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대상의 개인별 건강상담서비스 프로그램 중재 효과: 건강원스톱서비스 사업
Effects of an Individual Health Counseling Program for Community: Health One-stop Service Program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9 no.2, 2012년, pp.13 - 21  

김현 (충남건강증진사업지원단) ,  이석구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community-level individual health counseling program for community. Methods: Data included baseline demographics, blood pressure, blood sugar, waist circumference, total cholesterol and health behavior index(body mass index, dietary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육이 보편적 접근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다루는 내용도 보편적인 내용과 보편적인 수준으로 구성되고 교육 대상 모두에게 전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행태변화를 유도하여 개별화 정도는 높지 않은 반면 건강상담은 대상 규모는 제한적이지만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건강행태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접근이 가능하여 맞춤형 행태변화 유도에 대한 개별화 정도가 높다(MHW, 2009). 따라서 보건복지부는 건강원스톱 서비스의 대상을 9개의 군 분류 후 건강행태의 개선의지가 있는 (나)군과 (다)군으로 대상을 선정하였으며 이는 개인별 건강상담의 기획 취지를 살리고 사업의 효과를 높이려는 목적이었다.
  • 외국의 선행연구는 HIV나 근골격계 문제를 가진 환자 등 질환자를 대상으로 교육이나 상담의 중재효과를 고찰한 연구가 많았으며, 대부분의 연구가 임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국내 지역사회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개인별 건강상담서비스의 효과 검증 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하며 지역사회 대상자에게 6단계의 개인별 건강상담서비스 프로그램(건강원스톱서비스)을 수행 한 후 그 중재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 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수행된 개인별 건강상담서비스인 건강원스톱서비스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 6단계의 개인별 건강상담서비스 중재 후 건강위험군은 기초 검사 중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총콜레스테롤, 복부둘레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고 질환관리군은 기초검사 중 총콜레스테롤, 복부둘레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 설문도구는 건강증진 행위 변화를 보기 위한 보건소 건강증진 사업 전 후의 설문지 및 건강측정지표를 보기 위한 기초검사로 하였다. 사업 후 평가는 6회의 상담 중재를 모두 마친 후의 중간평가를 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원스톱서비스 사업을 도입한 취지는 무엇인가? 이에 보건복지부는 2011년부터 기존의 집단 대상의 건강생활양식 개선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추가하여 개인별 건강상담프로그램인 건강원스톱서비스 사업을 도입하였다(MHW, 2011). 이는 예방 중심의 포괄적인 국가 건강증진사업을 통한 국민의 건강수준 향상을 목적으로 지역 주민의 건강현황을 파악하고,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통합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주민의 건강행태 개선을 유도하고, 개인의 건강생활실천의지를 향상하고자 하는 취지이다. 기존의 집단교육이 행태학적 접근으로 집단을 대상으로 2회-5회의 반복교육이나 1회성 교육을 제공한 것과 달리, 건강원스톱서비스는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의학적 접근에서 기획 되었다(MHW, 2011).
건강증진은 어떠한 측면의 전략으로 구성되는가? 건강증진 자체가 건강한 삶을 성취하기 위해 동원하는 통합적인 전략임을 이해할 때 건강증진은 크게 두 영역의 전략 즉 ‘교육’과 ‘환경’ 측면의 전략으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 광의의 ‘교육’ 전략은 다시 집단 중심의 ‘교육’과 개인 중심의 ‘상담’으로 세분화된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HW], 2009). 이 중 보건복지부의 교육 영역 사업은 보건소의 대상자 중심의 건강생활실천통합서비스 사업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집단 대상의 반복교육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보건소에서 지원하고 있는 건강생활실천사업은 어떠한 평가를 받았는가? 이 중 보건복지부의 교육 영역 사업은 보건소의 대상자 중심의 건강생활실천통합서비스 사업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집단 대상의 반복교육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보건소에서 지원하고 있는 건강생활실천사업은 영양, 운동, 비만, 절주, 금연 등 각각의 프로그램과 관리조직을 갖고 있으나 대상자 개개인 특성에 맞는 포괄적 접근이 어려워 효과를 거두기 어려웠으며 대중적, 집단적인 매개체를 통한 건강교육으로 그 실효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았다(Lee, 2011). 따라서 보건소 내소자에 대한 건강수준이나 건강불균형 정도에 따라 영양, 운동, 비만, 절주, 금연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통합하여 제공하고 건강생활실천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제고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anuto, K. J., McDermot, R. A., Cargo, M., & Esterman, A. J. (2011). Study protocol: a pragmatic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a 12-week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overweight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women. BMC Public Health, 11, 655. 

