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질 및 에너지 수지 분석을 통한 시설채소(오이)의 청정에너지 농업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Study for Clean Energy Farming System by Mass and Energy Balance Analysis in the Controlled Cultivation of Vegetable Crop (Cucumber)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2, 2012년, pp.280 - 286  

신국식 (국립한경대학교 기후변화 연구센터) ,  김승환 (국립한경대학교 바이오가스 연구센터) ,  오승용 (국립한경대학교 바이오가스 연구센터) ,  이상은 (국립한경대학교 기후변화 연구센터) ,  김창현 (국립한경대학교 바이오가스 연구센터) ,  윤영만 (국립한경대학교 바이오가스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바이오가스 생산시설과 연계하는 시설채소 오이의 청정에너지 농업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물질 및 에너지 수지 분석하였으며, 물질 및 에너지 수지 분석을 통해 시설채소 청정에너지 시스템의 도입 방안을 검토하였다. 시설 채소 오이 재배지의 연간 가온용 순에너지요구량 ($E_{YHED}$)을 충족시키는 바이오가스양은 촉성과 반촉성 재배에서 각각 9,482, $2,636Nm^3\;10a^{-1}$ (60% 메탄함량을 기준)이었으며, 바이오가스 생산을 위해서 각각 양돈슬러리 511, $142m^3\;10a^{-1}$가 요구되었다. 해당 양돈슬러리에서 발생하는 질소(N)와 인산 ($P_2O_5$)은 촉성재배에서 1,788, $511kg\;10a^{-1}$, 반촉성 재배에서 497, $142kg\;10a^{-1}$이었으며, 비료성분의 농지환원을 위해서는 촉성 재배의 경우 질소시비 기준 7.5 ha, 반촉성 재배의 경우 질소시비 기준 2.1 ha의 오이재배 면적이 요구되었다. 가온기간 중 촉성 재배에서 일일 가온에너지 요구량 ($E_{i,DHED}$)은 최소 7.7, 최대 515.1, 평균 $310.2Mcal\;10a^{-1}\;day^{-1}$을 나타냈으며, 반촉성 재배에서 일일 가온에너지 요구량 ($E_{i,DHED}$)은 최소 5.3, 최대 258.0, 평균 $165.1Mcal\;10a^{-1}\;day^{-1}$을 나타났다. 촉성 및 반촉성 재배에서 일일 가온에너지 요구량 ($E_{i,DHED}$)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산출한 바이오가스 생산 시설의 양돈슬러리 유입용량은 각각 3.3, $1.7m^3\;day^{-1}$이었으며, 일일 가온에너지 요구량 ($E_{i,DHED}$)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한 유입용량은 각각 5.4, $2.7m^3\;day^{-1}$로 나타났다. 또한 소화액의 처리측면에서 지역특성에 따라 액비이용을 고려한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용량설계와 하절기의 잉여 바이오가스 활용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ean energy farming is the agricultural activity to improve an efficiency of agricultural energy use and to replace fossil fue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clean energy farming system in the controlled cultivation of vegetable crop (cucumber) adopting the biogas production faci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의 원료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주로 활용하고 있는 양돈슬러리를 주원료로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시설채소 작물 재배과정에서 발생하는 작물잔 사를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의 부원료로 활용하는 체계로 설계하였다.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에서 생산되는 바이오가스는 직접 시설재배지의 가온용 연료로 활용하고 바이오가스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액은 액비로 활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시설채소 작물 청정에너지 농업 시스템의 물질 및 에너지 수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바이오가스 생산시설과 연계하는 시설채소 오이의 청정에너지 농업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물질 및 에너지 수지 분석하였으며, 물질 및 에너지 수지 분석을 통해 시설채소 청정에너지 시스템의 도입 방안을 검토하였다. 시설 채소 오이 재배지의 연간 가온용 순에너지요구량 (EYHED) 을 충족시키는 바이오가스양은 촉성과 반촉성 재배에서 각각 9,482, 2,636 Nm310a-1 (60% 메탄함량을 기준)이었으며, 바이오가스 생산을 위해서 각각 양돈슬러리 511, 142 m310a-1가 요구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농산 바이오매스의 바이오가스화 기술을 이용하여 농업분야 주요 에너지 수요처인 시설채소 단지와 연계하는 청정에너지 농업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위해 촉성 및 반촉성 오이 재배 시설을 대상으로 물질 및 에너지 수지의 분석을 통해 청정에너지 농업 시스템 설계 방안을 검토하였다.
  • 청정에너지 농업 시스템 본 연구는 시설채소 작물인 오이를 대상으로 청정에너지 농업 시스템 구축을 위한 물질 및 에너지 수지를 파악하였다. 청정에너지 생산시설인 바이오가스 시설과 청정에너지 이용시설인 시설채소 작물재배 시설을 중심으로 Fig.

