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용 식물 추출물, 아미노산, 비타민 복합제의 탈모 개선 효과 평가를 위한 인체적용시험
An assessment of hair loss ameliorating effect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mino acid and vitamin complex in human subject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1 no.3, 2012년, pp.587 - 596  

오현지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박형국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이선영 (충남대학교 식품 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opecia is usually presented as patchy, no scarring hair loss. It seems to be a hormonal imbalance or an immune mediated disease, whereas genetic predisposition,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may be involved in its etiology. Many treatments of alopecia disease have been widely applied, 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시험에서는 탈모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는 물질들을 조합하여 시제품을 만들어 성인을 대상으로 그 효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러한 인체 대상 평가를 통해 추후 탈모 방지를 위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필요한 인체 시험 설계에 도움이 되며, 정확한 효능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부작용이 적고 안전한 탈모 개선용 보조제의 개발을 위하여 식용 가능한 측백엽, 적하수오 등 천연물과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을 조합하여 시제품을 제조하였다. 본 시제품을 구성하는 측백엽은 측백나무(Thujaeoccidentalis)의 잎으로, Park et al.
  • 하지만 근거 없는 사례 정보나 전문가에 의한 치료가 아닌 무분별한 시술로 인해 부작용이 나타날 위험도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편리하게 섭취하면서 탈모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제를 제조하여 인체에 대한 효능과 안전성을 함께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주관적 탈모증상을 호소하는 20대~50대 사이의 평가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피험자들의 탈모 유형은 피험자 별로 남성 기준의 Norwood 분류법과 여성 기준의 Ludwig의 분류법을 참조로 하여 Norwood 분류법 상 Ⅱ형 이하, Ludwig 분류법 상 Ⅰ형 이하의 피험자들만 대상으로 평가하였다(Norwood, 1975; Ludwig, 1977).
  • 사전 평가에서는 섭취 후 매 개월마다 피험자들의 주관적인 설문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본 시제품 섭취 2개월 후부터 피험자들이 탈모 증상의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긍정적으로 답변한 비율이 크게 증가했다. 예비 평가의 결과에 따라 본 시제품의 효능에 대한 재현성을 확인하고, 탈락 모발 수와 모발 두께 측정을 통해 객관적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해 새로운 피험자의 추가 모집을 통한 본 평가를 시행하였다. 본 평가에서도 섭취 후 1개월 뒤에는 피험자들의 설문조사나 머리를 감은 후 탈락 모발 개수를 세는 세발실험에서 시제품 섭취 전과 비교했을 때 유의할 만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발에 대한 자연스러운 노화과정은? 모발은 인간의 외모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서 개개인의 신체 상태와 병변 상태를 함께 나타낸다. 젊은이의 정상적인 모발은 건강하지만,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탈모가 진행되거나 백모가 늘어나는 현상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Ashrafuzzaman et al., 2010).
모발이란? 모발은 인간의 외모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서 개개인의 신체 상태와 병변 상태를 함께 나타낸다. 젊은이의 정상적인 모발은 건강하지만,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탈모가 진행되거나 백모가 늘어나는 현상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Ashrafuzzaman et al.
탈모 증상의 치료 방법 중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은? 이러한 탈모 증상의 치료 방법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치료로는 약물 복용 또는 도포 요법, 광선 치료, 면역 치료, 모발 이식술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으로는 첫 번째로 스테로이드를 국소 도포 하는 방법과 전신적으로 스테로이드를 복용하는 방법이 있고(Rocha et al., 2011),다음으로는 finasteride 또는 dutasteride의 약물을 복용하거나 minoxidil을 두피에 도포하는 치료가 있다(Alkhalifah et al, 2010). Finasteride또는 dutasteride는 남성 호르몬 testosterone 을 활성형 호르몬 dihydrotestosterone으로 전환시키는 5a-reductase를 억제함으로써 탈모 증상 치료에 도움을 준다(Stough, 2007; D’Amico & Roehrborn,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lkhalifah, A., Alsantali, A., Wang, E., McElwee, K. J., & Shapiro, J. (2010). Alopecia areata update Part II. Treatment.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62(2),191-202. 

  2. Ashrafuzzaman, Md., Yamamoto, T., Shibata, N., Hirayama, T. T., & Kobayashi, M. (2010). Potential involvement of the stem cell factor receptor c-kit in alopecia areata and androgenetic alopecia: Histopath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semicquantitative investigation. The Japan Society of Histochemistry and Cytochemicstry, 43(1),9-17. 

  3. Bostelmann, H. C., Bodeker, R. H., Dames, W., Henneicke-von, Zeplin. H. H., Siegers, C. P., & Stammwitz, U. (2002). Immunomodulation durch pflanzliche Wirkstoffe. Fortschritteder Medizin, 120(4),119-123. 

  4. D'Agostini, F., Fiallo, P., Pennisi, T. M., & Flora, S. D. (2007). Chemoprevention of smoke-induced alopecia in mice by oral administration of L-cystine and vitamin $B_6$ .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46(3),189-198. 

  5. D'Amico, A. V. & Roehrborn, C. G. (2007). Effect of 1 mg/day finasteride on concentrations of serum prostate-specific antigen in men with androgenic alopec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oncology, 8(1),21-25. 

