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복실에 대한 사전 정보제공과 보호자 상주 중재가 수술 직후 각성 시 소아 청소년 환아의 불안, 섬망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e-operative Visual Information and Parental Presence Intervention on Anxiety, Delirium, and Pain of Post-Operative Pediatric Patients in PACU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3, 2012년, pp.333 - 341  

유제복 (삼성서울병원 회복실) ,  김민정 (삼성서울병원 회복실) ,  조수현 (삼성서울병원 회복실) ,  신유정 (삼성서울병원 수술실) ,  김남초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pre-operative visual information and parental presence had positive effects on anxiety, delirium, and pain in pediatric patients who awoke from general anesthesia in a post-surgical stage.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 equivalent control-grou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신 마취 하에 수술을 받을 예정에 있는 소아청소년 환아를 대상으로 회복실에 대한 전반적인 시각적 정보제공과 보호자 상주가 수술 직후 각성 시 이들의 불안, 섬망 및 통증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실험 설계이다(Figure 1). 독립변수는 수술 전 회복실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시각적 정보 제공과 수술 직후 회복실에서 보호자를 상주하도록 하는 중재 프로그램이며, 종속변수는 회복실에서 발관 후 10분 간격으로 불안, 섬망 및 통증의 정도를 3회 측정하는 것이다.
  • 그러나 부인과 외래수술을 받을 환자에게 수술 전 감각 정보제공을 하여 수술 전 상태불안을 유의하게 감소시키지 못하였다는 연구 결과(Hong, 2001)도 있었는데 이는 연구대상자가 성인이라는 점과 불안 측정도구의 차이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훈련된 공동 연구자가 수술 전 정보제공 시 도구 측정방법에 대해 환아들에게 충분히 설명을 해 주고 연습을 해 보았기 때문에 학습효과로 인해 자신의 불안 정도를 잘 표현하였다. 또한 실험군에게 정보제공을 담당했던 동일한 연구자가 실험 효과를 측정하였기에 환아의 입장에서는 연구자와 낯이 익었으며, 무엇보다도 환아의 옆에 주 보호자가 상주하여 환아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하였기 때문에 실험군의 상태불안 정도가 유의하게 낮았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 마취 하에 수술을 받을 소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회복실에 대한 전반적인 시각적 정보제공과 보호자 상주라는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본 프로그램이 수술 직후 각성 시그들의 불안, 섬망 및 통증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회복실 안전을 위한 간호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술 직후 회복실에 입실예정인 소아청소년 환아들을 대상으로 수술 전에 미리 회복실의 구조, 위치 등 주로 회복실 전반에 걸쳐 시각적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더불어 회복실 보호자 상주라는 중재 프로그램을 통해 수술 직후 각성 시 이들 환아에게 나타날 수 있는 불안, 섬망 및 통증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2. 회복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보호자가 상주한 실험군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수술 직후 각성 시 섬망의 정도가 더 낮을 것이다.
  • 가설 3. 회복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보호자가 상주한 실험군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수술 직후 각성 시 통증의 정도가 더 낮을 것이다.
  • 가설 2. 회복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회복실에 보호자가 상주하는 실험군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수술 직후 각성 시 섬망의 정도가 더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신마취 상태 하에서 행하는 수술은 소아청소년에게는 어떤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가? 전신마취 상태 하에서 행하는 수술은 소아청소년에게는 매우 두려운 사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Kennedy와 Riddle(1989)가 보고한 바에 의하면, 이러한 수술을 받는 시기가 전체 입원기간 중에서 가장 무섭고 불안한 시기이었다고 수술을 받았던 환아들이 말하고 있다고 한다.
섬망이란? 또한 수술이 종료된 상황에서도 소아청소년 환아는 회복실에서 낯선 환경과 사람들에 부딪쳐야 하고, 가족과 떨어져 있어야 하며, 행해지는 치료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인해 각성 시 흥분을 하거나 흔한 부작용인 섬망 상태를 보일 수 있다(Lee, Chung, Chin, Lee, & Lee, 2007). 섬망이란 수면이나 각성 주기의 장애, 정신 운동 활동의 증가나 감소, 인지기능의 장애를 나타내는 급성 가역성 기질적인 정신 증후군으로(Roberts, 2001), 갑작스런 지남력의 저하, 대화의 전후 사이에 적절치 못한 언어를 사용하게 되고, 불안정하거나, 주변 인식력이 떨어지는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Ely, Siegel, & Inouye, 2001). 각성 시 섬망으로 인해 환아 들은 침상 내에서 뒤척이거나 안절부절 하게 되고, 불수의적인 신체활동으로 정맥 카테터가 빠지는 등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회복실에서의 환아 관리를 어렵게 한다.
수술을 앞둔 환아에게 이 시기가 무섭고 불안한 시기인 이유는 무엇인가? Kennedy와 Riddle(1989)가 보고한 바에 의하면, 이러한 수술을 받는 시기가 전체 입원기간 중에서 가장 무섭고 불안한 시기이었다고 수술을 받았던 환아들이 말하고 있다고 한다. 수술을 앞둔 환아의 경우 신체적 상해를 받아야 하고, 부모와는 떨어져 있어야 하며, 앞으로 벌어질 일에 대해서 확실히 알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그 밖에 자율성 통제나 상실감 등으로 인해 성인보다 더욱 불안을 느끼게 된다. 특히 수술 전의 불안은 수술 후의 통증을 증가시켜 활력징후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의료팀과의 원만한 인간관계의 형성을 방해하게 되어 회복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데(Lee, 2008),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실무현장에서는 진통제나 억제대가 적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 J. Y., Song, E., Kim, J. T., Kim, H. S., Kim, J. S., & Kim, S. D. (2008). Comparison of emergence agitation between sevoflurane, desflurane, and propofol with bispectral index monitoring in pediatric anesthesi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55, 161-165. 

