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시각적 작동 기억 차이: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
Difference of working memory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with college students: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6 no.3, 2012년, pp.173 - 182  

홍재란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황정하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김은정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작동 기억력은 학업성취도와 높은 상관을 보이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대학생중 학업성취도 상위군과 하위군 학생들이 시각적 작동 기억의 부호화와 인출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대뇌 활성화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동의한 20명의 대학생들을 학업성취도 상위군 10명과 하위군 10명으로 나눴다. 십자가를 응시하는 휴지기와 도형을 기억하고 인출하는 활성기가 2번 반복되는 210초 프로토콜을 적용하였고, 유의수준 95%에서 두 군의 대뇌활성화 차이를 알아보았다. 부호화의 경우 작동 기억을 담당하는 양측 배측 전전두엽(BA 46)과 주의력과 관련 있는 하두정엽과 시각 연합영역에서 상위군이 하위군에 비해 높은 활성화를 보였고, 인출의 경우 우측 배측 전전두엽(BA 44)과 모양의 판단과 관련 있는 우측 방추 상회와 설상회 등에서 우세를 보였다. 반면 하위군은 부호화의 경우 대상회에서 인출의 경우 시상과 기저핵 그리고 소뇌 등에서 상위군에 비해 높은 활성화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학업성취도 상위군이 부호화의 경우 작동 기억과 주의력에 관여하는 영역에서 인출의 경우 판단에 관련된 영역에서의 활성화가 높아 하위군에 비해 효과적인 작동 기억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was well known that working memory highly 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brain activation which visually evoked working memory(encoding and retrieval) through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fMRI) in Higher Academic Achieve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결과는 정상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에 따라 시각적 작동 기억에 차이가 있는지를 뇌기능 영상기법을 이용하여 밝히고자 한 실험적인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대해서는 몇 가지 확인이 필요한데 첫째, 본 연구의 가설과 일치하는 원인으로 전반적인 인지에는 큰 문제가 없는 정상 대학생들에서도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보이는 두 군은 작동 기억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고 생각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정상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은 군과 낮은 군을 대상으로 시각적 작동 기억 과제를 수행하게 하여, 두 군 간에 뇌 활성화 영상에서 어느 부위에 얼마만큼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은 양전자방출단층촬영법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등에 비하여 영상의 공간 분해능이 뛰어나고, 방사선 동위원소의 주입이불필요하며, 따라서 반복검사가 가능하고, 또한 이미 널리 보급되어 있는 자기공명장치를 수월하게 이용할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특히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초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20].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은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 비침습적으로 대뇌피질을 정확히 국지화(localization)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서 수술도중에 시행하는 뇌기능의 평가와 정확히 일치한다고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19].
작동기억은 무엇인가? 작동 기억에 관한 이론을 체계화한 Baddeley는 작동기억을 인지 과제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조작하는 기억 체계로 정의 하면서 작동 기억이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Baddeley의 작동 기억이론에 의하면[5-14] 인간의 작동기억을 언어적 작동 기억(phonological loop), 시 · 공간적 작동 기억(visuo- spatial sketchpad) 및 중앙집행장치 (central executive)로 구분한다.
작동기억의 3가지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 작동 기억에 관한 이론을 체계화한 Baddeley는 작동기억을 인지 과제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조작하는 기억 체계로 정의 하면서 작동 기억이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Baddeley의 작동 기억이론에 의하면[5-14] 인간의 작동기억을 언어적 작동 기억(phonological loop), 시 · 공간적 작동 기억(visuo- spatial sketchpad) 및 중앙집행장치 (central executive)로 구분한다. 중앙집행장치는 주의의 할당, 정보 처리의 조절 및 통제에 관여하는 한편, 조음 회로와 시공간 작동 기억은 각각 언어적 정보와 시공간적 정보의 저장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ddeley, A. Working memory. In M. S. Gazzaniga (Ed.), The cognitive neurosciences. Cambridge, MA, MITpress; pp.755-764, 1995. 

  2. 김회수, 염시창, Schller T. 계열적 텍스트 학습에서 사전지식, 작동 기억 및 텍스트 유형이 학업성 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방송연구; Vol. 7, No. 4, pp.5-31. 2001. 

  3. 김회수. 하이퍼텍스트에서 탐색도구들의 작동 기억 부하량과 부하량 감소에 대한 상대적 효과. 교육정보방송연구, Vol.8,No.3,pp.189-218. 2002. 

  4. 김동일. 학습장애 아동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03. 

