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증진생활양식
Health Status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of North Korean Immigra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3 no.3, 2012년, pp.231 - 243  

강영실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  은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status including objective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in North Korean immigrants. Methods: During August 2011 to November 2011, a convenience sample of 9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위해서 먼저 경상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에 심의를 요청하여 승인을 받았다. 그 이후 경상남도 도청의 건강증진과 방문보건담당자와 국제통상과 남북협력담당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내용, 기대 효과 등에 대해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경상남도 국제통상과 남북협력담당자로부터 2009년 10월에 제정된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및 연구 협조 지침”에 대한 교육을 받았으며, “제8조(보유정보 제공신청 및 결정통지)”에 의거하여 ‘서약서’와 ‘북한이탈주민 정보제공 신청서’를 경상남도 국제통상과에 제출하여 경상남도로부터 연구를 허가한다는 결정통보를 받은 후 연구를 시작하였다.
  • , 2011) 이들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상태와 건강증진생활양식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향후 이들을 위한 맞춤형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남 지역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상태와 건강증진생활양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단면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향후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삶의 질 향상 및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약 40%의 북한이탈주민이 자신이 건강하지 못하다고 인식하였으며, 22% 대상자가 자신이 건강한 편이라고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상태와 건강증진생활양식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아래와 같다.
  • ‘건강에 대한 책임감’ 영역 중에서 수행정도가 가장 높은 하부 항목은 ‘3. 비정상적인 증상이 있으면 의사나 다른 의료인에게 보고한다.’(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이탈주민이란? 1990년대 이후 북한의 경제난이 심각해지면서 북한을 탈출하여 한국으로 입국하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2010년 한해에만 2700명이 입국하여 2010년 12월 기준 20,360명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Ministry of Unification [MU], 2011). 이렇게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고 북한에 주소 ․ 직계가족 ․ 배우자 ․ 직장 등을 두고 있는 자를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2010)’ 제2조1항에 의거하여 ‘북한이탈주민’이라고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은 북한탈출, 제3국 체류, 남한 입국 및 조사, 12주간의 하나원 교육과정 수료, 전국의 지역적응센터를 통한 남한 지역사회 정착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상태와 6개 영역의 건강행위를 살펴본 연구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남한 사회의 새로운 취약계층인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상태와 6개 영역의 건강행위를 살펴본 첫 연구였다는 큰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비확률적 임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경남 지역 북한이탈주민 96명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본 연구결과를 남한의 모든 북한이탈주민에게 일반화하기에 부족하다. 둘째, 간호학분야에서 연구결과의 정당성을 확보하기위한 검정력이 일반적으로 80%인데 비해서 본 연구의 검정력 75%로 약간 낮은 편이다. 낮은 검정력은 연구결과의 타당성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후속연구에서 80% 이상의 검정력분석으로 표본크기를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충분한 수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를 위해서 1시간동안 설문조사 훈련을 연구보조원 1인과 방문간호사 1인에게 제공했다고 하더라도, 측정자간 신뢰도 검증이 이뤄지지 않았기에 측정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은 무엇인가? 이렇게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고 북한에 주소 ․ 직계가족 ․ 배우자 ․ 직장 등을 두고 있는 자를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2010)’ 제2조1항에 의거하여 ‘북한이탈주민’이라고 한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은 북한탈출, 제3국 체류, 남한 입국 및 조사, 12주간의 하나원 교육과정 수료, 전국의 지역적응센터를 통한 남한 지역사회 정착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대체로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에 머물 당시에 열악한 저영양상태를 장기간 경험하였고, 탈북하는 과정 혹은 탈북 이후 중국과 같은 제3국에서 수년간의 도피생활로 인해 여러 가지 급 ․ 만성 질병과 극심한 스트레스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남한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문화 충격과 부적응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ho & Jeon, 2005; Han, 2001; Jeon, Yu, & U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lack, C., & Ford-Gilboe, M. (2004). Adolescent mothers: Resilience, family health work and health-promoting practic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8 (4), 351-360. 

  2. Cho, Y. A., & Jeon, W. T. (2005). A qualitative study of North Korea women defectors' adaptation to South Korea life.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0 (1), 17-35. 

  3. Gadd, M., Sundquist, J., Johansson, S. E., & Wandell, P. (2005). Do immigrants have an increased prevalence of unhealthy behaviors and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12 (6), 535-541. 

