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시설 유지관리업무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경기도 교육청 공립학교 중심으로 -
Improvement Plan for School Facility Management -Focusing on Public Educational Buildings in Gyeonggido- 원문보기

敎育環境硏究 = The journal of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v.11 no.1, 2012년, pp.32 - 41  

양회령 (목포대학교 대학원) ,  신한우 (목포대학교 대학원) ,  김장영 (경기도교육청) ,  류한국 (창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태희 (목포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statistics and information data, there were 11,317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acility as of 2011. During the post decade, 1,256 schools are increased. The school facility maintenance is the important factor for the whole facility life cycle becau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유지관리 및 시설공사 예산집행에 따른 관리실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고찰함으로써 학교시설 관리업무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공립학교를 중심으로 각 학교장 및 유지관리 업무를 시행하고 있는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3가지의 분야로 나눠 정밀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교시설 유지관리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기존의 학교시설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설문조사 결과와 종합하여 현행의 유지관리 업무의 문제점 및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 본 연구는 학교시설 관리업무 개선방안을 목적으로 하여 기존 조직과 업무체계 개선안 및 유지관리 전담반을 제안하였으나 구체적인 전담반 구현방안은 제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학교시설 전담반 운영관리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는 학교시설 관리업무에 대한 개선방안은 제시하고자 경기도교육청 관내 공립학교 267개교의 학교장 및 유지관리 업무를 시행하고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고, 학교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 업무를 체계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1) 학교시설에서 유지관리 실무를 전담하는 담당자의 경우 전문지식을 가지고 관리업무를 실행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지자체로 또는 교육청별로 산하에 별도의 전담반 부서를 신설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하였다.
  • 첫째, 학교시설물의 유지관리에 관한 국내외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유지관리의 개념을 정립하고 본 연구의 방향 및 유지관리 체계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검토한다. 둘째, 학교시설 유지관리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존 국내연구동향을 통해 검토 되었던 한계점들을 확인하고, 현행 유지 관리 업무 담당자들이 수행 하고 있는 업무 체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환경 최적화 사업이 수행된 배경은? 2001년 교육시설사업의 7차 교육과정 도입과 더불어 교육시설물 증축과 친환경적인 학교시설물 보급등 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환경 최적화 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환경 개선사업은 교육시설의 질적 향상이 최우선인데 반해 1985년 이전 양적 팽창시기에 건립되었던 학교시설의 노후화와 이에 대한 관리방안이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현행의 유지관리 업무의 문제점 및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본 연구의 프로세스는 무엇인가? 첫째, 학교시설물의 유지관리에 관한 국내외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유지관리의 개념을 정립하고 본 연구의 방향 및 유지관리 체계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검토한다. 둘째, 학교시설 유지관리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존 국내연구동향을 통해 검토 되었던 한계점들을 확인하고, 현행 유지 관리 업무 담당자들이 수행 하고 있는 업무 체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셋째, 개선방안 및 결론 단계에서는 학교시설 유지관리 문제점 도출 및 업무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개선안을 도출한다.
학교시설에 대한 일상 점검과 시설물 하자의 조기발견 또는 적절한 수선업무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학교시설의 경우 시설물의 이용 관리 또는 안전에 대한 개념이 전무한 학생들이 사용하는 시설물이므로, 예방보전차원으로서 일상 점검과 시설물 하자의 조기발견 또는 적절한 수선업무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학교시설의 유지관리는 일상·정기 점검이 대부분 학교 자체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며, 설비 분야 점검 경우에는 외부위탁점검의 비율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상시사용이 필요한 기계장치 등의 전문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손우경 외, 교육시설물 유지관리업무 성능평가방안에 관한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 제10권 제5호, 2003 

  2. 김진호, 국내건설 현장관리업무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제2권 제4호, 2002 

  3. 성은영 외, 학교시설 성능관리 체계구축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한국도시공간연구소, 2009 

  4. 유성환 외, 학교시설 현황조사를 통한 유지관리효율화 방안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 

  5. 유영훈 외, 교육시설 유지관리 현황조사 및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 

  6. 김태희 외, 공립학교 시설물 유지관리 업무 조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 

  7. 김태희 외, 공립학교 시설물 유지관리체계 개선방안,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07 

  8. 안상현 외, 학교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 기능제안,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 

  9. 오정환, 학교시설물 유지관리 업무프로세스 개선에 관한연구, 목원대학교 석사논문, 2006 

  10. 박성춘, 학교시설물의 효율적인 유지관리에 관한연구, 전남대학교 석사논문, 2007 

  11. 이계인, 초중등학교 시설물유지관리 체계 개선연구, 대한건축학회, 1996 

  12. 조창희 외, 初.中等學校施設維持管理費에 관한 調査硏究, 대한건축학회, 2008 

  13. 정재혁 외, 교육시설물의 합리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분류체계,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 

  14. Kwvin Yu, A Development Framework for data models for computer integrated facilities management,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02 

  15. Albert T.P, Lan based building maintenance and surveillance robot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00 

  16. Usmen M.A.P, Safety Program Guidelines for Pubulic School Facility Constuction and Operations,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02 

  17. Ait-KadiD, Resources assignment model in maintenance activities schedu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2011 

  18. 경기도 교육청 게시판, http://www.goe.go.kr/ 

  19.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의한 특별법 제2조 9항 

  20. 교육통계서비스, http://cesi.kedi.re.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