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교 음주관련 정책 환경이 대학생 음주문제에 미친 영향
Effects of Polic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on Drinking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9 no.2, 2012년, pp.83 - 91  

김광기 (인제대학원대학교, 알코올 및 도박문제연구소) ,  제갈정 (인제대학원대학교, 알코올 및 도박문제연구소) ,  이기일 (인제대학교대학원) ,  박정은 (인제대학원대학교, 알코올 및 도박문제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amine that drinking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were accounted for not only by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alcohol polic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in which students were enrolled. Method: Secondary data analysis was emplo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 음주문제가 개인적 특성뿐만 아니라 대학교의 정책과 환경 특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입증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학생의 음주행동과 음주문제는 개인적 특성뿐만 아니라 학교의 환경적 특성(Beck, Thombs, Mahoney & Fingar, 1995; Thombs, Wolcott, & Farkash, 1997)과 조직적 특성(Presley, Meilman, Leichliter, 2002), 정책(Toomey & Wagenaar, 2007), 대학교가 위치한 지역사회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Wechsler et al.
  • 이는 개인의 음주 문제가 학교라는 조직의 환경적 특성이 가진 맥락(context) 속에서 결정된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분석 자료의 부족과 같은 방법론적 한계 때문이라 할 수 있다(Lee, 2010).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위계적 성격의 자료를 활용하여 다수준분석을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음주문제가 개인 특성뿐만 아니라 대학교의 음주관련 정책과 환경 특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에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에서 실시한 “전국 대학생 음주실태” 자료를 활용하여 이차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개인적 수준에서의 연구와 조직 환경적 수준들의 연구들을 통합하여 대학생의 음주문제가 개인적 특성뿐만 아니라 대학교의 정책과 환경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다수준분석을 통해 입증하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이 경험하는 음주문제는 어떻게 구분 할 수 있는가? 대학생이 경험하는 음주문제는 음주자 자신에게 미치는것,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것과 대학교에 미치는 것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Perkins, 2002). 음주자 자신이 경험할 수 있는 문제에는 학교성적 부진, 기억상실(blackout), 예상치 못한 사고나 사망, 급성 및 만성질환, 예상치 못한 성적 접촉, 자살, 성폭력의 희생자, 음주운전, 범법행동, 운동능력 상실 등이 있으며, 음주자가 아닌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재산 손실, 대인 폭력, 성폭력 가해, 분노 표출로 인한 싸움과 소란 등을 들 수 있다.
음주자 자신이 경험할 수 있는 문제로 무엇이 있는가? 대학생이 경험하는 음주문제는 음주자 자신에게 미치는것,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것과 대학교에 미치는 것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Perkins, 2002). 음주자 자신이 경험할 수 있는 문제에는 학교성적 부진, 기억상실(blackout), 예상치 못한 사고나 사망, 급성 및 만성질환, 예상치 못한 성적 접촉, 자살, 성폭력의 희생자, 음주운전, 범법행동, 운동능력 상실 등이 있으며, 음주자가 아닌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재산 손실, 대인 폭력, 성폭력 가해, 분노 표출로 인한 싸움과 소란 등을 들 수 있다. 대학교에 미치는 문제에는 학교기물 파손, 학생 음주와 관련된 사고에서 비롯되는 학교 이미지 손상, 기물 파손을 처리하기 위한 인력과 시간 소모로 인한 것 등이 있으며, 교내 행사로 인해 음주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학에 법적 책임이 제기되어 소송 경비가 소요될 수도 있다.
대학교의 음주관련 정책과 환경 특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규명하기 위하여 63개 대학교의 대학당국자와 그 학교 재학생 3,665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자료를 다수준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 한 결과는? 연구결과 대학생의 음주문제수준은 대학생 개인 특성뿐만 아니라 대학생이 속해 있는 학교의 정책과 환경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학생 음주문제수준은 대학생의 개인수준 특성인 성, 부모의 통제 정도, 용돈, 참여 동아리 수, 음주기대,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규범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학교수준 특성은 교내에서의 주류 이용가능성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ck, K. H., Thombs, D. L., Mahoney, C. A., & Fingar, K. M. (1995). Social context and sensation seeking: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 drinking motiv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Addiction, 30, 1101-1115. 

  2. Carter, A. C., Brandon, K. O., & Goldman, M. S. (2010). The college and noncollege experience: a review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drinking behavior in young adulthood.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Drugs, 71(5), 742-50. 

