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방과후아카데미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Learning Coach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Youth-After-School-Academy Children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4 no.2 = no.56, 2012년, pp.146 - 165  

김종운 (동아대학교) ,  정보현 (동아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learning coaching program that is grafted onto advantage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coaching intended for Youth-After-School-Academy children and analysis the effect on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rom this program. The program of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코칭이란? 이렇게 능동적이며 창의적 인재육성을 위한 자기주도학습이 대두되는 상황에서, 최근 자기주도학습과 코칭을 접목시킨 ‘학습코칭’의 필요성과 성과를 입증하는 연구들(신을진, 이일화, 2010; 이보라, 2010; 정현옥, 김미영, 민세홍, 2010)이 등장하고 있다. 학습코칭이란 코칭과 자기주도학습의 기법을 결합한 것으로서, 학습자가 올바른 자아정체성과 목표의식을 발견하고 스스로 공부하는 열정과 능력을 갖춤으로써 자립형 인재로 성장하게 하는 것이다(이보라, 2010). 또한 코칭은 개인이 잠재능력과 자기 주도적 성장기회를 스스로 발견하여 실행하도록 하는 효과적인 학습촉진 도구로서 전략적 사고와 창의성 그리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도와주므로(Hahn, 2007; Savage, 2001), 학습자가 스스로 주도권을 가지고 학습하는 자기주도학습에 적합한 시스템으로 기대된다.
자기주도학습이란? 이에 따라 학령기 때부터 주체적으로 지식을 선별하고 창의적으로 재창출하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자기주도학습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학습의 목표와 자원, 전략을 관리하는 것이며(Knowles, 1975), 자신이 학습활동의 주인이 되어 목표와 동기를 진단하고 이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관리하여 학습의 모든 과정에서 주체가 되는 것을 뜻한다(정미경, 2003). 현재 교육현장에서도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2009년 개정교육과정에서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과 창의성을 갖춘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이를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신장시키도록하고 있다(한국교육개발원, 2010).
방과후 나홀로 아동을 위한 방과후아카데미에는 어떤 프로그램이 제공되는가? 주요기능을 보면 ‘방과후 나홀로 아동’을 위해 안전하고 안정적인 공간을 마련하고, 건전한 놀이, 문화지도 및 체험을 배울 수 있게 하고, 학교교육만으로 부족한 인성 및 창의성을 계발,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본공통과정, 전문선택과정, 체험학습, 생활지원의 네 가지 영역에서 학습, 체험, 상담, 급식 등의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방과후아카데미에 참여한 아동들의 참여 결과를 조사한 보고(김은정, 황진구, 2007)에 따르면 또래관계 증진, 새로운 분야 탐색, 학업에 도움의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4)

  1.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8 방과 후 학교 운영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국가청소년위원회 (2006) 청소년 방과후아카데미운영매뉴얼, 서울: 국가칭소년위윈회. 

  3. 권응환(2004) 학습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학습습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만권.이기학(2003) 자기조절학습전략 프로그램이 학업성취와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3). 491- 504 

  5. 김성현 (2011 ) 아동 챙소년의 자기주도적 학습상담 기법의 실제, 2011년 연차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pp. 3-8). 서울: 한국상담학회. 

  6. 김아영.박인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7. 김영숙 (2007) 자기조절학습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전략사용,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은김.현동림.김종훈 (2011)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알고리즘 기반 학습 콘텐츠개발, 수산해양교육연구 23(1), 105-115. 

  9. 김은정.황진구(2007). 2007 청소년 방과후아카데 미 효과, 만족도 조사연구, 서울: 국가정소년위원회. 

  10. 김형수.김동일 (2007). 메타분석에 기초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적 구성탐색, 상담학연구 8(2), 719-736 

  11. 김훤정.김종운 (2010)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22(1), 123-140 

  12. 김흥미.김소야자.박정숙.추상희 (2009). 코칭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행동수준 및 직무특성, 간호행정학회지 15(3), 314-324 

  13. 김홍석.심혜숙(2009). 자기조절학습과 부모학습 관여형태에 따른 전환기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수준, 상담학연구 10(4), 2321-2333. 

  14. 노국향(1999).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시도, 교육과정평가연구 2, 27--3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노명숙.김순옥 (2011 ) 학습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학령기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4), 89-107. 

  16. 민세홍.김미영.정현옥 (2010).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진로, 학습코칭 시스템 모형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0(2), 169-194. 

  17. 류현수.이정숙 (2007). 현장활동 중심의 방과 후 아동지도론, 서울: 동문사. 

  18. 박기종(2000).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효능감 및 학업성적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영태.현정숙 (1997). 아동의 자가주도적 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지는 관련변수분석, 동아대학교 동아교육논총 23, 95-118. 

  20. 송인섭 (2006) 현장적용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서 울: 학지사 

  21. 신을진.이일화(2010) 학습코칭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전략에 미치는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1(4), 145-165. 

  22. 양계민.조혜영 (2010) 청소년 방과후아카데미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인식이 참여청소년의 심리사회적응 및 학업성취요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2(1), 61-92. 

  23. 이 나(2005). 자기조절학습 훈련이 아동의 주도적 학습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미숙 (2006).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보라 (2010). 학부모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학습코칭에 관한 사례연구,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소희 (2008). 멋진 응원 코칭, 서울: 신정. 

