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강세구 실현양상과 오류진단 및 교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tection and the Correction of Prosodic Errors Produced by Chinese Korean-Learner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4 no.2, 2012년, pp.51 - 59  

윤영숙 (경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itch pattern of Korean accentual phrases produced by Chinese Korean-learners in the reading of a Korean text. Korean accentual phrase is determined by a specific F0 contour. And the pitch contour of APs differ depending on their length and the nature of 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어의 음운론적 기능 제한은 한국어 학습자에게 어떤 요인이 될 수 있는가? 이는 강세구억양이 음운론적 층위가 아닌 음성학적 층위에서 실현되어 의미변화에 관여하지 않으므로 보다 자유로운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2) 이러한 음운론적 기능 제한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강세구 억양의 인지와 생성에 어려움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강세구 억양이 음운론적 제한을 받지 않는다고 해도 모국어화자에게 수용 가능한 억양형태는 이미 문법적으로 제한되어 있을 것이다.
강세구란 무엇이며, 어떻게 실현되는가? 강세구는 억양구와 더불어 한국어 억양체계의 근간을 이루는 운율단위로 특정한 피치패턴에 의해 실현된다. 강세구의 피치패턴에 관해서는 여러 논의가 있지만 그 중 Jun(1993, 2000)과 이호영(2003)의 논의가 대표적이다.
한국어 억양체계에서 억양목록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는 이유는? 이처럼 한국어 억양체계에서 강세구의 역할은 정립되어 있지만 그 억양목록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이는 강세구억양이 음운론적 층위가 아닌 음성학적 층위에서 실현되어 의미변화에 관여하지 않으므로 보다 자유로운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2) 이러한 음운론적 기능 제한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강세구 억양의 인지와 생성에 어려움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Hwang, H. S. (2006). An analysing and a strategy on the prosody realization of Chinese, New Korean Education, Vol. 73. 285-317. (황현숙 (2006). 중국인의 문미 억양 실현 분석과 교수방안, 새국어교육 73호, 285-317.) 

  2. Inoue, A. (2004).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Korean accentual phrases' tonal patterns for Japanese Korean-learners, Master's Thesis of Korea University. (이노우에 아쓰코 (2004). 일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강세구 억양 교육 방안,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Jeong, M. S. (2003). The intonation of Japanese and Chinese Korean-learners,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ol. 14, No. 1, 233-247. (정명숙 (2003). 일본인과 중국인의 한국어 억양, 한국어교육 제 14권 1호, 233-247.) 

  4. Jun, S. A. (1993). The phonetic and phonology of Korean language, Ph.D.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5. Jun, S. A. (2000). K-ToBI labelling convention, UCLA working papers in phonetics, 99, Journal of Speech Science, Vol. 7, No. 1, 143-169. 

  6. Kim, M. K. A study on the pitch patterns of Chinese learners, The Graduate School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김민경 (2011).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피치패턴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Lee, H. Y. (1997). Korean prosody, Hankukyeonkuwon. (이호영 (1997). 국어 운율론, 한국연구원.) 

  8. Lee, H. Y. (2003). Korean Phonetics, Taehaksa. (이호영 (2003). 국어 음성학, 태학사.) 

  9. Lee, H. Y. & Sohn, N. H. (2007). Perception of phrasal tones in Korean, Hanguel, Vol. 277, 5-45. (이호영, 손남호 (2007). 한국어 말토막 억양 패턴의 인지, 한글, 277, 5-45.) 

  10. Oh, S. Y. (2011).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 with respect to speech rate and intonation slope-, Master's Thesi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오순영 (2011). 인공와우 이식(Cochlear Implant) 아동의 운율 특성,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Shin, S. H. (2012). A study on teaching Chinese tonal pattern using Praat, Master's Thesis of Ehwa University. (신선희 (2012). Praat를 활용한 고등학생 중국어 성조 교수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