  6. Fujimoto, W., Inaoki, M., Fukui, T., Inoue, Y., & Kuhara, T. (2005). Biotin deficiency in an infant fed with amino acid formula. Journal of Dermatology, 32(4),256-261. 

  7. Hertel, H., Gollnick, H., Matthies, C., Baumann, I., & Orfanos, C. E. (1989). Low dosage retinol and L-cystine combination improve alopecia of the diffuse type following long-term oral administration, Hautarzt, 40(8),490-495. 

  8. Jiang, Z. X., Long, M., Tu, Z., Yang, G., & He, G. (2009). 2,3,5,4' tetrahydroxystilbene-2-O-beta-glucoside(THSG) induced melanogenesis in B16 cells by MAP kinase activation and tyrosinase upregulation. Life Science, 85(9-10),345-350. 

  9. Kang, H. J., Kang, S. H., Lee, S. S., Cho, S, H., & Park, S. W. (2004). A clinical study of androgenetic alopecia.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42(11),1431-1439. 

  10. Kim, M. Y., & An, B. J. (2004). A study of hair loss prevention and hair growth promotion by Korean traditional formula. Korean Journal of Herbology, 19(2),9-20. 

  11. Lee, K. H., & Lee, H. J. (2000). An analysis of psychiatric characteristics of the alopecia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alopecia areata and alopecia totali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539-555. 

  12. Lee, M. S. (2005). An investigation into actual management of hair loss and hair losing customers' satisfaction with it in a scalp clinic -centering on eight scalp clinics in Seoul. Unpublished master thesis. Hansung University, Korea 

  13. Lucky, A. W., Piacquadio, D. J., Ditre, C. M., Dunlap, F., Kantor, I., & Pandya, A. G. (2007).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5% and 2% topical minoxidil solutions in the treatment of female pattern hair loss. Journal of America Academy Dermatology, 50(4),541-553. 

  14. Ludwig, G. (1977).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androgenetic alopecia (common baldness) occurring in the female sex.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97(3),247-254. 

  15. Naser, B., Bodinet, C., Tegtmeier, M., & Lindequist, U. (2005). Thujaoccidentalis(Arborvitae): A review of its pharmaceutical,pharmacological and clinical properties. Evidence 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1),69-78. 

  16. Naser, B., Lund, E., Heinneicke-von, Zepelin, H. H., Kohler, G., Lehmacher, W., & Scaglione, F. (2002).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dose-reponse trial of an extract of Baptisia/Echincea and Thuja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ommon cold. Phytomedicine, 12(10),715-722. 

  17. Norwood, OT. (1975). Male pattern baldness: classification and incidence. South Medicine Journal, 68(11),1359-1365. 

  18. Manns, M. P., & Strassburg, C. P. (2011). Therapeutic strategies for autoimmune hepatitis. Digestive Diseases, 29(4),411-415. 

  19. Marshall, R. C., Orwin, D. F., & Gillespie, J, M. (1991). Structure and biochemistry of mammalian hard keratin. Electron Microscopy Reviews, 4(1),47-83. 

  20. Park, H. J., Zhang, N., & Park, D. K. (2011). Topical application of Polygonummultiflorum extractinduceshairgrowthofrestinghairfolliclesthrou ghupregulatingShhandb-catenin expression in C57BL/6 mic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35(2),369-375. 

  21. Park, W. S., Lee, C. H., Lee, B. G., & Chang, I, S. (2002). The extract of Thujaeoccidentalis semen5a-reductase and androchronogenetic alopecia of B6CBAF1 /j hybrid mouse.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31(2),91-98. 

  22. Petri. H., Pierchalla. P., & Tronnier. H. (1990). Efficacy of a pharmacotherapy in diffuse effluvium capillorum and structural alterations of hair. Schweiz. Rundschau Med 79(47), 1457-1462. 

  23. Rocha, J., Ventura, F., Vieira, A. P., Pinheiro, A. R., Femandes, S., & Brtito, C. (2011). Alopecia areata: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paediatric dermatology department(2000-2008). Acta Medica Portuguesa, 24(2),207-214. 

  24. Stough, D. (2007). Dutaseride improves male pattern hair loss in a randomized study in identical twins. Journal of Cosmetic Dermatology, 6(1),9-13. 

  25. Tak, M. J., Jung, I. K., Kim, D. K., Jung, H. S., & Lee, C. H. (2007). Influence of extracts of Biotae Orientalison the efficiency of hair grow thin hair removed C57BL/ 6Nmice.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Pathology, 21(1),136-144. 

  26. Traish, A. M., Hassani, J., Guay, A. T., Zitzmann, M., & Hansen, M. L. (2011). Adverse side effects of 5 $\alpha$ -reductase inhibitors therapy: Persistent diminished libido and erectile dysfunction and depression in a subset of patients. Journal of sexual medicine, 8(3),872-884. 

  27. Yoo, J. H., Eun, H. C., Kim, K. J., & Moon, S. E. (1995). The prevalence and types of androgenetic alopecia in Korean.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33(1),67-75. 

  28. Kim, D. K. (2002). The textbook of pharmacognosy. Seoul: Dong-myong. 

  29.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0). Clinical test guidelines for the hair growth medication. Seoul: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30.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9). Guidlines for the efficacy test of hair growth agents. Seoul: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3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0). Guidebook for appropriate usage of drugs on pregnant women. Seoul: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32.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9). National survey of medical expenditure of patients with medical health insurance in 2009.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