  2. Broadman, L. M., Rice, L. J., & Hannallah, R. S. (1988). Testing the validity of an objective pain scale for infants and children. Anesthesiology, 69(3A), 770A. 

  3. Caumo, W., Broenstrub, J. C., Fialho, L., Petry, S. M., Brathwait, O., Ban deira, D., et al. (2000).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anxiety in children.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44, 782-789. http://dx.doi.org/10.1034/j.1399-6576.2000.440703.x 

  4. Cho, S. C., & Choi, J. S. (1989).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The Seoul Journal of Psychiatry, 14(3), 150-157. 

  5. Cole, J. W., Murray, D. J., McAllister, J. D., & Hirshberg, G. E. (2002). Emergence behaviour in children: Defining the incidence of excitement and agitation following anaesthesia. Paediatric Anaesthesia, 12, 442-447. http://dx.doi.org/10.1046/j.1460-9592.2002.00868.x 

  6. Deleskey, K. (2009). Family visitation in the PACU: The current state of practice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4, 81-85. http://dx.doi.org/10.1016/j.jopan.2009.01.002 

  7. Ely, E. W., Siegel, M. D., & Inouye, S. K. (2001).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 under-recognized syndrome of organ dysfunction. Seminars in Respiratory Critical Care Medicine, 22, 115-126. http://dx.doi.org/10.1055/s-2001-13826 

  8. Francis, J. (2011).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lirium and confusional state. Retrieved August 30, 2011, from http://www.uptodate.com/contents/prevention-and-treatement-of-delirium-and-confusionalstates 

  9. Hong, J. Y. (2001). Effects of sensory information on preoperative anxiety of day-case surgery pati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40, 435-442. 

  10. Im, J. H. (2003). Effect of ketorolac and fentanyl on the emergence characteristics after sevoflurane anesthesia in children undergoing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Ji, H. S. (2004). Effects of visual information program on the easing of anxiety of pediatric patients and their par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12. Kamerling, S. N., Lawler, L. C., Lynch, M., & Schwartz, A. J. (2008). Family-centered care in the pediatric post anesthesia care unit: Changing practice to promote parental visitation.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3, 5-16. http://dx.doi.org/10.1016/j.jopan.2007.09.011 

  13. Kennedy, C. M., & Riddle, I. I. (1989). The influence of the timing of preparation on the anxiety of preschool children experiencing surgery. Maternal-Child Nursing Journal, 18, 117-132. 

  14. Kim, Y. H., & Lee, H. Z. (2002). The effects of informational intervention on postoperative pain following tonsillectomy in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8, 400-413. 

  15. Koo, H. Y., Cho, Y. J., Kim, O. H., & Park, H. R. (2007). The effects of information using photographs on preoperative anxiety in children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 273-281. 

  16. Lee, S. C., Chung, C. J., Chin, Y. J., Lee, S. I., & Lee, J. H. (2007). The effects of anesthetic agents on emergence delirium in pediatrics strabismus surger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 52, 138-142. http://dx.doi.org/10.4097/kjae.2007.52.2.138 

  17. Lee, S. H., Chung, K. W., & Park, I. O. (2001). Effects of preoperative nursing information on anxiety and stress in patients undergoing surgery. Korean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9(1), 99-111. 

  18. Lee, M. H., (2008). The effects of visual information program on anxiety and role behaviour of pediatric tonsillectomy patients and their mot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9. McCaffery, M. (1979). Nursing management of patient with pain. Philadelphia: Lippincott. 

  20. O'Kelly, S. W., Voepel-Lewis, T., & Tait, A. R. (1997). Postoperative behavior and emergence delirium in pediatric patients: A prospective study. Anesthesiology, 87, A1060. 

  21. Paik, H. J., & Ahn, Y. M. (2000). Measurement of pain following strabismus surgery in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41, 985-992. 

  22. Potts, N. L., & Mandleco, B. L. (2002). Pediatric nursing: Caring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New York: Delmar. 

  23. Roberts, B. L. (2001). Managing delirium in adult intensive care patient. Critical Care Nurse 21, 48-55. 

  24. Sikich, N., & Lerman, J. (2004).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pediatric anesthesia emergence delirium scale. Anesthesiology, 100, 1138-1145. 

  25. Suh, H. J., & Yoo, Y. S. (2007).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nursing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delirium.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 55-65. 

  26. Vlajkovic, G. P., & Sindjelic, R. P. (2007). Emergence delirium in children: Many questions, few answers. Anesthesia & Analgesia, 104, 84-91. http://dx.doi.org/10.1213/01.ane.0000250914.91881.a8 

  27. Yoon, H. B., & Cho, K. J. (2000). A survey on the nonpharmacologic nurs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in pa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6, 144-157. 

  28. Yoon, J. R., Kim, T. K., Yoon, S. J., Kim, Y. S., Kim, S. H., Kim, M. G., et al. (2004). Severe postoperative delirium lasting for three weeks. The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19, 42-46. 

  29. Yu, M. Y., Park, J. W., Hyun, M. S., & Lee, Y. J. (2008). Factors related to delirium occurrence among the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 151-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