  3. Cashin, J. R., Presley, C. A., & Meilman, P. W. (1998). Alcohol use in the Greek system: Follow the leader?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9, 63-70. 

  4. Cho, S. G., Jang, S. O., Youn, H. M., Lee, H. K., Choi, H. S., & Jekarl, J. (2001). National survey on alcohol use and abuse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Seoul, Korea: The Korean Alcohol Research Foundation. 

  5. Chun, S. S., Song, C. H., Lee, J. Y., Lee, Y. P., Cheong., J. H., Park., J. S., . . . Youn, E. S. (2002). Operation and evaluation of prevention programs for problem drinking in the university.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3(1), 53-86. 

  6. Cooper, M. L., Russell, M., & Skinner, J. B. (1992). Coping expectancies and alcohol abuse A test of social learning formulation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1, 139-152. 

  7. Evans, D. M., & Dunn, N. J. (1995). Alcohol expectancies, coping responses, and self efficacy judgment: A replication and extension of Cooper et al.'s 1988 study in a college sample. Journal of Studies of Alcohol, 56(2), 186-193. 

  8. Fager, J. H., & Melnyk, M. (2004).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studies to decrease alcohol use in college undergraduate students: An integrative analysis.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1(2), 102-119. 

  9. Heck, R., & Thomas, S. (2009) An introduction to multilevel modeling techniques (2nd ed). New York, NY: Routledge. 

  10. Jang, S. O. (1998). A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flushing response and alcohol us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 Social Work, 5, 67-84. 

  11. Kim, K. K., Choi, S. H., & Bang, H. A. (2005). A survey on drinking behavior among employees and alcohol-related environment in workplace in Seoul. Seoul, Korea: Inje University Center for Alcohol Studies. 

  12. Kim, K. K., Jang, S. O., Jekarl, J. (2006). Effect of environmental correlates on alcohol- related problems among colle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3(3), 65-83. 

  13. Kim, K. K., Kim, Y. R. & Yoo, S. Y. (2008). 2008 survey on drink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in Suwon. Seoul, Korea: Inje University Center for Alcohol Studies. 

  14. Kim, D. H., & Jekarl, J. (2008). A survey on drinking behavior of Koreans. Gyeonggido, Korea: The Korean Alcohol Research Foundation. 

  15. Lee, J. H., Jekarl, J., & Kim, D. H. (2010). National survey on drink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Gyeonggido, Korea: The Korean Alcohol Research Foundation. 

  16. Lee, K. I. (2010).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on student's drinking behavior and alcohol related problems. (Unpublished doctorate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Korea. 

  17. Martin, C. M., & Hoffman, M. A. (1993). Alcohol expectancies, living environment, peer influence, and gender: A model of collegestudent drinking controversy. Behavior Therapy, 24, 461-504. 

  18. Park, J. S. (2000).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6(4), 393-413. 

  19. Perkins, H. W. (2002). Surveying the damage: a review of research on consequences of alcohol misuse in college population.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supplement 14, 91-100. 

  20. Presley, C. A., Meilman, P. W., & Leichliter, J. S. (2002). College factors that influence drinking.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supplement 14, 82-90. 

  21. Sher, K. J., Wood, M. D., Wood, P. K., & Raskin, G. (1996). Alcohol outcome expectancies and alcohol use: a latent variable crosslagged panel stud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5(4), 561-574. 

  22. Shin, H. W.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motives and drinking problem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Social Issuses, 15(1), 93-109. 

  23. Stokols, D. (1996). Translating social ecological theory into guidelines for community health promotion.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0, 282-298. 

  24. Thombs, D. L., Wolcott, B. J., & Farkash, L. G. (1997). Social context, perceived norms and drinking behavior in young people. Journal of Substance Abuse, 9, 257-267. 

  25. Toomey, T. L., & Wagenaar, A. C. (2002). Environmental policies to reduce college drinking: Options and research finding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supplement 14, 193-205. 

  26. Toomey, T. L., & Wagenaar, A. C. (2007). Environmental policies to reduce college drinking: An update of research finding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68, 208-219. 

  27. Wechsler, H., Lee, J. E., Kuo, M., Seibring, M., Nelson, T. F., & Lee, H. (2002). Trends in college binge drinking during a period of increased prevention efforts: Findings from the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College Alcohol Study Surveys: 1993-2001.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0(5), 203-217. 

  28. Werner, M. J., Walker, L. S., & Greene, J. W. (1995). Relation of alcohol expectancies to changes in problem drinking among college student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49, 733-739.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