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나원 입소 북한 이탈주민의 개인적 특성과 건강 신념이 건강 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liefs on North Korean Refugees' Health Behavior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3 no.1, 2012년, pp.82 - 90  

전정희 (통일부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 ,  박영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 data for preparing plans that North Korean (NK) Refugees can adjust themselves to our society with a healthy mind after they get over their health problems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kn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북한 이탈주민의 개인적 특성과 건강신념에 따른 건강행위의 특성을 파악하고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북한 이탈주민의 건강신념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북한이탈주민의 건강행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바람직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하나원에 입소한 북한 이탈주민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로 북한 이탈 주민의 건강행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바람직한 건강교육과 간호중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를 통해 북한 이탈주민의 건강신념에서는 지각된 유익성과 자기효능감이 북한 이탈주민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며, 개인적 특성에서 구조적 변수인 민간요법, 제3국 체류기간, 북송경험이 북한 이탈주민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도구의 내용이나 실제 수행 시의 문제점을 예측하고 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남자 2명과 여자 3명 총 5명을 선정하여 설문지 109문항을 작성하게 하였다. 설문지에 ‘생활습관병으로 올 수 있는 성인병’이라는 말에 대해 혼동을 느껴 재북 시 전직 내과의사 경력을 가진 교육생의 조언을 받아 성인병을 북한에서 사용하는 ‘만성질환’으로 설문지 내용에 보충설명을 하여 북한 이탈주민이 설문지를 작성 시 의사 전달에서 나타나는 혼란이 없도록 하였다.
  • 따라서 북한 이탈주민의 건강특성을 잘 이해하고 그들의 건강행위에 대한 객관적인 설명과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 이탈주민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형을 이용하여 이들의 건강행위를 예측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북한 이탈주민이 가지는 특수한 개인적 특성과 건강신념이 건강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건강문제에 대한 바람직한 건강행위를 유도하는 데 근간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고에서 북한 이탈주민의 건강신념과 개인적 특성이 건강행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된 것은 무엇인가? 북한 이탈주민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건강신념에서는 하부영역인 지각된 유익성과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특성에서는 민간요법 경험과 제3국 체류기간, 북송경험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익성, 자기효능감, 민간요법 경험, 제3국 체류기간, 북송경험의 변수들이 북한 이탈 주민의 건강행위를 설명하는 정도는 31.
본 연구에서 개인적 특성에 해당되는 인구학적 변수는 무엇이 있나? 개인적 특성에 해당되는 인구학적 변수는 연령, 성별, 재북 시 경제상태, 학력, 재북 시 직업의 변수로 구성되었다. 재북 시의 직업, 학력은 문헌고찰 결과 남한사회 적응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북한 이탈주민이 국내에 입국하기 전까지 받은 의료혜택 수준은 어떠한가? 북한 이탈주민은 북한에서부터 의료혜택을 받지 못해 여러 질병에 노출될 수 있는 대상자들로서(Hwang, 1999), 재북 시 또는 탈북 과정에서 제 3국 체류 동안의 장기간 은둔 생활로 질병에 노출되었어도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없었으며(Seo, Lee, Lee, & Che, 1999) 영양결핍과 탈북 후 언제 북송을 당할지 모르는 두려움으로 인한 만성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따라서 북한 이탈주민의 건강문제는 기존 북한체제의 특성과 탈북 과정에서 겪은 힘든 생활의 연속으로 인한 심리적 요인과 관련된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호소하는 특성이 있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rnes, D. M., & Almasy, N. (2005). Refugees' perceptions of healthy behaviors. Journal of Immigrant Health, 7 , 185-193. 

  2. Becker, M. H. (1974). The health belief model and sick role behavior. Health Education Monographys, 2 , 387-408. 

  3. Chai, H. S. (2001).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using health belief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4. Han, I. Y. (2001). Depressive traits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Korean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11(6 ), 78-94. 

  5. Hwang, J. Y. (1999). Assessment of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North Koreans by looking into North Korean defectors.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 Jung, J. H. (2001).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self-efficacy and health behavior on comprehensive health examination: Comparison of a volunteer group and a non-volunteer group.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7. Kim, G. R. (198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s and sick role behavior of type B hepatit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8. Kim, H. L., Jeon, J. H., Che, B. S., Jeoung, H. S., & Lee, J. Y. (2008). Self-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stress, self-efficacy of Saeteomins in Hanawon. Chungnam Journal of Nursing Academy, 11 , 1-12. 

  9. Kim, J. I. (1994). An effect of aquatic exercise program with self-help group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promoting self efficacy on pain,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aving rheumatoid arthrit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0. Kim, K. C. (2004). The analysis of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health utilization satisfact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1. Kim, S. Y. (1995). A study on the health behavior of Korean eld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2. Kim, Y. K. (2005). A survey on the health status of Saeteomins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3. Lee, K. S. (2006). A study on the social adaptation process of women migrants-focusing on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Asian Women, 45 (1), 191-234. 

  14. Lipson, J. G., & Omidian, P. A. (1992). Health issues of Afghan refugees in California. The Western Journal of Medicine, 157 , 271-275. 

  15. Maeng, S. J. (2006). A study on the proved health belief and performance of healthy behaviors of some patient in Korean amy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6. Ministry of Unification. (2011). Demographic situation of NorthKorea refugee admitted and number in South Korea (2011,3). Retrieved August 29, 2011, from http://www.unikorea.go.kr 

  17. Moon, E. S.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of fracture prevention, health belief, and fracture prevention behaviors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8. Moon, J. S. (1990). A study of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of Korean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9. Nam, M. H.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self efficacy and exercise, diet compliance in coronary heart diseas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0. Oh, B. J. (1994).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anc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Padadopoulous, I., Lees, S., Lay, M., & Gebrehiwot, A. (2004). Ehtiopian refugees in the UK: Migration, adaptation and settlement expreriences and their relevance to health. Ethnicity & Health, 9 , 55-73. 

  22. Park, S. S. (2006). A study on the life stress, self-esteem and depression status of Saeteomins in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3. Rosenstock, I. M. (1990). The health belief model: Explaining health behavior thought expectations. San Francisco: Jossery-Bass. 

  24. Seo, L., Lee, M. G., Lee, Y. H., & Che, G. S. (1999). Morbidity of north Korean refugees in China. Korean Unification Studies, 3(1), 307-328. 

  25. Sherer, M., & Maddux, J. E. (1982). The self 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 663-671. 

  26. Song, R. Y., & Lee, H. J. (2004). Effect of inpatient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n behavioral modifica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2), 463-473. 

  27. Toar, M., O'Brien, K. K., & Fahey, T. (2009). Comparison of self-reported health & healthcare utilization between asylum seekers and refugees: An observational study. Biomedical Central Public Health, 9 , 214. 

  28.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promoting life 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 , 108- 116. 

  29. Yang, S. A. (199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of breast self-examination and health belief model variables in middle 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