  5. Baddeley, A. Working memor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1986. 

  6. Baddeley, A. . Is Working memory working? The fifteenth Bartlett lecture. The Quarterly J. of Experimental Psychology, Vol. 44, No. 1, pp.1-31.1992. 

  7. Baddeley, A. The magic number seven: still magic after all these years? Psychological Review. Vol. 101, No .2 ,pp.53-356.1994. 

  8. Baddeley, A. Exploring the central executive.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Vol. 8, pp.5-28, 1996. 

  9. Baddeley, A. Recent developments in working memory.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8, 234-238.1998. 

  10. Baddeley, A. The episodic buffer. a new component of working memory. Trends Cognitive Science, Vol. 4, No. 11, pp.417-423. 2000. 

  11. Baddeley, A., & G. J. In G. H.Bower (Ed.).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vol. 8). New York. Academic Press. 1974. 

  12. Baddeley, A., & G. J. hitch Development working memory. Should the Pascual-Leone and Baddeley and Hitch models be merged? J.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Vol. 77, pp.128-137.2000. 

  13. Duff, S. What's working in working memory . A role of the central executive. Scandinavian J. of Psychology, Vol. 41, pp.9-16, 2000. 

  14. Logie, R. H. Visuo-spatial processing in working memory. The Guarterly J. of Experimental Psychology, 38A, pp.29-247, 1986. 

  15. Quinn, G., & McConnell, J. Irrelevant picturs in visual working memory. Quarterly J. of Experimental Psychology,),Vol. 49, No. A, pp.200-215. 1996. 

  16. Fincher-Kiefer, R. Perceptual components of situation models. Memory & Cognition. Vol. 29, No. 2, pp.336-343, 2001. 

  17. 윤미애. 독해력, 고등사고력 및 작동 기억에 따른 수학 학업성취도의 차이.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06. 

  18. Ogawa S, Lee TM.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blood vessels at high field, in vivo and in vitro measurements and image simulation. Magn Reson Med,.Vol. 16, pp.9-18, 1990. 

  19. Jack CR, Thompson RM, Butts RK, et al..Sensory motor cortex, correlation of presurgical mapping with functional MR imaging and invasive cortical mapping. Radiology, pp.85-92, 1994. 

  20. Koutstaal, W., Schacter, D. L., Galluccio, L., & Stofer, KA. Reducing gist-based false recognition in older adults, Encoding and retrieval manipulations. Psychology and Aging,. Vol .14, pp.220-237.1999. 

  21. Woods R. P., Cherry S. R., & Mazziotta J. C. Rapid automated algorithm for aligning and reslicing PET images.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Tomography, Vol. 16, pp.620-633, 1992. 

  22. 주라형, 최보영, 서태석,.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단기 기억 뇌기능 매핑 연구. 의학물리, Vol. 16, No. 1, pp.32-38, 2005. 

  23. Tulving E, Kapur S, Craik FI, Moscovitch M, Houle S..Hemispheric encoding/ retrieval asym-metry in episodic memor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indings. Proc Natl Acad Sci USA, Vo.l. 91, pp.2016-20, 1994. 

  24. Sperling RA, Bates JF, Chua EF, Cocchiarella AJ, Rentz DM, BR, Schacter DL, Albert MS fMRI studies of associative encoding in young and elderly controls and mild Alzheimer's disease. Neurol Neurosurg Psychiatry, Vol. 74, No. 1, pp.44-50, 2003. 

  25. Iidaka T, Sadato N, Yamada H, Murata T, Omori M, Yonekura Y An fMRI study of the functional neuroanatomy of picture encoding in younger and older adults. Brain Res Cogn Brain Res,.Vol. 11, No. 1, pp.1-11, 2001. 

  26. Pihlajamaki M,Tanila H, Hanninen T, Kononen M, Mikkonen M, Jalkanen V,Partanen K, Aronen HJ, Soininen H Encoding of novel picture pairs activates the perirhinal cortex: an fMRI study. Hippocampus, Vol. 13, No. 1, pp.67-80, 2003. 

  27. Liu LC, Plomp G, van Leeuwen C, Ioannides AA Neural correlates of priming on occluded figure interpretation in human fusiform cortex. Neuroscience, ,Vol. 141, No. 3, pp.1585-97, 2006. 

  28. 진화봉, 리순아, 김회수. 메타인지적 지식과 작동 기억이 메타인지적 규제 요구 과제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반송연구,Vol9,No.3,pp119-148.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