  2. Carroll, J. K., Antognoli, E., & Flocke, S. A. (2011). Evaluation of physical activity counseling in primary care using direct observation of the 5As. Annals of Family Medicine, 9(5), 416-422. 

  3. Chang, S. O., Kim, E. J., Kil, S. Y., Seomun, G. A., & Lee, S. J. (2005). Influential variables on intention and action to quit smoking between adolescent smokers and adult smokers-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410-1419. 

  4. Choi, E. J. (2001).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health education materials in community setting. Seoul,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5. Dansinger, M. L., Tatsioni, A., Wong, J. B., Chung, M., & Balk, E. M. (2007). The effect of dietary counseling for weight loss. Annals Internal Medicine, 147(1), 41-50. 

  6. Dubbert, P. M., Cooper, K. M., Kirchner, K. A., Meydrech, E. F., & Bilbrew, D. (2002). Effects of nurse counseling on walking for exercise in elderly primary care patien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57(11), 733-740. 

  7. Eyles, H., & Ni Mhurchu, C. (2011). Tailored nutrition education: is it really effective? Public Health Nutrition, Oct(11), 1-6. 

  8. Ferrini, R. L., Edelstein, S., & Barrett-Connor, E. (1994).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 change in older adults. Preventive Medicine, 23(1), 1-5. 

  9. Fortier, M. S., Hogg, W., O'Sullivan, T. L., Blanchard, C., Sigal, R. J., Reid, R, D., . . . Culvera, D. (2011). Impact of integrating a physical activity counsellor into the primary health care team: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outcomes of the Physical Activity Counsell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pplied Physiology Nutrition Metabolism, 36(4), 503-514. 

  10. Kang, K. J., & Song, M. S.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otivational enhancement therapy for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2), 5-16. 

  11. Kang, M. W., & Jegal, J. (2009). The effect of applying the sobriety program in a workplace.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5, 81-82. 

  12. Kim, E. J., & Hwang, H. J. (2010).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f overweight or obese female adults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9(1), 78-84. 

  13. Kim, H. K. (2002). The use of health behavior theory for effective health counse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1), 149-170. 

  14. Kim, H. S., Yoon, S. J., Lee, K. S., Kim, H. S., Oh, S. W., Ryu, H. S., . . . Park, D. R. (2011). Effects of a self-management program for metabolic syndrome - A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in Seou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2), 51-62. 

  15. Kim, M., Suh, H. K., Suh, M. K., & Kim, Y. B. (2001). Health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Seoul, Korea: Gyechuk MunHwaSa. 

  16. Kim, S. Y. J., Nam, K. A., Seo., M. A., & Park, J. (2001). The effects of group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smoking cessation behavior, stress, depression, self-esteem, and assertive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s, 10(2), 164-175. 

  17. Kim, T. Y., & Suh, M. O. (2008).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weight control in male workers by the community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Diet Association, 14(4), 351-360. 

  18. Lee, M. S., Kang, H. J., Oh, Y. M., Paek, Y. M., Park, Y. K., & Choi, T. I. (2008). Effects of worksite nutrition counseling for health promotion; twelve-weeks of nutrition counseling has positive effect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male worker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3(1), 46-61. 

  19. Lee, S. Y. (2011). Change of health promotion and policy prospect in 2011. Paper presented at the Health and Welfare Forum, 171(1), 24-31.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Handbook of health promotion. Seoul, Korea: Author.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Handbook of health promotion. Seoul, Korea: Author.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Guideline of health promotion for community. Seoul, Korea: Author. 

  23. Moore, T. J., Alsabeech, N., Apovian, C. M., Murphy, M. C., Coffman, G. A., Cullum-Dugan, D., . . . Cabral, H. (2008). Weight, blood pressure, and dietary benefits after 12 months ofa web-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0(4): e52. 

  24. Prochaska, J. O., & Velicer, W. F. (1997).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health behavior change.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2(1), 34-48. 

  25. Rasinaho, M., Hirvensalo, M., Tormakangas, T., Leinonen, R., Lintunen, T., & Rantanen, T. (2011). Effect of physical activity counseling on physical activity of older people in Finland.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Advanced online publication. doi: 10.1093/heapro/dar057 

  26. Son, M. S., & Kim, M. J. (2001).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various chronic disease in elderly visiting public health center. Korea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6(4), 668-6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