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환자의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이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mpact of Uncertainty on Resilience in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Asian Oncology Nursing, v.12 no.2, 2012년, pp.139 - 146  

차경숙 (가천대학교 길병원) ,  김경희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impact of uncertainty degree and uncertainty appraisal on cancer patients resilience. Methods: A sample of 181 patients with cancer was recruited from a hospital in Incheon.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0 to August 25, 2011. Data were analyzed us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암환자의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과 극복력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암환자의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이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위암, 대장암, 폐암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암환자의 불확실성과 극복력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인과관계성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11년 5월 10일부터 8월 25일 사이에 인천 소재 G병원에서 폐암, 위암, 대장암 진단을 받고 혈액종양 내과에서 치료 과정 중이거나 추적 치료를 받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암 환자 181명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암환자의 불확실성과 극복력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암환자의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이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임을 규명하여, 암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 적응을 도와주는 극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간호중재안을 개발하는 데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의 정의는? 불확실성은 질병과 관련된 상황의 의미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고 느끼는 지각으로서,21) 본 연구에서는 Mishel21)이 개발한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 측정도구 MUIS(The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를 Chung 등22)이 국문 번역한 도구로서, 애매모호성, 복잡성, 불예측성, 불일치성 등 4개 영역으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불확실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암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불편감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암환자들은 장기간에 걸친 치료 과정에서 신체 기능의 손상, 조절되지 않는 통증 및 병변부위에 따라 연하곤란이나 호흡곤란 등의 신체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절망감, 무력감, 상황에 대한 통제력 상실 등의 심리적, 사회적 어려움을 겪는다.3) 이러한 암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불편감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면서 질병회복 과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 질병에 대한 극복력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극복력은 스트레스의 부정적 효과를 중재하고 적응을 증진시키는 정서적 활기 또는 긍정적 성격 특성이다.23) 본 연구에서는 Wagnild와 Young23)이 개발한 극복력 측정도구를 Song24)이 번역, 수정한 도구로서, 개인의 내적 특성, 자신과 삶의 수용성에 대해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National Cancer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0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2. Vargens OM, Bertero CM. Living with breast cancer: its effect on the life situation and the close relationship of women in Brazil. Cancer Nurs 2007;30:471-8. 

  3. Kim YJ, Lee KJ.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and meaning of life to suicidal thoughts in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Nurs 2010;40:524-32. 

  4. Cappiello M, Cunningham RS, Knobf MT, Erdos D. Breast cancer survivors: information and support after treatment. Clin Nurs Res 2007;16: 278-93. 

  5. Koo BJ.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longotherapy-based resilience promotion program for gynecologic cancer women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2008. 

  6. Haase JE. The adolescent resilience model as a guide to intervensions. J Pediatr Oncol Nurs 2004;21:289-99. 

  7. Kinsel B. Resilience as adaptation in older women. J Women Aging 2005; 17(3):23-39. 

  8. Sammarco A, Konecny LM. Quality of life, social support, and uncertainty among Latina breast cancer survivors. Oncol Nurs Forum 2008; 35:844-9. 

  9. Yang NY, Kim MJ. Concept analysis of uncertainity related to illness. J Korean Gerontol Nurs 2002;4:187-94. 

  10. Mishel MH, Sorenson DS. Uncertainty and gynecological cancer: a test of the mediating function of mastery and coping. Nurs Res 1991;40:67-171. 

  11. Lee EK, Ryu EJ, Kim KH. Structual equation modeling on adjustment of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J Korean Oncol Nurs 2011; 11:101-7. 

  12. Ahn HJ, Tae YS, Han YI.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health and uncertainty in cancer patients having chemotherapy. J Korean Oncol Nurs 2007;7:107-18. 

  13. Lee MS. A study on uncertainty and nursing need of cancer patients according to the phases of illness [dissertation]. Daegu:Kyungpook National Univ.;2005. 

  14. Lee IS. Uncertainty, appraisal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cross treatment phases [dissertation]. Seoul:Yonsei Univ.;2005. 

  15. Hong SK. Concept development of resilience: focusing on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09;15:109-19. 

  16. Jean YE. Resilience on the therapeutic process of cancer patients who receive chemotherapy [dissertation]. Seoul:Korea Univ.;2008. 

  17. Tegner I, Fox J, Philipp R, Thorne P. Evaluating the use of poetry to improve well-being and emotional resilience in cancer patients. J Poetry Ther 2009;22:121-31. 

  18. Sammarco A. Perceived social support, uncertainty, and quality of life of younger breast cancer survivors. Cancer Nurs 2001;24:212-9. 

  19. Yoo KH. An exploratory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adaptation to uncertainty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J Rheumatol Health 2001;8: 230-49. 

  20. Yoo KH. A correlational study on uncertainty, mastery and appraisal of uncertainty in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J Korean Acad Nurs 2007; 37:594-602. 

  21. Mishel MH. Uncertainty in illness. Image J Nurs Sch 1988;20:225-32. 

  22. Chung CW, Kim MJ, Rhee MH, Do HG. Functional statu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5;11:58-66. 

  23. Wagnild GM, Young HM.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resilience scale. J Nurs Meas 1993;1:165-78. 

  24. Song YS. Determinants of resilience of the physically disabled at home [dissertation]. Busan:Kosin Univ.;2004. 

  25. Cohen C.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992;112:155-9. 

  26. Koo JY. Uncertainty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with colorectal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Seoul:Yonsei Univ.;2008. 

  27. Kim SE. The influence of preoperative uncertainty upon anxiety [dissertation]. Seoul:Hanyang Univ.;2006. 

  28. Mishel MH. Perceived uncertainty and stress in illness. Res Nurs Health 1984;7:163-71. 

  29. Lee MJ. Uncertainty, appraisal of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recovering clients discharged from hospital after CABG [dissertation]. Seoul:Ewha Womans Univ.;2009. 

  30. Han MR. Resilience, social support, spirituality in wives of alcoholics. [dissertation]. Seoul:Yonsei Univ.;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