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도와 정신 건강 실태 변화에 대한 2년간 추적 연구
Two-Year Follow Up Study of Change in Satisfaction Level and Mental Health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15 no.2, 2019년, pp.109 - 114  

이혜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안지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윤세창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서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장혜인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  홍진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satisfaction levels and mental health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over two years. Methods :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300 North Korean defectors registered with a regional adaptation cen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추적 연구 기간이 2년으로 상대적으로 짧아 장기적인 변화를 예측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삶의 만족도와 회복 탄력성 평가척도는 북한어판이 사용되지 않아 초기 탈북자들의 자가 보고식 측정에 한계가 있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최근 정착한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초기 정착 과정에서의 정신건강실태 변화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초기 정착과정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의 삶의 만족도는 감소하며 우울,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이 증가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초기 정착하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경제적, 의료적으로 지원할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측면에서도 지속적으로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본 연구는 2016년 6월 1일부터 시행된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 실태조사에 참여했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추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전국 하나 센터에 등록한 북한이탈주민 중 최근 3년 내에 남한으로 입국한 18세 이상의 북한이탈주민 300명을 모집하였다.
  • 연구 시작 시점에 연구 대상자들의 삶의 만족도 및 정신 건강과 관련된 자가 보고식 임상 척도를 조사하였다. 삶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은 2년 후 추적 시점에 재조사하였고, 정신 건강 척도는 연구 시작 시점으로부터 1년 후, 2년 후 두 번의 시점에 추적 조사를 시행함으로써 북한이탈주민의 정신 건강 실태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2016년도 연구에 참여했던 300명 중 189명이 2년 후인 2018 년에 추적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추적 조사를 위해 온라인 설문을 활용하였다.
  • 이 연구는 북한을 이탈하여 한국에 정착한지 3년 이내의 주민 300명을 총 2년간 추적한 연구로, 현재 및 미래의 예측되는 삶의 만족도, 북한어판 CES-D를 이용한 우울증상, 북한어판 IES를 이용한 사건 충격 척도, CD-RISO 이용한 회복 탄력성, AUDIT를 통한 알코올 사용척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서 북한 이탈 주민의 정신 건강 실태 변화를 밝히고자 하였다.
  • 국내에서도 그동안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사회 적응과 정신건강 문제를 조사한 여러 연구들이 있어왔으나 많은 수의 연구가 횡단연구로서 어느 한 시점에서의 적응 상태만을 조사하였고,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에 적응해 나가면서 보이는 삶의 만족도와 정신 건강 상태의 변화를 동시에 평가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2년간 추적연구를 통해 시간에 따른 삶의 만족도와 정신 건강 증상 변화를 동시에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Unification Ministry of Korea, North Korean Defectors Government Policy. Seoul: Unification Ministry of Korea, Department of Settlement Support 2019. 

  2. Kim SJ. Establishment of Collaborative Governance for North Korean Refugees Settlement Support Servic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310-321. 

  3. An JH, Lee KE, Lee HC, Kim HS, Jun JY, Chang HI, et al.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s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Psychiatry Investig 2018;15:445-451. 

  4. Cho YA, Jeon WT, Yu JJ, Um JS.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A 3-year follow-up stud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5;17:467-484. 

  5. Lee KE, An JH, Kim DE, Moon CS, Hong JP.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Anxiety and Mood 2018;14:80-87. 

  6. Robjant K, Hassan R, Katona C. Mental health implications of detaining asylum seekers: systematic review. Br J Psychiatry 2009;194:306-312. 

  7. Sam DL. Predicting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from immigrant families in Norway. Ethn Health 1998;3:5-18. 

  8. Ahn SI, Jon DIJ, Hong HJH, Jung MH, Kim H, Hong N. Mental Health of North Korean Refugees-Depression, Anxiety and Mental Health Service Need. J Korean Assoc Soc Psychiatry 2012;17:83-88. 

  9. Cantril H. Pattern of human concerns 1965. 

  10. Deaton A. Income, health, and well-being around the world: evidence from the Gallup World Poll. J Econ Perspect 2008;22:53-72. 

  11. Inc G. World Poll Questions. Washington, D.C, Gallup Inc 2008. 

  12. Cardenas M, Di Maro V, Sorkin I. Migration and Life Satisfaction: Evidence from Latin America. J Business Strategies 2009;26:9-33. 

  13. Radloff LS. The CES-D Scale: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1:385-401. 

  14.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3;32:381-399. 

  15. Park SJ, Lee SH, Jun JY, Lee T, Han JM, Ahn MH,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orth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NK). Anxiety and Mood 2015;11:54-60. 

  16. Horowitz M, Wilner N, Alvarez W.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 Med 1979;41:209-218. 

  17. Weiss DS. The Impact of Event Scale: Revised. In: Cross-cultural assessment of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New York, NY, U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2007. p.219-238. 

  18. Won SD, Lee SH, Hong JP, Jun JY, Han JM, Shin MN, et al.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North Korea (IES-R-NK).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97-104. 

  19. Connor KM, Davidson JR.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 Anxiety 2003;18:76-82. 

  20. Baek HS, Lee KU, Joo EJ, Lee MY, Choi K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Psychiatry Investig 2010;7:109-115. 

  21. Kim HS, Lee SH, Jun JY, Lee TY, Han JM, Ahn MH,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North Korean version (AUDIT-N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2016;20:68-73. 

  22. Kim JS, Oh MK, Park BK, Lee MK, Kim GJ. Screening criteria of alcoholism by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in Korea. J Korean Acad Fam Med 1999;20:1152-1159. 

  23. Jeon WT, Yu SE, Cho YA, Hong CH, Um JS, Seo SW. 3-Year Follow up Study of the Way of Thinking and Satisfaction Level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6;45:252-268. 

  24. Van Selm K, Lackland Sam D, Van Oudenhoven JP. Life satisfaction and competence of Bosnian refugees in Norway.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1997;38:143-149. 

  25. Jasinskaja-Lahti I. Long-term immigrant adaptation: Eight-year follow-up study among immigrants from Russia and Estonia living in Fin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2008;43:6-18. 

  26. Korea Hana Foundation, Settlement Survey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Korea Hana Foundation 2018:33-37. 

  27. Kim YH, Jeon WT, Cho YA.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Recent Migrant North Koreans: A Focus on 2007 Entrants. Unification Policy Studies 2010;19:141-174. 

  28. Lee JM, Hwang SY.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Social Welfare Policy 2008;33:61-84. 

  29. Noh JW, Park H, Kim M, Kwon YD, Kim JS, Yu S. The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on Life Satisfac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Mediating Effect of Stress. Psychiatry Investig 2018;15:49-53. 

  30. Choe MA, Choi JA. A Study on Treatment-Seeking Behavior of Middle-aged and Old-age Saetomins in South Korea.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2009;1:285-316. 

  31. Strine TW, Chapman DP, Balluz LS, Moriarty DG, Mokdad AH. The associations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hronic illness, and health behaviors among U.S. communitydwelling adults. J Community Health 2008;33:40-50. 

  32. An JH, Lee KE, Lee HC, Jun JY, Kim HS, Hong JP.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J Korean Assoc Soc Psychiatry 2017;22:67-74. 

  33. Cho YA, Kim YH, You SE. Predictors of Mental Health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residing in South Korea over 7 year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9;21:329-348. 

  34. Lie B. A 3-year follow-up study of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general symptoms in settled refugees. Acta Psychiatr Scand 2002;106:415-4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