. 

  36. Niwa Y., Miyachi Y. Antioxidant action of natural health products and Chinese herbs. Inflammation, 10: 79-91, 1986. 

  37. 손미예, 남상해. 두충차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6(12):1511-1516, 2007. 

  38. 홍희도, 김영찬, 노정해, 김경탁, 이영철. 증숙 횟수에 따른 고려인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J. Ginseng Res., 31(4):222-229, 2007. 

  39. Eriksson, C.E., Na, A. Antioxidant agents in raw materials and processed foods. Biochem. Soc. Symp., 61: 221-234, 1995. 

  40. Jiratanan, T., Liu, R.H. Antioxidant activity of processed table beets and green beans. J. Agr. Food Chem., 52: 2659-2670,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