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지이용유형별 야생조류 군집구조 특성 분석 - 시흥시를 사례로 -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rd Communities by Land-use Types - The Case Study of Siheung City, Korea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3, 2012년, pp.313 - 321  

김지석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홍석환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오충현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흥시 토지이용유형별 야생조류 군집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43개조사구를 선정하여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계절별로 군집구조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정점조사법을 활용하였으며 군집분류는 TWINSPAN과 DCA기법을 활용하였다. 군집분류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첫 번째 분류는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중대백로(Egretta alba)와 같은 물새류를 식별종으로 하여 나뉘어졌다. 분류된 2개 군집은 각각 논병아리(Tachybaptus ruficollis)와 참새(Passer montanus)를 식별종으로 다시 분류되어 총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군집은 토지 이용유형에 따라 나뉘어졌으며, 군집 I은 산림지역, 군집 II는 시가화지역과 반자연지역 일부(하천, 논습지)를 포함하였다. 군집 III은 하천과 논습지, 군집 IV는 저수지이었다. 하천과 논습지는 동일 토지이용유형이 서로 다른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나, 논습지와 주변 하천 규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고 있어 동일 토지이용유형의 면적 크기가 군집의 종 구성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종다양도지수는 군집 III(대규모 논습지와 주변 하천)이 가장 높았고, 군집 IV가 낮았다. 최대종다양도나 균등도도 군집 III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비오톱 유형화의 경우 도심 내 논습지 및 도시공원의 규모, 하천변의 토지이용형태를 고려할 경우 최소면적기준의 적용이 필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nalyze the bird communities by the land use type, we surveyed 43 plots in Siheung City, Korea from Mar. 2009 to Feb. 2010 and classified the community by TWINSPAN and DCA. Classification result by TWINSPAN was classified into 4 communities. In the first division, waterbirds, such as spot-bill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시가화지역의 생태적 유형구분은 주로 토지이용과 식물군집의 특성을 기준으로 구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더하여 동물생태, 즉 야생조류의 서식특성을 함께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1997; Pärt and Söderström 1999; Söderström and Pärt 2000; Chae and Koo, 2004), 토지이용유형에 따른 군집의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물의 군집생태학에서 활용되고 있는 군집분류법과 서열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야생조류 군집을 분류하고 군집별 토지이용유형에 따른 야생조류 군집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현재 시가화지역의 생태적 유형구분은 주로 토지이용과 식물군집의 특성을 기준으로 구분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군집이란 무엇인가? 생물군집(biotic community)이란 어떤 지역이나 서식처에서 생활하고 있는 개체군의 집합체로 그것은 내부가 조직화된 하나의 단위로서 구성요소인 개체나 개체군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속성을 가지고 있고, 종개체군의 합병에 따른 물질대사의 재편성을 통하여 단위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군집분류법은 유사한 표본 단위들을 모아 하나의 군으로 만들어 다른 군과는 구분이 되게 하는 과정으로 군집 분류를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야생조류가 환경변화에 대한 지표종으로 적당한 이유는 무엇인가? 야생조류와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된 이유는 야생조류가 이동성이 매우 강하고 물질대사가 활발하여 환경변화에 즉각 반응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야생조류는 식생구조, 토지이용, 기후 변화(Gaston et al., 2003; Watkinson et al., 2004), 침입종(Blackburn and Duncan, 2001; Duncan et al., 2003) 등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야생조류는 환경변화에 대한 지표종으로 아주 적당하다(Juutinen and Mønkkønen, 2004; Schulze et al.
야생조류와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된 이유는 무엇인가? , 2005). 야생조류와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된 이유는 야생조류가 이동성이 매우 강하고 물질대사가 활발하여 환경변화에 즉각 반응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야생조류는 식생구조, 토지이용, 기후 변화(Gast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ibby, C.J., N.D. Burgess, D.A. Hill and S.H. Mustoe(2000) Bird census techniques. 2nd ed. Academic Press, 302pp. 

  2. Blackburn, T.M. and R.P. Duncan(2001) Determinants of establishment success in introduced birds. Nature 414: 195-197. 

  3. Blair, R.B.(1996) Land use and avian species diversity along an urban gradient. Ecological Applications 6(2): 506-519. 

  4. Bolger, D.T., T.A. Scott, and J.T. Rotenberry(1997) Breeding bird abundance in an urbanizing landscape in coastal southern California. Conserv. Biol. 7: 406-421. 

  5. Chae, J.H. and T.H. Koo(2004) Habitat feature analysis in urban biotope for bird diversity promotion in Seoul urban area. KRIHS 40: 87-100. 

  6. Duncan, R.P., T.M. Blackburn and D. Sol.(2003) The ecology of bird introductions.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34: 71-98. 