가설 설정

  • 촉성재배는 재배기간 중 동절기 직접가온 기간을 포함하는 재배 유형으로 11월 초순에서 4월 초순 까지 재배하며, 반촉성 재배는 동절기 직접가온 기간을 일부 포함하는 재배 유형으로 1월 초순에서 6월 중순까지 재배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시설 오이 하우스의 가온은 시설내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시설내 내부온도가 10℃미만시 시설채소 하우스의 가온을 실시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농업의 에너지 의존성이 증가하는 이유? 농업기계화, 시설원예작물 재배면적 증가 등으로 우리나라 농업의 에너지 의존성이 증가하여, 농림어업 분야의 에너지 소비량은 1981년 75만 8,000 TOE에서 2008년 286만 TOE로 3.8배 증가하였으며, 면세유 기준 농업용 유류 사용량은 1990년 64만 9,399 톤에서 2008년에 197만 5,412 톤으로 3배가 증가한 것으로 보고 (Kim et al.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한 농가 경영비 절감 방안은 무엇이 있는가? , 2010)되고 있다. 근래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농업분야에서도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한 농가 경영비 절감 방안으로 청정에너지 농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청정에너지 농업은 지구온난화에 대비하고, 농업의 친환경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 있어 에너지 이용 측면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농업용 에너지 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신재생에너지로 대체・이용하는 농업이다.
농산 바이오매스의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국내 실정은 어떠한가? 따라서 바이오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얻어지는 바이오메탄은 직접적인 화석연료의 대체가 가능하며, 분리된 이산화탄소는 시설채소 작물의 생육 증대를 위한 탄소원으로 재이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청정에너지 생산 개념을 가지는 바이오가스 생산 시설은 2010년 기준 11기에 불과하며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대부분 연구・실증 시설로서 청정에너지원으로서의 활용 사례는 극히 미흡한 상황이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청정에너지 농업 시스템과 관련하여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의 기술 조사 및 경영성과 사례분석에 관한 연구결과가 보고 (Yoon et al., 2009; Park and Han, 2011)되고 있으나 기술적인 부분에서의 접근은 극히 미흡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Hong, S.G., J.D. Shin, S.I. Kwon, W.k. Park, J.W. Heo, H.S. Bang, Y.M. Yoon, and K.K. Kang. 2011. Comparative environmental effects of digestates application to the rice paddy soil in bioenergy village:field trial. J. of KORRA 19(1):123-130. 

  2. Jeong, E.M. and W.Y. Lee. 2010. A study on energy use of the farmer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3. Kim, S.H., H.C. Kim, C.H. Kim, and Y.M. Yoon. 2010. The measurement of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in the several organic waste resources. Korean J. Soil Sci. fert. 43(3):356-362. 

  4. Kim, Y.J., K.H. Park, C.Y. Kang, Y.H. Kim, E.M. Jeong, W.Y. Lee, H.Y. Park, and M.J. Park. 2010. Prospect of demand and supply of energy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strategies for introducing clean energy farming system.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5. Kim, Y.J., S.M. Lee, and B.S. Kim. 2009. An analysis on the diffusion of energy-saving facilities and policy suggestions for agricultur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6.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2010 Statistics of waste biomass energy.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In Korean) 

  7. Park, H.T. and H.S. Han. 2011. A study on the type of clean energy utilized in agricultural sector.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8. Park, H.T. and Y.J Kim. 2010. Status and problems for clean energy utilization in agricultural sector.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One click agricultural technology. (http://oneclick.rda.go.kr/). 

  10. Seo, D.G. 2011. Status for energy utilization in the rural and agricultural sector.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In Korean). 

  11. Shin, K.S., C.H. Kim, S.E. Lee, and Y.M. Yoon. 2011a.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of agricultural byproduct in greenhouse vegetable crops. Korean J. Soil Sci. fert. 44(6):1252-1257. 

  12. Shin, K.S., C.H. Kim, S.E. Lee, and Y.M. Yoon. 2011b.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of agricultural waste biomass. Korean J. Soil Sci. fert. 44(5):903-915. 

  13. Yoon, Y.M., C.H. Kim, Y.J. Kim, and H.T. Park. 2009. The economical evaluation of biogas production facility of pig waste. Korean J.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36(1):137-157. 

  14. Yoon, Y.M., H.C. Kim, J.S. Yoo, S.H. Kim, S.G. Hong, and C.H. Kim. 2011. The performance of anaerobic co-digester of swine slurry and food waste. Korean J. Soil Sci. fert. 44(1):104-1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