  27. 이은숙 (2007). 리더십 코칭 프로 그램이 아동의 자아효능감과 주도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혜영 (2005). 도시 저소득 지역의 교육복지 실태, 2005교육인적자원혁신박람회 정책세미나 발표자료: 교육 소외계층의 교육복지 실태와 대책 (pp. 61-8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9. 정혜진 (2006). NLPia 코칭 프로그램이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정미경 (2003).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구조 모형 검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정여주(2007).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충 아동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지 28(4), 97-111. 

  32. 정정애 (2010).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1(3), 1191-1202. 

  33. 정현옥.김미영.민세홍 (2010).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6(4), 197-212. 

  34. 조성진 (2009). 코칭이 자기효능감 성과 및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조태순(2009). 수업참여기술향상 프로그램이 학습습관 및 자기주도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광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차정은 (1996).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최금희 (2008). 초등학생의 자기조절 학습상담이 자기조절 학습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최영례 (2007). 위인동화를 활용한 NLPia코칭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최 원.정헌호(2010). 자기평가가 수학영재아들의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과학영재교육 2(1), 45-71. 

  40. 최창호 (2008). 기독교성인교육 방법으로서 리디십코칭의 개념적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치영 (2004). 상사의 코칭이 직원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대학병원 간호사를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한겨레 (2011). 자기주도학습, 스스로 학습 능력 없으면 빈쪽 공부, 11. 21. 23면. 

  43. 한국교육개발원 (2004). OECD 교육정책 보고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4. 한국교육개발원 (2010) 내 공부의 내비게이션 자기주도학습,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5. 한혜진 (2002). 자기주장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허은영 (2009). 방과후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중등교육연구 57(2), 209 -234. 

  47. Armstrong, A. M.(1989). Thc dcvclopmcnt 01 self-regulation skill through the modeling and shuctunng of computer program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39(2), 69-76. 

  48. Bandura, A. (1977). Self -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49. Barrett, P. T.(2006).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on executive health and team effective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Regent Uniνersity, Virginia Beach, Virginia. 

  50. Borkowski, J. G. & Thorpe, P. K.(1994). Self-regulation and motivation: A life-span pcrspcctivc on underachievement, In D. H. Schunk & B. J. Zimmerman (Eds.),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pp. 45-73),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1. Brookfield, S. D. (1985). Self-directed learning: From theory to practice, CA: Jossey Bass. 

  52. Candy, P.(1991). Self-direction for lifelong learning: 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London: MacMillan Education Ltd. 

  53. Dingman, S. K. (2002). Mentoring connections: lcarning rclationship, Creat Nurs, 8(3), 8-11. 

  54. Eden, D., & Aviram, A.(1993). Self-efficacy Training to speed reemployment: Helping people to help themselv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3), 532-360. 

  55. Ennomoto, H. (2004) 마법의 코칭, 황소연(역) 서 울: 새로운제안. 

  56. Ginzberg, E.(1972). Toward a theory of occupational choice. in zunker V. G. Career Counseling 5th, Californi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57. Goldhammer, K., & Taylor, R. E.(1972). Career education: Promise and perspective, Columbus, Ohio: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 

  58. Grow, G. O.(1991). Teaching learning to be Self-directed, Adult Education Quarterly, 41(3), 18-23. 

  59. Guliclmino, L. M.(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60. Hahn, H. J.(2007). A study on managerial coaching competency, required for line manag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61. Haberlinghtne. E.(2002). 코칭리더십, 이영희(역), 서울: 국일증권연구소. 

  62. Hamman, D, Berthelot, J., Saia, J., & Crowley, E.(2000). Teachters' coaching of learning and its relation to students' strategie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2), 342- 348. 

  63. Kasworm, C. E.(1983). An examination of self- directed contract learning as an instructional strategy, Innovative Higher Education, 8(1), 45-54. 

  64. Knowles, M. S.(1975). Self-directed: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Y.: Association Press. 

  65. Lee, S. G. (2007). The effect of career commitment and its determinants on attitudes of members: Focused on professional resear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Kang University. 

  66. Malone, J. W.(2005). Shining a new Light on organizational change: Improving self-efficacy through coaching, Organization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New York: Mcgraw-Hill/ Irvin. 

  67. Medland, J., & Stern, M.(2009). Coaching as a successful strategy for advancing new manager competency and performance, Journal nurses Staff Dev, 25(3), 141-147. 

  68. Pintrich, P. R & De Groot, E V.(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69. Savages, M(2001). Executive coaching professional self care for nursing leaders, Nurs Econ, 19(4), 178-182. 

  70. Schunk, D. (1985). Participation in goal setting: Effects on self -efficacy and skills of learning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9, 307-317. 

  71. Seels, B. & Richey, R(1994). Insl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 of the field, Washington D.C: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72. West, R. L. & Bently, E. L.(1990). Structural analysi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modeling, Norman: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Higher Education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73. Whitemore, J.(2004). Coaching for performance: Growing people performance and purpose, London: Nicholas brcalcy publishing. 

  74. Zimmernan, B. J.(1986).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 -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4), 613-6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