  4. Goel, M. S., McCarthy, E. P., Phillips, R. S., & Wee, C. C. (2004). Obesity among US immigrant subgroups by duration of residenc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2 (23), 2860-2867. 

  5. Han, I. (2001). Depressive traits of North Korean defectors. Mental Health & Social Work, 11 (6), 78-94. 

  6. Hwang, W. J. (2010).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n blue-collar workers: Actual risk, risk perception, and risk reduction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an Francisco, USA. 

  7. Idler, E., & Benyami, Y. (1997).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A review of twenty-seven community studi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8 (1), 21-37. 

  8. Jennions, M. D., & Moller, A. P. (2003). A survey of the statistical power of research in behavioral ecology and animal behavior. Behavioral Ecology, 14 (3), 438-445. 

  9. Jeon, J. H. (2010). The effect of health belief on health behavior in North Korean defe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10. Jeon, W. T,, Yu, S. E., & Um, J. S. (2010). A seven-year panel study on North Korean defecto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life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9 (1), 90-103. 

  11. Kang, C. G. (2010). North Korean refugees supporting policy based on barrier factor analysis. National Unification Research, 53, 261-290. 

  12. Kemp, C., & Rasbridge, L. A. (2004). Refugee and immigrant health: A handbook for health professional.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Kim, B. C. (2010). North Korean defectors panel study(Economic adaptation.mental health.physical health). Seoul: 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 

  14. Kim, H. K., & Shin, H. G. (2010). Psychological symptoms before and after the settlement in the South Korea society of North Korean refuge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9 (4), 707-724. 

  15. Kim, M. R. (2005). The effect of the adjustment stress and the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ve symptom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 (1), 193-217. 

  16. Kim, N. H., & Sohng, K. Y. (2009). Health-promoting lifestyle patterns and health perception in elders using welfare servic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Fundamental Nursing, 16 (4), 481-489. 

  17. Kim, S. G. (2011). Physical health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NORNS). In 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nts (Ed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health of North Korean migrants (pp. 59-70). Seoul: 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 

  18. Kim, Y. H., Jeon, W. T., & Cho, Y. A. (2010).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recent migrant North Koreans: A focus on 2007 entrants. Unification Policy Studies, 19 (2), 141-174. 

  19. Kim, Y. I. (2011). Effect factors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of shift work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 (3), 356-364. 

  20. Kim, Y. K. (2009). The effect of subjective health cognition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of Seteomin in a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13 (3), 59-69. 

  21. Koochek, A., Mirmiran, P., Azizi, T., Padyab, M., Johansson, S., Karlstrom, B., et al. (2008). Is migration to Sweden associated with increased prevalence of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15 (1), 78-82. 

  22. Lee, C. Y., Park, S. A., Kim, B. I., Yang, K. H., Yu, J. S., Jung, U. S., et al. (2007). Epidemiology and health promotion. Seoul: Sumunsa. 

  23. Ministry of Unification. (2011, December 28). Statistic data: Policy of North Korean defectors. Retrieved December 28, 2011, from http://www.unikorea.go.kr/CmsWeb/viewPage.req? idxPG0000000365 

  24. 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health of North Korean migrants. Seoul: Author. 

  25. Steffen, P. R., Smith, T. B., Larson, M., & Butler, L. (2006). Acculturation to Western society as a risk factor for high blood pressure: A meta-analytic review. Psychosomatic Medicine, 68, 386-397. 

  26. Tajik, M., Galvao, H. M., & Eduardo Siqueira, C. (2010). Health survey instrument development through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approach: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HPLP-II) and Brazilian immigrants in Greater Boston. Journal of Immigrant Minority Health, 12, 390-397. 

  27.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96).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Retrieved June 10, 2011, from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College of nursing Web site: http://www.unmc.edu/nursing/Health_Promoting _Lifestyle_Profile_II.htm 

  28. Wieland, M., Weis, J., Palmer, T., Goodson, M., Loth, S., Omer, F., et al. (2012).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among immigrant and refugee women: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approach. Women's Health Issues, 22 (2), e225-e232. 

  29. Yoon, I. J., & Kim, S. (2005). Health and medical car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Health & Social Science, 17, 149-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