  7. Fernandez-Juricic, E.(2000) Bird community composition patterns in urban parks of Madrid: the role of age, size, and isolation. Ecological Research 15: 373-383. 

  8. Ford, H.A.(1987) Bird communities on habitat island in England. Bird Study 34: 205-218. 

  9. Forman, R.T.T.(1995)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s and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2pp. 

  10. Gaston, K.J., T.M. Blackburn and K. Klein Goldewijk(2003) Habitat conversion and global avian biodiversity los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270: 1,293-1,300. 

  11. Gregory, R.D., D.G. Noble and J. Custance(2004) The state of play of farmland birds: population trends and conservation status of lowland farmland birds in the United Kingdom. Ibis 146: 1-13. 

  12. Greig-Smith(1983) Quantitative plant ecology. 3rd ed. Blackwell, 358pp. 

  13. Jin, G.J., T. Yan and J.H. Kim(2002) The interpretation of community structure for the antural deciduous forest of Mt. Chumbong classified by TWINSPA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4): 523-5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Jokimaki, J., and M-L. Kaisanlahti-Jokimaki(2003) Spatial similarity of urban bird communities: a multiscale approach. Journal of Biogeography 30: 1,183-1,193. 

  15. Juutinen, R. and M. Monkkonen(2004) Testing alternative indicators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old-growth boreal forests: ecology and economics. Ecological Economics 50: 35-48. 

  16. Kim, J.H., B.H. Yoo, C.M. Won, J.Y. Park and J.Y. Yi(2001) An agricultural habitat indicator for wildlife. OECD Expert Meeting on Agri-Biodiversity Indicator, pp. 1-12. 

  17. Kim, W.Y., C.Y. Park and D.P. Lee(2011) Relationship between bird diversity and forest area and adjacent distance. Kor. J. Orni. 18(2): 149-1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W.S.(1998) Inhabitation status and protection discipline of wildbirds in urban area - in the case of Seoul city -. Kor. J. Env. Eco. 11(2): 240-2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Mackinnon, J. and K. Phillips(2000)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586pp. 

  20. Muller, M., R. Spaar, L. Schifferli and L. Jenni(2005) Effects of changes in farming of subalpine meadows on a grassland bird, the whinchat (Saxicola rubetra). Journal of Ornithology 146: 14-23. 

  21. Natuhara, Y. and C. Imai(1999) Prediction of species richness of breeding birds by landscape-level factors of urban woods in Osaka Prefecture, Japan.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8: 239-253. 

  22. Park, C.R. and W.S. Lee(2000)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composition and area in breeding birds of urban woods in Seoul, Kore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1: 29-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Park, C.R.(1994)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s for the inhabitation of wild birds .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 73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Part, T. and Soderstrom, B.(1999) The effects of management regimes and location in landscape on the conservation of farmland birds breeding in seminatural pastures. Biol. Conserv. 90: 113-123. 

  25. Pearson, S.M.(1993) The spatial extent and relative influence of landscape-level factors on wintering bird populations. Landscape Ecol. 8: 3-18. 

  26. Reynolds, R.T., J.M. Scott and R.A. Nussbaum(1980) A variable circular-plot method for estimating bird numbers. Condor 82: 309-313. 

  27. Schulze, C.H., M. Waltert, P.J.A. Kessler, R. Pitopang, Shahabuddin, D. Veddeler, M. Muhlenberg, S.R. Gradstein, C. Leuschner, I. Steffan-Dewenter and T. Tscharntke(2004) Biodiversity indicator groups of tropical land-use systems: Comparing plants, birds, and insects. Ecological Applications 14: 1,321-1,333. 

  28. Shannon, C.E. and W.Wea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17pp. 

  29. Soderstrom, B. and T. Part(2000) Influence of landscape scale on farmland birds breeding in seminatural pastures. Conserv. Biol. 14: 522-533. 

  30. Sorensen, T.A.(1948) A method of establishing groups of equal amplitude in plant sociology based on similarity of species content, and its application to analyses of the vegetation on Danish commons. Biologiske Skrifter 5(4): 1-34. 

  31. Tankersley, R.D.(2004)Migration of birds as an indicator of broad-scale environmental condition.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ement 94: 55-67. 

  32. Ter Braak, C.J.F.(1986)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 new eigenvector technique for multivariate direct gradient analysis. Ecology 67: 1167-1179. 

  33. Ter Braak, C.J.F.(1987) The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by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Vegetatio 69: 69-77. 

  34. Venier, L.A. and J.L. Pearce(2004) Birds as indicators of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Forestry Chronicle 80: 61-66. 

  35. Watkinson, A.R., J.A. Gill and M. Hulme(2004) Flying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a review of climate change, past, present and future. Ibis 146: 4-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